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60대 은퇴 남성의 역경대처 경험: 경제적 어려움을 중심으로

The Adversity Coping Experiences of Male Retirees in their 60s: A Focus on Economic Difficulties

초록

본 연구에서는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경험하는 은퇴남성들의 역경대처 경험의 구조와 과정을 설명하는 실체 이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제적 어려움을 경험하는 60대 은퇴남성 9명을 목적적으로 표집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개방코딩에서 116개의 개념, 51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23개의 범주가 발견되었다. ‘헤어 나오지 못함’이라는 중심현상을 중심으로 패러다임 모형이 도출되었으며 핵심범주는 ‘어찌할 수 없는 현실적 상황을 받아들이며 살아감’으로 밝혀졌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역경대처 경험의 과정은 ‘가로막힘 단계’, ‘웅크림 단계’, ‘외부자원 의존 단계’, ‘내적변화 모색’, ‘현실 받아들이기’, ‘제한된 자족 단계’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은퇴남성의 경제적 역경 대처 경험과 과정에 관하여 논의하고 상담개입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의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은퇴남성들이 경제적 역경을 대처하는 경험의 구조와 과정을 심층적으로 밝힘으로써 은퇴자들의 심리․사회적 이해의 기초를 세우고, 개인 및 가정, 그리고 사회적으로 은퇴 후 직면하게 될 실체적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keywords
은퇴, 역경 대처, 경제적 어려움, 질적연구, 근거이론, retire, adversity coping, economic difficulties,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substantial theory describing the process of adversity coping in male retirees. For this purpose, nine retired men in their 60s who had experienced economic problems after retirement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s.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116 concepts, 51 subcategories, and 23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open coding. The paradigm model of the central phenomenon was revealed as ‘unable to break out.’ The core category was ‘accept and live with realistic yet unavoidable conditions.’ Coping procedures for economic difficulty in the post-retirement chronologically appeared to expand in six stages: ‘obstruction,’ ‘crouching,’ ‘dependency on external resources,’ ‘seeking internal change,’ ‘adapting to reality,’ and ‘limited self-sufficiency.’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propo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keywords
은퇴, 역경 대처, 경제적 어려움, 질적연구, 근거이론, retire, adversity coping, economic difficulties,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참고문헌

1.

강지숙 (2008). 노인의 은퇴적응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노년학, 28(3), 477- 496.

2.

김경희, 정혜정 (2017). 베이비부머 은퇴 남성의 내러티브 정체성 탐구. 가족과 가족치료, 25(4), 839-862.

3.

김선영, 윤혜영 (2012). 은퇴남성의 은퇴 스트레스, 성격 강점, 결혼불만족이 은퇴 후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9(4), 553-576.

4.

김은영 (2014). 빈곤노인의 은퇴 후 노동시장 재취업. 한국노인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29-40.

5.

김지경, 송현주 (2010). 중고령 은퇴자들의 은퇴 후 경과기간별 은퇴생활적응의 영향요인. 대한가정학회지, 48(6).

6.

김진욱 (2011). 노후소득의 혼합구성과 이전소득의 빈곤감소효과에 관한 국제비교연구. 한국노년학, 31(1), 111-127.

7.

김태현, 김동배, 김미혜, 이영진, 김애순 (1998). 노년기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18(1), 150-169.

8.

김향은, 정옥분 (1992). 정년퇴직을 앞둔 중년남성의 심리적 불안-퇴직 예정자의 상태특성불안과 현행 정년제도에 대한 시각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0(2), 159-169.

9.

김현정, 함경애, 이동훈 (2014). 실직자의 가족탄력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적극적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3), 787-804.

10.

남순현 (2017). 은퇴 후 삶의 적응에 대한 Glaser의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11(1), 5-29.

11.

박영신, 김의철 (2003). 한국인의 부모자녀관계-자기개념과 가족역할 인식의 토착심리 탐구. 서울: 교육과학사.

12.

박혜성 (2007). 노인가계의 경제적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심리적 복지감.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3.

방희명 (2009). 노인학대 인식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3(1), 211-234.

14.

석상훈, 김현수 (2012). 노인빈곤의 실태와 결정요인 분석; 생애 이력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재정학 연구, 5(3), 99-124.

15.

신복기․이성진 (2016). 은퇴이후 주관적 경제적 빈곤 발생기간의 영향 요인. 노인복지연구, 71(4) 61-89.

16.

신복기․이성진 (2017). 은퇴이후 노인 경제문제의 발생위험 및 영향요인. 한국노인복지학회. 2015년도 국제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5(2), 66-87.

17.

이민규, 김완석 (1999). 실직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4(1), 94-109.

18.

이수연, 이동훈, 이덕희, 이민영 (2019). 트라우마 사건을 경험한 성인의 낙관성, 대처 방식, 외상 후 성장, PTSD 증상, 음주 문제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1(2), 571-600.

19.

이양자, 정남운 (2008). 외상 후 성장에 대한 연구 개관: 적응과의 관계 및 치료적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 (1), 1-23.

20.

일본주간현대 (2013). ‘노인빈곤사례’. http:// gendai.ismedia. jp/articles/-/ 37196.

21.

정동희, 심은정 (2019). 노인 우울 증상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의 네트워크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1(2), 549-570.

22.

주재영 (2010). 베이비붐 세대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참여가 은퇴준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최신덕, 김종숙 (1983). 노인과 사회. 고시연구사, 156.

24.

최신애, 하규수 (2012).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중증만성질환자 돌봄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6), 265-278.

25.

최혜지, 이영분 (2005). 사회심리적 패러다임에 의한 고령자의 은퇴에 대한 재정적 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7(3), 415-435.

26.

통계청 (2014). 고령자 통계. 서울: 통계청.

27.

통계청 (2015). 사회조사. 서울: 통계청.

28.

통계청 (2018). 가계금융복지조사. 서울: 통계청.

29.

통계청 A (2019). 고령자 통계. 서울: 통계청.

30.

통계청 B (2019). 고령층부가조사. 서울: 통계청.

31.

한경혜, 최현자, 은기수, 이정화, 주소현, 김주현 (2011). 한국 베이비부머 연구. 서울대학교노화고령사회연구소.

32.

홍성원, 정민회, 유서구 (2016). 은퇴자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56(1), 139-162.

33.

홍성희, 곽인숙 (2006). 중년기 남녀 봉급생활자의 은퇴계획 비교 분석: 경제적 준비와 건강준비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1), 193-207.

34.

Atchely, R. C. (1988). Social forces and aging(5th ed.). Belmont, CA: Wadsworth.

35.

Brian Christian (2012). 가장 인간적인 인간. 서울: 책 읽는 수요일. (원전은 2011년 출판).

36.

Chalmers, L., & Milan, A. (2005). Marital satisfaction during the retirement years. Canadian Social Trends, 76(1), 14-17.

37.

Carstensen, L. L., Isaacowitz, D. M., & Charles, S. T. (1999). Taking time seriously: A theory of socioemotional selectivity. American psychologist, 54(3), 165-181.

38.

Carver, C. S., Pozo, C., Harris, S. D., Noriega, V., Scheier, M. F., Robinson, D. S., & Clark, K.C. (1993). How coping mediates the effect of optimism on distress: a study of women with early stage breast cance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5(2), 375.

39.

Christ, S. L., Lee, D., Fleming, L. E., LeBlanc, W. G., Arheart, K. L., Chung-Bridges, K., Caban, A. J., & McCollister, K. E., (2007). Employment and occupation effects on depressive symptoms in older Americans: Does working past age 65 protect against depression.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62B(6): 399-403.

40.

Fassinger, R. E. (2005). Paradigms, Praxis, Problems, and Promise: Grounded theory in counseling psychology resear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1), 156-166.

41.

Horn, J. C., & Meer, J. (1987). The vintage years. Psychology Today, 21(1), 88-90.

42.

Kim, J. E., & Moen, P. (2002). Retirement transitions, gende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 life-course, ecological model, The Journals of Gerontology: Psychological Sciences, 57B(3), 212-222.

43.

Labouvie-Vief, G., DeVoe, M., & Bulka, D. (1989). Speaking about feelings: Conceptions of emotion across the life span. Psychology and Aging, 4(1), 425-437.

44.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k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45.

Mclaughlin, D., Vagenas, D., Pachana, N. A., Begum, N., & Dobson, A. (2010). Gender differences in social network size and satisfaction in adults in their 70s.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5(5), 671-679.

46.

Nahum-Shani, I., & Bamberger, P. A.. (2009). Work hours, retiremant and supportive relations among older adult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baviour, 30, 1-25.

47.

Neda, D., Johan, D. D., & Caroline, D. (2015). Poor because of low pensions or expensive housing? The combined impact of pension and housing systems on poverty among the elderly. International Journal of Housing Policy, 15(3), 260-284.

48.

Price, D. (2006). The Poverty of Older People in the UK. Journal of Social Work Practic, 20(3), 251-266.

49.

Reitzes, D. C. & Mutran, E. J. (2004). The transition into retirement: Stages and factors that influence retirement adjust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59. 63-84.

50.

Sarmistha P., & Robert P. (2010). Understanding poverty among the elderly in India: Implications for social pension policy. Journal of Development Studies, 47(7), 1017-1037.

51.

Schreiber, R. S., & Stern, P. N. (2001). 근거이론 연구방법론{Using grounded theory in nursing}. (신경림, 김미영 공역). 서울: 현문사 (원전은 2001에 출판).

52.

Simmons, B. A. & M. J. Betschild. (2001). “Women's retirement, work and life paths: Changes, disruptions and discontinuities”. Journal of Women & aging 13(4), 53-70.

53.

Stirling, E. (2010). Valuing Older People; Positive Psychological Practice. Chichester: Wiley- Blackwell.

54.

Strauss, A., Corbin, J. (1998). 질적 연구 근거이론의 단계. 신경림(2001). Basic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서울: 현문사.

55.

Suh, E., Diener, E., & Fujita, F. (1995). Events and subjective well-being: Only recent events Matte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pending revisions.

56.

Tedeschi, R. G., & Calhoun, L. G. (1995). Trauma and transformation: Growing in the after math of suffering. Thousand Oaks, CA: Sage.

57.

Tedeschi, R. G.,. & Calhoun, L. G. (2004).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 and empirical evidence. Psychological Inquiry, 15, 93-102.

58.

Van Solinge, H. & Henkens, K. (2005). Couples' adjustment to retirement: A multi-actor panel study,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60B, S1-S20.

59.

Varcoe (1990). Financial events and coping strategies of households. Journal of Consumer studies & amp; Home Economics, 14(1).

60.

Voydanoff Brenda W. Donnelly (1989). Economic distress and mental health: The role of family coping resources and behaviors. Journal of Family and Economic Issues. 10(2), 139-162.

61.

Wray. S. (2003). Women growing older: Agency, Ethnicity and Culture. Sociology: 37, 511-527.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