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대학-직장 이행의 심리사회적 어려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sychosocial Difficulties of College to Work Transition Scale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직장으로의 이행과정에서 경험하는 심리사회적 어려움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우선, 대학-직장 이행의 심리사회적 어려움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개관하여 115문항의 초기문항을 개발하였고, 전문가 검토를 통해 48개의 예비문항을 도출하였다. 이어서 대학 졸업 후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대학교 3학년 이상 재학생 및 휴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예비연구를 실시하여 문항 양호도 검증을 통해 문항을 수정 및 보완하였다. 연구 1에서는 400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 2에서는 498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및 수렴, 변별, 공존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 과정에서 대학-직장 이행의 심리사회적 어려움 척도는 최종적으로 총 28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하위요인으로는 자신감 저하 8문항, 가족 의견 불일치 4문항, 경제적 어려움 4문항, 지지관계부족 5문항, 가족 기대에 대한 심적부담 3문항, 감정기복 4문항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는 대학생들이 직장으로의 이행과정에서 경험하는 심리사회적 어려움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이에 따른 효과적인 개입 영역과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연구에 기초적인 토대가 될 것이라고 기대된다.

keywords
대학-직장 이행, 심리사회적 어려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college to work transition, psychosocial difficulties,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Psychosocial Difficulties of College to Work Transition Scale (PDCWTS). First, 115 initial items were developed by reviewing prior research, then 48 preliminary items were derived through expert review. Using a preliminary test conducted with 300 students at or above the third year of college, who were preparing for employment after graduation, researchers corrected and supplemented items by verifying item quality. In Study 1, EFA was conducted based on data from 400 participants, and in Study 2 CFA was conducted to verify convergent, discriminant, and concurrent validity based on data from 498 participants. The final PDCWTS is composed of 28 items, and six sub-factors (decline in confidence, family disagreement, economic difficulties, lack of support, family expectation burden, and mood swings). The PDCWTS can be used to identify the psychosocial difficulties of the college to work transition and to establish effective interventions.

keywords
대학-직장 이행, 심리사회적 어려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college to work transition, psychosocial difficulties,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참고문헌

1.

강유리 (2006). 무용전공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공수연, 양성은 (2012). 청년구직자의 취업준비 과정에 대한 탐색적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0(2), 47-64.

3.

교육통계연계센터 (2019). 2019년 교육기본통계.

4.

김명옥 (2011).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취업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민선 (2018).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와의 진로갈등과 진로결정 어려움의 관계: 부정적 진로기대와 진로결정 불안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5(1), 135-157.

6.

김은정 (2014). 20대 청년층의 새로운 생애발달단계로서 “성인모색기”(Emerging Adulthood)에 관한 탐색 연구. 담론 201, 17(3), 83- 129.

7.

김지근, 이진구, 이기학 (2019). 대학-직장 이행을 위한 대처자원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6(3), 283-313.

8.

김지근, 허경민, 허다연, 이기학 (2018). 성인도래기의 대학-직장 이행과정에서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0(1), 217-248.

9.

김태기, 류장수, 이종훈, 이영대 (2015).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과 인적자원개발(Ⅰ): 대학재학생의 취업준비 실태와 정책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보고서.

10.

김효정, 김봉환 (2011). 청년구직자들이 진로결정과정에서 겪는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사례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3), 785-810.

11.

남미자 (2013). 초원을 달릴 수 없는 경주마; 대학생들의 취업에 관한 내러티브. 교육인류학연구, 16(2), 155-192.

12.

문찬주, 양찬주, 문하은, 나윤진, 김지은, 남인혜, 정동욱 (2018). 대학생의 생활비 대출과 대학 졸업 및 취업성과 간 관계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27(2), 1-27.

13.

박미진, 김진희, 정민선 (2009). 취업준비 대학생의 스트레스에 대한 질적 연구. 상담학연구, 10(1), 417-435.

14.

박혜주, 김은주, 천성문 (2012). 대학생 취업장벽 척도 개발. 대학생활연구, 18(1), 1-27.

15.

소용준, 박준성 (2016). 대학생활 적응에 따른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취업불안의 매개효과 검증. 취업진로연구, 6(4), 23-44.

16.

송윤희, 송원영 (2017). 대학생 취업 소진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2(3), 551-564.

17.

윤초롱 (2017). 취업 준비생의 심리적 어려움 및 지원요구.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이가영, 최태월, 이용선 (2015).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영 컨설팅 리뷰 6(2), 197-209.

19.

이기세, 이수정, 연규진 (2018). 대학생들의 부모기대부응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 진로수행회피목표의 매개 효과. 진로교육연구, 31(3), 21-41.

20.

이대용, 류동희, 김인환, 고태용 (2011). 한국대학생의 진로의식에 관한 연구. 취업진로연구, 1(2), 41-68.

21.

이미숙 (2011).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척도 개발.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이아라, 이주영, 김계현 (2013). 예방상담학적 관점에서의 국내 청년실업 연구동향과 개입방안. 상담학연구, 14(1), 115-141.

23.

이제경, 김동일 (2004). 한국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과 심리적 특성. 상담학연구, 5(4), 993-1016.

24.

이훈구, 김인경, 박윤창 (2000). 경제불황이 20대 미취업 실업자에 미치는 심리적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6(2), 87-101.

25.

임선영, 김태현 (2005). 청년 실업자의 개인적 특성과 가족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0(1), 51-73.

26.

장재윤, 남순현, 김범성, 신희천, 신현균 (2003). 청년실업에 대한 패널조사연구: 대졸 미취업자들의 구직 행태 및 정신 건강. 한국연구재단 연구보고서.

27.

장재윤, 신현균, 김은정, 신희천, 하재룡, 장해미 (2004). 대학 4학년생의 구직 행태에서의 성차.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3(2), 145-165.

28.

장재윤, 장은영, 신희천 (2006). 대졸자들의 취업 여부에 따른 정신건강의 변화.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5(1), 65-87.

29.

장춘미 (2009). 대학생 자살관련 요인과 자살예방을 위한 개입 방안모색. 학생생활연구, 22, 59-71.

30.

장휘숙 (2009). 성인초기의 발달과업과 행복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2(1), 19-36.

31.

전겸구, 김교현, 이준석 (2000). 개정판 대학생용 생활 스트레스 척도 개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5(2), 316-335.

32.

정범석, 정화민 (2014). 국내 대학생의 취업태도 및 취업준비 비용에 관한 연구. 경영과 정보연구, 33(4), 1-19.

33.

전상진, 정주훈 (2006). 한국 후기 청소년 세대의 발달경로와 성장유형. 한국사회학, 40(6), 261-285.

34.

정의석, 노안영 (2001).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우울증, 자아존중감 및 신체건강과의 관계 연구. 전남대학교 학생생활연구, 33, 85-101.

35.

정재호, 서유정 (2016). 대학 취업지원센터의 현황과 과제. 직업과인력개발, 19(2), 66- 79.

36.

조규판 (2008). 취업불안척도의 개발 및 타당도 연구. 敎育學硏究, 46(2), 53-75.

37.

최미혜 (2017).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경험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39, 347- 375.

38.

최승혜, 이혜영 (2014). 대학생의 불안, 취업스트레스 및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0), 619- 627.

39.

최옥현, 김봉환 (2006). 대학생의 진로낙관성과 진로적응성: Career Futures Inventory(CFI)의 타당화 연구. 상담학연구, 7(3), 821-833.

40.

통계청 (2018).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부가조사.

41.

한국교육개발원 (2019). 2019년 OECD 교육지표.

42.

황성원 (1998).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3.

Albert, K. A., & Luzzo, D. A. (1999). The role of perceived barriers in career development: A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77(4), 431-436. doi:10.1002/j.1556-6676.1999.tb02470.x

44.

Arnett, J. J. (2007). Suffering, selfish, slackers? Myths and reality about emerging adult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6(1), 23-29. doi:10.1007/s10964-006-9157-z

45.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L. J. S.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pp. 136-136). Newbury Park, CA: Sage.

46.

Chen, F. F. (2007). Sensitivity of goodness of fit indexes to lack of measurement invarianc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14(3), 464-504. doi:10.1080/10705510701301834

47.

Cheung, G. W., & Rensvold, R. B. (2002). Evaluating goodness-of-fit indexes for testing measurement invarianc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9(2), 233-255.doi:10.1207/S15328007SEM0902_5

48.

Choi, B. Y., Park, H., Nam, S. K., Lee, J., Cho, D., & Lee, S. M. (2011). The development and initial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Korean career stress inventory for college students.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59(6), 559-572.

49.

Cortina, J. M. (1993). What is coefficient alpha? An examination of theory and applica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8(1), 98-104. doi:10.1037/0021-9010.78.1.98

50.

Côté, J. E., & Bynner, J. M. (2008). Changes in the transition to adulthood in the UK and Canada: The role of structure and agency in emerging adulthood. Journal of Youth Studies, 11(3), 251-268.doi:10.1080/13676260801946464

51.

Fabrigar, L. R., Wegener, D. T., MacCallum, R. C., & Strahan, E. J. (1999). Evaluating the use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psychological research. Psychological Methods, 4(3), 272-299. doi:10.1037/1082-989X.4.3.272

52.

Galambos, N. L., Barker, E. T., & Krahn, H. J. (2006). Depression, self-esteem, and anger in emerging adulthood: seven-year trajectories. Developmental Psychology, 42(2), 350-365. doi:10.1037/0012-1649.42.2.350

53.

Greenberger, E., Chen, C., Dmitrieva, J., & Farruggia, S. P. (2003). Item-wording and the dimensionality of the Rosenberg self-esteem scale: Do they matter?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5(6), 1241-1254. doi:10.1016/S0191-8869(02)00331-8

54.

Hu, L. t.,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6(1), 1-55. doi:10.1080/10705519909540118

55.

Kälin, W., Semmer, N. K., Elfering, A., Tschan, F., Dauwalder, J.-P., Heunert, S., & Roten, F. C. v. (2000). Work characteristics and well-being of Swiss apprentices entering the labor market. Swiss Journal of Psychology, 59(4), 272-290. doi:10.1024//1421-0185.59.4.272

56.

Kline, R. B. (2016).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4th ed.). New York, NY: Guilford Press.

57.

Kuron, L. K., Schweitzer, L., Lyons, S., & Ng, E. S. (2016). Career profiles in the “new career”: Evidence of their prevalence and correlates. Career Development International, 21(4), 355-377. doi:10.1108/CDI-05-2015-0066

58.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59.

Lent, R. W., & Brown, S. D. (2008).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and subjective well-being in the context of work.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6(1), 6-21.doi:10.1177/1069072707305769

60.

Lent, R. W., Brown, S. D., & Hackett, G. (1994). Toward a unifying social cognitive theory of career and academic interest, choice, and performan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5(1), 79-122. doi:10.1006/jvbe.1994.1027

61.

McCubbin, H. I., & Thompson, A. I. (1987). Family assessment inventories for research and practice. WI: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62.

Mitchell, K. E., Levin, S., & Krumboltz, J. D. (1999). Planned happenstance: Constructing unexpected career opportunities.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77(2), 115-124. doi:10.1002/j.1556-6676.1999.tb02431.x

63.

Monteiro, A. M., Santos, P. J., & Gonçalves, C. M. (2015). Building a scale of the meanings of transition from higher education to work.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23(3), 481-492. doi:10.1177/1069072714547614

64.

Mortimer, J. T., Zimmer-Gembeck, M. J., Holmes, M., & Shanahan, M. J. (2002). The process of occupational decision making: Patterns during the transition to adulthood.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1(3), 439-465.doi:10.1006/jvbe.2002.1885

65.

Murphy, K. A., Blustein, D. L., Bohlig, A. J., & Platt, M. G. (2010). The college-to-career transition: An exploration of emerging adulthood.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88(2), 174-181.doi:10.1002/j.1556-6678.2010.tb00006.x

66.

Ng, T. W. H., & Feldman, D. C. (2007). The school-to-work transition: A role identity perspectiv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1(1), 114-134. doi:10.1016/j.jvb.2007.04.004

67.

Perrone, L., & Vickers, M. H. (2003). Life after graduation as a “very uncomfortable world”: An Australian case study. Education + Training, 45(2), 69-78.doi:10.1108/00400910310464044

68.

Pilotte, W. J., & Gable, R. K. (1990). The impact of positive and negative item stems on the validity of a computer anxiety scal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0(3), 603-610. doi:10.1177/0013164490503016

69.

Polach, J. L. (2004). Understanding the experience of college graduates during their first year of employment.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15(1), 5-23. doi:10.1002/hrdq.1084

70.

Rodebaugh, T. L., Woods, C. M., & Heimberg, R. G. (2007). The reverse of social anxiety is not always the opposite: The reverse-scored items of the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do not belong. Behavior Therapy, 38(2), 192-206. doi:10.1016/j.beth.2006.08.001

71.

Rottinghaus, P. J., Day, S. X., & Borgen, F. H. (2005). The career futures inventory: A measure of career-related adaptability and optimism.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3(1), 3-24. doi:10.1177/1069072704270271

72.

Ryan, P. (2001). The school-to-work transition: A cross-national perspective.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39(1), 34-92.

73.

Savickas, M. L. (2013). Career construction theory and practice. In S. D. Brown & R. W. Lent (Eds.), Career development and counseling: Putting theory and research to work (2nd ed., pp. 147-183). NJ: John Wiley & Sons.

74.

Shepherd, M., Cooper, B., Brown, A., & Kalton, G. (1966). Psychiatric disorders in general practice.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75.

Swanson, J. L., & Woitke, M. B. (1997). Theory into practice in career assessment for women: Assessment and interventions regarding perceived career barrier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5(4), 443-462.doi:10.1177/106907279700500405

76.

Terry, D. J. (1991). Predictors of subjective stress in a sample of new parents. Australian Journal of Psychology, 43(1), 29-36.doi:10.1080/00049539108259093

77.

Thoits, P. A. (1986). Social support as coping assistanc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4(4), 416-423.doi:10.1037/0022-006X.54.4.416

78.

Wong, N., Rindfleisch, A., & Burroughs, J. E. (2003). Do reverse-worded items confound measures in cross-cultural consumer research? The case of the material values scal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0(1), 72-91.doi:10.1086/374697

79.

Wood, F. B. (2004). Preventing postparchment depression: A model of career counseling for college seniors. Journal of Employment Counseling, 41(2), 71-79.

80.

Wyn, J., & White, R. (2000). Negotiating social change: The paradox of youth. Youth & Society, 32(2), 165-183.doi:10.1177/0044118X00032002002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