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2,30대 성인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 자기불일치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Social Anxiety of Adults in 2,30s: The Mediation Effects of Self-discrepanc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초록

본 연구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불일치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고, 개별 매개변인의 간접효과 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2, 30대의 성인 258명이 한국판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척도, 자기질문지,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질문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및 사회 공포증 척도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불성실한 응답 및 결측치가 있는 응답 10부를 제외한 총 248명의 자료를 SPS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자기불일치,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사회불안은 서로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불일치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개별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불일치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개별 간접효과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keywords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사회불안, 자기불일치,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Social Anxiety, Self-Discrepancy,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s of self-discrepanc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social anxiety, and to compare the two indirect effects of each mediation variable. Participants were 248 adults in their 20s and 30s who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including the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Scale-K (PSPS-K), Self-Questionnair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CERQ),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SIAS), and Social Phobia Scale (SPS). Firs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self-discrepancy,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social anxiety. Second, each mediation effect of self-discrepanc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social anxie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difference in each mediation effect of self-discrepanc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keywords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사회불안, 자기불일치,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Social Anxiety, Self-Discrepancy,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참고문헌

1.

강병은, 신현숙 (2015).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유능성 욕구 충족의 조절효과. 교육연구, 38, 77-95.

2.

강병은, 신현숙 (2019). 간호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인문사회, 10(3), 33-48.

3.

국민건강보험공단 (2015). 질병 세 분류(4단 상병)통계. https://nhiss.nhis.or.kr/bd/ad/bdada 037cv.do에서 자료 얻음.

4.

권은미, 신민섭, 김은정 (2009).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공포증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8(3), 627-642.

5.

김나경, 양난미 (2016).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 거부민감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7(2), 217-238.

6.

김남재 (2001). 대인불안과 우울에서의 자기불일치. 심리과학, 10, 55-67.

7.

김남재 (2004). 자기제시 동기와 대인간 평가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 677-695.

8.

김다정, 오경자 (2017).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6(1), 56-63.

9.

김민경, 현명호 (2013). 내면화된 수치심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기제시동기, 자기제시기대, 정서표현갈등의 매개효과: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2(1), 161-177.

10.

김민선, 서영석 (2009).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8(3), 525-545.

11.

김병직, 이동귀, 이희경 (2012). 사회부과 완벽주의 및 자기지향적 완벽주의와 우울간의 매개변인 탐색: 사회불안과 반추. 상담학연구, 13(2), 417-436.

12.

김소희 (2004). 스트레스 사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김아롱, 김정민 (2018). 대학생의 자기불일치가 우울 및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사후반추사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서․행동장애연구, 34(3), 185-203.

14.

김아름, 이지연 (2011). 완벽주의와 정서강도, 정서인식 명확성에 따른 하위집단과 정신건강. 열린교육 연구 19, 197-218.

15.

김완일 (2008). 자기복잡성과 인지적 유연성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3), 715-734.

16.

김향숙 (2001). 사회공포증 하위유형의 기억편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김효진 (2017).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대인불안의 관계에서 자기불일치와 회피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남유진 (2017).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 대처방식의 중재효과.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류리나 (2012). 자기불일치와 불안 및 우울의 관계에서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고려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

박 은, 김정민 (2017). 대학생의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 사회불안 및 우울 간의 관계: 재확인 추구의 중재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2(3), 669-685.

21.

백수현, 이영순 (2013).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적 불안과의 관계에서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4(1), 385- 400.

22.

서수균 (1996). 자기집중적 주의, 실제 자기개념 및 자기안내자 선호성을 고려한 자기불일치와 우울 및 불안의 관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서영석 (2010). 상담심리연구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검증: 개념적 구분 및 자료 분석 시 고려 사항.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4), 1147-1168.

24.

성나래 (2009). 수치심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송기순 (2015).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이동귀, 서해나 (2010). 상담일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성향이 높은 대학생과 낮은 대학생의 특성비교. 상담학연구, 11(1), 91-110.

27.

이서정, 현명호 (2008).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인지적 정서조절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4), 887-905.

28.

임일모, 조용래, 김학렬 (1995). 자기-불일치와 심리적 불편감의 관계-자기-불일치 이론의 경험적 검증. 신경정신의학, 34, 1416- 1431.

29.

임 진, 김은정 (2012). 청소년의 실제-이상 자기 불일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9(1), 279-306.

30.

장휘숙 (2008). 성인초기의 발달과업과 시작시기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1(4), 109-126.

31.

전광탁 (2018).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실제-의무 자기불일치와 사후반추사고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정승아 (2004). 다차원적 자기불일치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정신건강연구, 23, 85-91.

33.

정승아, 오경자 (2005). 자기 불일치가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 자의식의 매개효과와 자기제시 동기의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4), 887-901.

34.

조용래, 원호택 (1999). 사회공포증에 대한 인지적 평가 3: 역기능적 신념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8(1), 141-162.

35.

하정희 (2011a). 한국판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척도 (PSPS-K)의 개발과 타당화. 상담학연구, 12(4), 1121-1140.

36.

하정희 (2011b). 대학생들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방어유형과 우울감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4), 921- 941.

37.

한성희 (2016).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기낙담,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홍경화, 홍혜영 (2011).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청소년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8(5), 291-319.

39.

Aldao, A., Nolen-Hoeksema, S., & Schweizer, S. (2010). Emotion-regulation strategies across psychopathology: A meta-analytic review. Clinical psychology review, 30(2), 217-237.

40.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 Arlington, VA: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서울: 학지사.

41.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42.

Baumeister, R. F. (1982). A self-presentational view of social phenomena. Psychological bulletin, 91(1), 3-26.

43.

Clark, D. M., & McManus, F. (2002). Information processing in social phobia. Biological psychiatry, 51(1), 92-100.

44.

Erikson, E. H. (1968). Identity: Youth and crisis, Noew York: Norton.

45.

Flett, G. L., Madorsky, D., Hewitt, P. L., & Heisel, M. J. (2002). Perfectionism cognitions, rumination, and psychological distress. Journal of Rational-Emotive and Cognitive-Behavior Therapy, 20(1), 33-47.

46.

Gramzow, R. H., Sedikides, C., Panter, A. T., & Insko, C. A. (2000). Aspects of self-regulation and self-structure as predictors of perceived emotional distres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6(2), 188-205.

47.

Gratz, K. L., & Roemer, L. (2004).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Development, factor structure,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aulation Scale.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ment, 26, 41-54.

48.

Garnefski, N., Kraaij, V., & Spinhoven, P. (2001). Negative life ev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problem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0(8), 1311-1327.

49.

Gross, J. J., & Jazaieri, H. (2014). Emotion, emotion regulation, and psychopathology: An affective science perspective. Clinical Psychological Science, 2(4), 387-401.

50.

Hamachek, D. E. (1978). Psychodynamics of normal and neurotic perfectionism. Psychology: A Journal of Human Behavior, 15(1), 27-33.

51.

Hambrick, J. P., Turk, C. L., Heimberg, R. G., Schneier, F. R., & Liebowitz, M. R. (2003). The experience of disability and quality of life in social anxiety disorder. Depression and anxiety, 18(1), 46-50.

52.

Havighurst, R. J. (1952). Developmental tasks and education. New York: McKa.

53.

Hayes, A. F. (2015). PROCESS MACRO를 이용한 매개분석․조절분석 및 조절된 매개분석 (이형권역). 서울: 신영사. (원전은 2013에 출판).

54.

Hayes, A. F. (2017).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Guilford Publications.

55.

Heimberg, R. G., & Becker, R. E. (2002). Cognitive-behavioral group therapy for social phobia: Basic mechanisms and clinical strategies. Guilford Press.

56.

Helbig‐Lang, S., Rusch, S., & Lincoln, T. M. (2015).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in social anxiety disorder and their specific contributions to anxious responding.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71(3), 241-249.

57.

Hewitt, P. L., Flett, G. L., Sherry, S. B., Habke, M., Parkin, M., Lam, R. W., Lam, R. W., McMurtry, B., Ediger, E., Fairlie, P., & Stein, M. B. (2003). The interpersonal expression of perfectio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psychological distr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6), 1303-1325.

58.

Hewitt, P. L., Blasberg, J. S., Flett, G. L., Besser, A., Sherry, S. B., Caelian, C., Papsdorf, M., Cassels T. G., & Birch, S. (2011).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Scale-Junior Form. Psychological assessment, 23(1), 125-142.

59.

Higgins, E. T., Klein, R., & Strauman, T. (1985). Self-concept discrepancy theory: A psychological model for distinguishing among different aspects of depression and anxiety. Social cognition, 3(1), 51-76.

60.

Higgins, E. T., Bond, R. N., Klein, R., & Strauman, T. (1986). Self-discrepancies and emotional vulnerability: How magnitude, accessibility, and type of discrepancy influence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1), 5-15.

61.

Higgins, E. T. (1987). Self-discrepancy: a theory relating self and affect. Psychological review, 94(3), 319-340.

62.

Hofmann, S. G. (2007). Cognitive factors that maintain social anxiety disorder: A comprehensive model and its treatment implications. Cognitive behaviour therapy, 36(4), 193-209.

63.

Hofmann, S. G., Sawyer, A. T., Fang, A., & Asnaani, A. (2012). Emotion dysregulation model of mood and anxiety disorders. Depression and anxiety, 29(5), 409-416.

64.

Jain, M., & Sudhir, P. M. (2010). Dimensions of perfectionism and perfectionistic self- presentation in social phobia. Asian journal of psychiatry, 3(4), 216-221.

65.

Leary, M. R., & Kowalski, R. M. (1995). The self-presentation model of social phobia. Social phobia: Diagnosis, assessment, and treatment, 94-112.

66.

Legerstee, J. S., Garnefski, N., Verhulst, F. C., & Utens, E. M. (2011). Cognitive coping in anxiety-disordered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ce, 34(2), 319-326.

67.

Mackinnon, S. P., Battista, S. R., Sherry, S. B., & Stewart, S. H. (2014).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predicts social anxiety using daily diary method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56, 143-148.

68.

Mackinnon, S. P., & Sherry, S. B. (2012).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concerns and subjective well-being: A three-wave longitudinal stud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53(1), 22-28.

69.

Makkar, S. R., & Grisham, J. R. (2011). Social anxiety and the effects of negative self-imagery on emotion, cognition, and post-event processing.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9(10), 654-664.

70.

Mattick, R. P., & Clarke, J. C. (199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easures of social phobia scrutiny fear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36(4), 455-470.

71.

Merikangas, K. R., Avenevoli, S., Acharyya, S., Zhang, H., & Angst, J. (2002). The spectrum of social phobia in the Zurich cohort study of young adults. Biological Psychiatry, 51(1), 81- 91.

72.

Schlenker, B. R., & Leary, M. R. (1982). Social anxiety and self-presentation: A conceptualization model. Psychological bulletin, 92(3), 641-669.

73.

Shiner, R. L., & Masten, A. S. (2002). Transactional links between personality and adaptation from childhood through adulthood.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36(6), 580-588.

74.

Strauman, T. J. (1989). Self-discrepancies in clinical depression and social phobia: cognitive structures that underlie emotional disorder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8(1), 14-22.

75.

Tangney, J. P., Niedenthal, P. M., Covert, M. V., & Barlow, D. H. (1998). Are shame and guilt related to distinct self-discrepancies? A test of Higgins's (1987) hypothes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5(1), 256-268.

76.

Wachtel, P. L. (1994). Cyclical processes in personality and psychopathology.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3(1), 51-54.

77.

Weilage, M., & Hope, D. A. (1999). Self-discrepancy in social phobia and dysthymia.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3(6), 637-650.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