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초기부적응도식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거부민감성과 외로움의 매개효과를 구조방정식 모델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 지역 고등학생 4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초기부적응도식이 직접적으로 거부민감성과 외로움에 영향을 미치고, 거부민감성과 외로움이 SNS중독경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초기부적응도식이 SNS중독경향성에는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변인들의 개별적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초기부적응도식이 거부민감성을 매개로 SNS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고, 초기부적응도식이 외로움을 매개로 SNS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며, 초기부적응도식이 거부민감성과 외로움을 순차적으로 거치는 이중매개로 SNS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초기부적응도식으로 인해 생겨난 거부민감성과 외로움이 청소년 시기의 SNS중독경향성과 높은 관련성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므로, SNS중독경향성을 보이는 청소년의 상담 과정에서 거부민감성과 외로움 및 이러한 정서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초기부적응도식을 살펴서 주요한 요소로 다루는 전략을 세울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방향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early maladaptive schema, rejection sensitivity, loneliness, and social network services (SNS) addiction tendency in adolescents an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loneliness on the effect of early maladaptive schema on SNS addiction tendenc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early maladaptive schema affected SNS addiction tendency through rejection sensitivity or loneliness, and early maladaptive schema was affected through double mediation through rejection sensitivity and loneliness, sequentially. This study confirmed that rejection sensitivity and loneliness caused by early maladjustment schema are highly correlated with SNS addiction tendency in adolescents, which suggests that counseling strategies for these clients should address emotional respons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s well as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강현철 (2013). 구조방정식모형에서 적합도지수의 해석과 모형적합 전략에 대한 논의. 한국자료분석학회지, 15(2), 653-668.
김수성 (2016). 초기부적응도식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영근 (2013). 치료적 요인으로서의 상담자 요인에 대한 내담자의 인식 차원.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2), 203- 226.
김영근 (2016). 치료적 관계 안에서의 내담자의 변화와 성장. 인간․환경․미래, (17), 111-142.
김은정 (2010). 아동기 외상과 초기성인기 우울수준과의 관계: 초기부적응도식과 정서표현양가성 회피대처방식의 매개효과.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지연, 신민섭, 이영호 (2011). 대학생의 외로움 및 우울의 인지적 특성: 초기부적응도식을 중심으로. 청소년문화포럼, 27, 40- 60.
김지하 (2014). 성격특성과 친애욕구가 페이스북 활동과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진선 (2009). 거절민감성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자기 침묵을 매개변인으로.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현지 (2003). 어머니와의 애정적 유대와 아동의 외로움 및 대인관계 성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형지, 김정환, 정세훈 (2012). 스마트폰 중독의 예측 요인과 이용 행동에 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9(4), 55-93.
도현심 (1999). 부모에 대한 애착 및 또래경험과 초기 청소년의 외로움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0(3), 33-49.
박명진, 양난미 (2017). 대학생 거부민감성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9(1), 103-127.
박선영, 도현심 (1998). 가족기능 및 자아존중감과 청소년의 외로움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19(1), 229-244.
박웅기 (2013). 청소년의 SNS 중독에 관한 탐색적 연구. 언론과학연구, 13(4), 305-342.
박지은 (2018). 고등학생의 거부민감성이 또래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경현, 조성현 (2013). SNS 중독경향성 관련 요인 탐색: 내현적 자기애, 자기제시 동기 및 소외감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1), 239-250.
심보현 (2013). 청소년의 거절 민감성 및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오누리 (2018). 대인관계문제가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자기개념명확성의 매개효과.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오윤경 (2012). SNS중독경향성과 외로움, 우울, 대인관계, 사회적지지의 관계. 한국상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우공선 (2011).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 충족과 중독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아진, 서영석 (2017). 단절 및 거절 도식과 정서적 단절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친밀함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8(5), 41-60.
이미열 (2006). 청소년기 애착과 우울증과의 관계: 초기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선경 (2017). 불안정 성인애착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수진 (2012). 외로움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초기부적응도식의 조절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정화, 김호영, 강정석 (2017). 외로움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대인관계 지향성의 조절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6(2), 154-164.
이주희 (2019). 단절 및 거절도식과 외로움의 관계: 거절민감성, 정서표현 양가성 및 친밀함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희경, 김경희, 이홍권 (2014). 거부민감성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긍정정서를 통한 파국적 사고의 매개된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1), 97-121.
임도윤 (2017).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 초기부적응도식, 대인관계문제,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장혜진 (2002). 휴대폰 중독적 사용집단 청소년들의 심리적 특성: 자기개념, 애착, 자기 통제력, 충동성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전효정, 이귀옥 (1999). 청소년기 외로움과 부적응에 관한 이론 고찰. 경성대학교 논문집, 20(1), 289-303.
정하나 (2015). 청소년의 초기부적응도식과 거부민감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대구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춘화 (2018). 고등학생의 SNS 이용동기, 대인관계능력, 자아존중감이 SNS 중독경향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 637-655.
최시원 (2019). 대학생의 초기부적응도식과 관계중독의 관계: 거부민감성과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통계청 (2017). 2017년 청소년 통계.http://kosis.kr 에서 검색
홍구표, 전혜성 (2017). 대학생의 SNS중독경향성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7(1), 34-67.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 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황희은, 김향숙 (2015) 자존감, 사회불안 및 대인관계 지향성이 중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2(9), 233-25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6). 한국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사용자 특성 및 사용 결정 요인 분석. 서울: KISDI 보고서. http://www.kisdi.re.kr 에서 검색
한국인터넷진흥원 (2009). 인터넷 이용자의 SNS 이용 실태 조사. http://www.kisa.or.kr 에서 검색
한국인터넷진흥원 (2014). 2014모바일 인터넷 이용 실태 조사 최종보고서. http://www.kisa.or.kr 에서 검색
한국정보화진흥원 (2013). 2012년 인터넷 중독 실태 조사. 서울. http://www.nia.or.kr 에서 검색
한국정보화진흥원 (2015). 2015년 인터넷 과의존 실태 조사. http://www.nia.or.kr 에서 검색
Asher, S. R., & Paquette, J. A. (2003). Loneliness and peer relations in childhood.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2(3), 75-78.
Brennan, T. (1982). Loneliness at adolescence. In L. Peplau, & D. Perlman (Eds.), Loneliness: A source 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 (pp. 269-290). New York: Wiley.
Bretherton, I., Ridgeway, D., & Cassidy, J.(1990). Assessing internal working models of the attachment relationship. In M. T. Greenberg, D. Cicchetti, & E. M. Cummings (Eds.), Attachment in the preschool years: Theory, research, and intervention (pp. 273-308).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Feldman, S., & Downey, G. (1994). Rejection sensitivity as a mediator of the impact of childhood exposure to family violence on adult attachment behavior.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6(1), 231-247.
Heinrich, L. M., & Gullone, E. (2006).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loneliness: A literature review. Clinical Psychology Review, 26(6), 695-718.
Hofmann, W., Vohs, K. D., & Baumeister, R. F. (2012). What people desire, feel conflicted about, and try to resist in everyday life. Psychology Science, 26(6), 582-588.
Levy, S. R., Ayduk, O., & Downey, G. (2001). The role of rejection sensitivity in people’s relationships with significant others valued social group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ietrzak, J., Downey, G., & Ayduk, O. (2005). Rejection sensitivity as an interpersonal vulnerability. Interpersonal Cognition, 1, 62-84.
Russell, D., Peplau, L. A., & Cutrona, C. E. (1980).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evid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3), 472-480.
Russell, D. W., Kahn, J. H., Spoth, R., & Altmaier, E. M. (1998).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1), 18-29.
Sullivan, H. S. (1953). The interpersonal theory of psychiatry. New York: Norton.
Shaver, P. R,, & Rubenstein, C. (1980). Childhood attachment experience and adult loneliness. In L. Wheeler (Ed.). Review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1, pp. 42-73). Beverly Hills, CA: Sage.
Taylor, A. B., MacKinnon, D. P., & Tein, J. Y. (2008). Tests of the three-path mediated effect.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11(2), 241-269.
Valkenburg, P. M., Schouten, A. P., & Peter, J. (2005). Adolescents’ identity experiments on the Internet. New Media & Society, 7(3) 383-402.
Watson, J., & Nesdale, D. (2012). Rejection sensitivity, social withdrawal, and loneliness in young adult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42(8), 1984-2005.
Weiss, R. S. (1973). Loneliness: The experience of emotional and social isolation. Cambridge, MA: MIT Press.
Woodward, J. (1988). The solitude of loneliness. Lexington, MA: Lexington Books.
Young, J. E. (1990). Cognitive therapy for personality disorders. Sarasota, Fl: Professional Resources Press.
Young, J. E. (1994). Young Parenting Inventory. New York: Cognitive Therapy Center of New York.
Young, J. E. (1999). Cognitive therapy for personality disorders: A schema-focused approach (rev. ed.). Sarasota, Fl: Professional Resources Press.
Young, J. E., Klosko, J. S., & Weishaar, M. E. (2003). Schema therapy: A practitioner's guide. New York: Guilford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