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북한이탈주민의 외상경험에 대한 통합적 관점을 위한 연구 고찰: 외상 후 성장을 중심으로

Integrated Approaches to Traumatic Experiences of North Korean Refugees: A Focus on Posttraumatic Growth

초록

본 원고는 탈북 및 정착과정에서 상당한 외상과 문화적 충격을 경험한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성장 현상에 대해 고찰하고, 정착을 넘어선 성장을 지향하는 상담적 개입의 방향 및 연구과제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북한이탈주민의 외상경험은 심각한 고통을 초래하기도 하지만, 이러한 고난을 극복하는 과정을 통해 이전보다 더 나은 성장과 긍정적 변화를 경험하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을 외상 후 성장(posttraumatic growth)이라 한다. 지금까지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국내외 연구가 부적응이나 외상의 피해에 집중되어 있었기에, 이들이 역경을 통해 어떠한 성장을 일구어내는지, 그러한 성장에 도움이 되는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의 외상경험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외상경험 이후의 처리과정 및 외상 후 성장의 개념에 대해 소개하였다. 또한 최근 긍정심리학적 관점에서 이루어진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성장 관련 연구를 고찰함으로써,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에 대한 통합적 관점의 필요성과 외상개입에 대한 상담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고 향후 연구 및 과제를 제안하였다.

keywords
North Korean refugees, traumatic experience, mental health, posttraumatic growth, integrated approach, 북한이탈주민, 외상경험, 정신건강, 외상 후 성장, 통합적 관점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osttraumatic growth phenomenon of North Korean refugees who have experienced severe traumatic experiences and cultural shock in the process of defection and settlement, and to recommend research tasks and directions for counseling interventions to promote growth beyond settlement. While the traumatic experiences of North Korean refugees often cause serious pain,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se adversities may lead to positive changes and growth. This study first reviewed previous studies on mental health in the adaptation and maladaptation paradigm for North Korean refugees, and then introduced posttraumatic processes and the concept of posttraumatic growth. The counseling implications of an integrated perspective on North Korean refugees' mental health are discussed, based on recent studies on posttraumatic growth of refugees from a positive psychological perspective. Lastly, recommendations for task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escribed.

keywords
North Korean refugees, traumatic experience, mental health, posttraumatic growth, integrated approach, 북한이탈주민, 외상경험, 정신건강, 외상 후 성장, 통합적 관점

참고문헌

1.

강성록 (2001). 탈북자의 외상 척도 개발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계윤정, 최정윤 (1993).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의 MMPI 프로파일-교통사고 이후 소송과 관련된 환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2(1), 30-40.

3.

금명자 (2015). 북한 및 북한이탈주민 관련 연구 동향: 한국심리학회지 게재논문 분석(2000~2013).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4(2), 541-563.

4.

김윤나 (2010). 시민청소년관점에서의 북한이탈청소년 지원정책 및 서비스 방향. 청소년학연구, 17(11), 27-46.

5.

김정민 (2014). 대전지역 북한이탈주민들의 대학 적응에 대한 질적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진수, 서수균 (2011). 친밀한 관계경험과 성장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0(3), 793-809.

7.

김태국, 정은의 (2012). 북한이탈주민의 외상경험과 의도적 반추에 따른 외상 후 성장과 문화적응. 북한학보, 37(2), 147-173.

8.

김현경 (2011). 탄력성 관점에서 조명한 북한이탈여성의 생애 연구: 북한과 중국에서의 생활을 중심으로. 젠더와 문화, 4(2), 7-36.

9.

김현경, 엄진섭, 전우택 (2008) 북한이탈주민의 외상경험 이후 심리적 성장. 사회복지연구, 39, 29-56.

10.

김현경, 전우택 (2009). 북한이탈주민의 삶의 질이 외상 경험 이후 심리적 성장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40(2), 363-397.

11.

김현아 (2010). 새터민의 남한 사이버 교육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11(2), 57-92.

12.

김희경 (2012).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유형에 따른 복합 PTSD와 PTSD 증상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4), 1003-1022.

13.

김희진 (2013). 탈북여성의 정신건강과 부부적응을 위한 TSL 가족프로그램 개입 효과: 의생명사회과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남북하나재단 (2017a). 북한이탈주민 정착실태조사.

15.

남북하나재단 (2017b). 북한이탈주민 정착 지표 연구(II): 자립지표

16.

노인숙, 조선희 (2012). 북한이탈주민 전문상담사의 심리적 소진의 원인 탐색. 정신간호학회지, 21(4), 303-310.

17.

민성길 (2001). 북한사람의 인격구조. 연세대학교 통일연구, 5(2), 5-46.

18.

박광택 (2014). 북한이탈주민의 적응에 대한 연구 동향과 과제. 직업과 고용서비스 연구, 9(2), 15-29.

19.

박경숙 (2013). 북한이탈주민의 자원봉사활동이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협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박미현, 김소희, 배진형 (2017). 사회복지현장실습을 통해 북한이탈주민 사이버대학생이 겪는 성장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37, 53-87.

21.

박철옥 (2007). 북한이탈주민의 대인관계적 외상경험, 용서, 경험회피와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북한인권정보센터 (2013). 북한인권사건리포트.

23.

안현의 (2007). 복합외상(complex trauma)의 개념과 경험적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6(1), 105-119.

24.

양혜린 (2018). 북한이탈 청소년의 외상사건 경험 및 외상 후 성장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5.

엄미선 (2014). 핵심신념 붕괴, 침투적 및 숙고적 반추, 및 외상 후 성장의 관계: 탈중심화의 조절효과 검증.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우종민, 김석주, 김유정, 김현아, 노진원, 소민아 (2014). 북한이탈주민 정신건강서비스 및 연구개발을 위한 기획연구 과제 최종보고서.

27.

유시은, 오경자, 정안숙, 전우택 (2012). 북한이탈주민의 의식 변화에 대한 질적 연구-남한 입국 3년 된 북한이탈주민들을 대상으로. 통일연구, 16(2), 67-120.

28.

은헌정, 이선미, 김태형 (2001). 일 도시 지역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역학 조사. 대한신경정신의학회지, 40(4), 581-591.

29.

이숙영, 이동혁, 조해연, 김경미, 김효정 (2016). 북한이탈여성의 외상후성장에 관한 질적 연구: 중국 체류 시 결혼경험이 있는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4), 1073-1102.

30.

임선영 (2013). 외상적 관계상실로부터 성장에 이르는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4), 745-772.

31.

임선영 (2014). 관계상실 경험자를 대상으로 한 외상 후 성장 촉진 프로그램 효과. 인지행동치료, 14(3), 339-358.

32.

임선영 (2015). PTGI 영적 변화 요인의 심리측정적 이질성: 성장에 대한 인식과 종교 변인에 따른 비교. 인지행동치료, 15(2), 377-400.

33.

임선영, 권석만 (2013). 역경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처리방략과 신념체계의 특성: 관계상실 경험자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2(3), 567-588.

34.

전우택, 유시은, 조영아, 홍창형, 엄진섭, 서승원 (2006). 남한 내 북한이탈주민들의 3년간 사회의식 변화 및 생활 만족도에 대한 추적연구. 신경정신의학, 45(3), 252-268.

35.

전철은, 현명호 (2003). 심리적 피학대 여성의 수치심, 죄책감 및 사회적 지지가 외상후 스트레스장애(PTSD)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4), 763-776.

36.

정애리, 유순화 (2014). 북한이탈청소년이 남한사회 적응과정에서 경험하는 인식의 변화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다문화교육연구, 7(1), 51-75.

37.

정윤경, 김희진 (2014). 북한이탈주민의 외상경험과 적응의 관계: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의 매개효과 분석. 사회복지연구, 45(4), 143-167.

38.

조영아, 전우택 (2004). 북한출신 대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1), 167- 186.

39.

조용래 (2014). 외상사건 경험자들의 탄력성이 정신적 웰빙과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에 미치는 영향: 외상 후 성장 및 외상 후 부정적 인지의 매개효과. 인지행동치료, 14(3), 359-386.

40.

채정민 (2003).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내 심리적 문화적응 기제와 적응행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1.

최수미 (2014). 외상 후 성장에 대한 핵심신념붕괴, 대처방식, 리질리언스의 구조적 관계검증. 아시아교육연구, 15(2), 301-322.

42.

홍창형, 유정자, 조영아, 엄진섭, 구현지, 서승원, 안은미, 민성길, 전우택 (2006). 북한이탈주민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3년 추적연구. 신경정신의학, 45(1), 49-56.

43.

황경희 (2018). 북한이탈주민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 연구: 북한출신 정신건강 전문인력 활용을 중심으로. 북한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4.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Arlington, VA: Author.

45.

Baranowsky, A. B., Gentry, J. E., & Schultz, D. F. (2011). Trauma practice: Tools of stabilization and recovery (2nd ed.). Toronto: Hogrefe & Huber Publishing.

46.

Berry, J. W., & Kalin, R. (1995). Multicultural and ethnic attitudes in Canada. Canadian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 27, 310-320.

47.

Danforth, M. M., & Glass, J. C. (2001). Listen to my words, give meaning to my sorrow: A study in cognitive constructs in middle-age bereaved widow. Death Studies, 25, 513-329.

48.

Fazio, R. J., & Fazio, L. M. (2005). Growth through loss: Promoting healing and growth in the face of trauma, crisis, and loss. Journal of Loss and Trauma, 10, 221-252.

49.

Foa, E. B., & Riggs, D. S. (1993).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rape victims. In J. Oldham, M. B. Riba, & A. Tasman (Eds.), American psychiatric press review of psychiatry (Vol. 12, pp273-303).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

50.

Janoff-Bulman, R. (1989). Assumptive worlds and the stress of traumatic events: Applications of the schema construct. Social Cognition, 7(2), 113-136.

51.

Janoff-Bulman, R. (1992). Shattered assumptions: Towards a new psychology of trauma. New York: The Free Press.

52.

Jeon, W. T., Hong, C. H., Lee, C. H., Kim, D. K., Han, M. Y., & Min, S. K. (2005). Correlations between traumatic events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North Korea defectors in South Kore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8, 147-154.

53.

Joseph, S. (2011). What doesn’t kill us: a guide to overcoming adversity and moving forward. London: Piatkus.

54.

Kilpatrick, D. G. (2005). A special section on complex trauma and a few thoughts about the need for more rigorous research on treatment efficacy, effectiveness, and safety.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8, 379-384.

55.

Keyes, C. L. (2006). Subjective well-being in mental health and human development research worldwide: An introduction. Social Indicators Research, 77, 1-10.

56.

Linley, P. A., & Joseph, S. (2004). Positive change following and adversity: A review.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7(1), 11-21.

57.

Martin, L., & Tesser, A. (1996). Some ruminative thoughts. In R. S. Wyer (Eds.), Advances in Social Cognition.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58.

Maxwell, J. A. (1996). Qualitative Research Design-An Interactive Approach. London: SAGA.

59.

Park, C. L., Cohen, L. H., & Murch, R. L. (1996). Assessment and prediction of stress-related growth. Journal of Personality, 64(1), 71-105.

60.

Resick, P. A., & Schnicke, M. K. (1993). Cognitive processing therapy for rape: A treatment manual. Newbury Park, CA: Sage.

61.

Rosenblatt, P. (2000). Parent grief: Narrative of loss and relationship. Philadelphia: Brunner/Masel.

62.

Seligman, M. E. P. (2002). Positive psychology, positive prevention and positive therapy. In C. R. Snyder, & S. J. Lopez (Eds.), Handbook od positive psychology (pp. 3-9).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63.

Seligman, M. E. P., & Csikszentmihalyi, M. (2000).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American Psychologist, 55(1), 5-14.

64.

Shaffer, L. F., & Shoben, E. J. (1956). The psychology of adjustment (2nd ed.). Houghton Mifflin Ca.

65.

Taku, K., Calhoun, L. G., Cann, A., & Tedeschi, R. G. (2008). The role of rumination in the coexistence of distress and posttraumatic growth among bereaved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Death Studies, 32, 428-444.

66.

Tashiro, T., & Frazier, P. (2003). “I'll never be in a relationship like that again.”: Personal growth following romantic relationship breakups. Personal Relationship, 10, 113-128.

67.

Tedeschi, R. G., & Calhoun, L. G. (1996).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9, 455-471.

68.

Tedeschi, R. G., & Calhoun, L. G. (2004).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 and empirical evidence. Psychological Inquiry, 15, 93-102.

69.

Triplett, K. N., Tedeschi, R. G., Cann, A., Calhoun, L. G., & Reeve, C. L. (2012). Posttraumatic growth, meaning in life, and life satisfaction in response to trauma. Psychological Trauma: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Policy, 4(4), 400-410.

70.

Um, M. Y., Chi, I., Kim, H. J., Palinkas, L. A., & Kim, J. Y. (2015). Correlates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North Korean refugees adapting to South Korea society: The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discrimination. Social Science & Medicine, 131, 107-113.

71.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4). Promoting mental health: Concepts, emerging evidence, practice. Geneva: Author.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