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성소수자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A Content Analysis: Research on Sexual Minorities in South Korea

초록

본 연구는 성소수자에 관한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국내 상담 연구에서 성소수자가 어떻게 논의되고 이해되어 왔는지를 파악하고, 나아가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여 성소수자 내담자에 대한 상담자의 상담역량 증진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00년도부터 2019년 6월까지 발표된 학술지 논문과 학위논문 중 성소수자와 관련된 총 84편을 대상으로 연구주제, 대상, 방법 등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행연도별 논문 수는 2000년을 시작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둘째, 주제별 연구 동향은 성소수자의 정신건강 수준 및 관련 변인 연구가 31편(36.9%)으로 가장 많았고, 성소수자의 고유한 경험에 관한 연구가 17편(20.2%), 성소수자 상담모델 및 상담역량 연구가 16편(19.0%)이었으며, 개관 연구가 7편(8.3%), 성소수자에 대한 비성소수자의 인식 연구가 6편(7.1%), 척도개발 연구 5편(6.0%), 기타 2편(2.4%) 순이었다. 셋째, 연구 참여자를 기준으로 보면, 대다수의 연구가(84%)가 (상담자나 내담자가 아닌)일반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넷째, 연구 방법의 경우 양적 연구가 전체 연구의 58.3%를 차지했으며 질적 연구(29.8%), 개관 연구(10.7%), 혼합 연구(1.2%) 순이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추후 연구에 대한 방향과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keywords
Sexual Minorities, LGBTQIA, Content Analysis, 성소수자, LGBTQIA, 연구동향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how sexual minorities have been discussed and understood in the South Korean counseling literature by conducting a content analysis of research on sexual minorities. This study analyzed 84 articles published from 2000 to June 2019, focusing on research topics, subjects, and methodologies.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annual number of publications in this area has been increasing continuously since 2000. Research topics in order of frequency were: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minority identity and mental health-related variables(36.9%), understandings of the experiences of sexual minorities(20.2%), counseling competencies for sexual minority clients(19.0%), content analyses(8.3%), and perceptions of sexual minorities(7.1%). Members of the general public were the most commonly studied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ologies used in order of frequency were: quantitativ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nd mixed-method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keywords
Sexual Minorities, LGBTQIA, Content Analysis, 성소수자, LGBTQIA, 연구동향

참고문헌

1.

가상준 (2016). 혐오집단에 대한 한국인의 정치관용 및 태도. 동서연구, 28, 1-24.

2.

강병철 (2011). 사회적 낙인 인식이 성소수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42(2), 381-417

3.

강병철, 하경희 (2005). 청소년 동성애자의 동성애 관련 특성이 자살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2(3), 267-289.

4.

강병철, 하경희 (2007). 청소년 동성애자의 성정체성 드러내기가 자살위험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35, 167-189.

5.

강병철, 하경희 (2012). 청소년 성소수자의 긍정적 성정체성 형성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청소년학연구, 19(2), 99-128.

6.

강선경, 전지형 (2013). HIV에 감염된 동성애자들의 삶의 경험 연구. 생명연구, 30, 40-73.

7.

강진령 (2005). 한국 상담의 비교 문화적 고찰을 통한 상담의 활성화 방안 연구. 학습자중심교과 교육연구, 9, 23-42.

8.

강혜영 (2011). 상담에서의 마케팅 연구 동향과 과제. 아시아교육연구, 12(3), 99-124.

9.

공성욱, 오강섭, 노경선 (2002). 남성동성애자와 남성이성애자의 삶의 질과 정신건강 비교. 신경정신학회지, 41(5), 930-941.

10.

공춘옥, 정윤경, 박수영 (2018). 성소수자(LGB)의 상담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질적탐구, 4, 197-232.

11.

길원평, 류혜옥 (2013). 동성애 유발요인과 기독교상담의 가능성에 대한 탐구.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4(4), 33-48.

12.

김경호 (2009). 청소년 동성애와 상담방안에 관한 연구: 개별, 집단, 가족, 학교 상담을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0(2), 135-168.

13.

김나나 (2018). 성소수자의 정체성 형성과정에 미치는 종교의 영향에 관한 생애사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김미란 (2018). 상담자의 동성애상담유능감과 동성애 내담자의 인상형성의 관계: 사회문제옹호의 매개효과.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김미영 (2007). 성정체성의 복합성. 사회와 이론, 10, 301-349.

16.

김선영 (2014). 성 소수자 바라보기: 학생들의 성 소수자에 대한 태도 연구. 교육학연구, 52, 23-52.

17.

김성연 (2013). 대인관계 심리학적 모형으로 본 동성애자의 자살.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김수연, 김민지 (2018). 동성관계에서의 데이트폭력 피해경험과 성적자기주장, 폭력허용도와의 관계. 인문사회과학연구, 19(4), 489-523.

19.

김영란 (2013). 다문화사회 한국의 사회통합과 다문화주의 정책. 한국사회, 14(1), 3-30.

20.

김영혜 (2013). 국내 20대 레즈비언들의 연애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김용희, 반건호 (2005). 한국판 동성애 공포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0(3), 327-336.

22.

김유니 (2005). 청소년의 동성애에 대한 태도와 동성애적 성향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연구: 우울과 자살생각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김유숙 (2016). 성적 소수자가 인지한 사회적 지지와 소수자 스트레스가 전문적 도움추구태도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김은경, 권정혜 (2004). 동성애 관련 스트레스가 남성 동성애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4), 969- 981.

25.

김은하, 박승민 (2011). 작업동맹(working alliance)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1), 1-25.

26.

김은하, 신윤정 (2016). 중, 고등학교 교사의 권위주의 성향, 전통적 성역할 태도 및 정서적 공감이 동성애공포에 미치는 영향: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심리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3(3), 431-453.

27.

김종선 (2017). 아동청소년 상담자의 권위주의 성격 특성에 따른 동성애 내담자 상담에 대한 유능감 인식.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김준우 (2008). 트랜스젠더의 경험을 통해 본 젠더 정체성 형성 과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김진이 (2017). 가족의 거부로 인한 성소수자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 문제, 23(4), 605-634.

30.

김춘희, 손은령 (2014). 국내 다문화상담연구 현황. 상담학연구, 15(6), 2209-2223.

31.

김태호 (2009). 상담의 윤리와 효율성 향상을 위한 다문화적 접근. 다문화교육연구, 2, 54-76.

32.

김하영 (2018) 여성 성소수자의 차별과 배제에 관한 연구: 레즈비언 페미니즘의 관점을 중심으로. 문화 28(2), 183-214.

33.

김형지, 김향숙 (2018). 성적 소수자 지향성과 자살 위험성 간의 관계에 대한 체계적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7(2), 185-220.

34.

김형지, 신정훈, 연규진, 김향숙 (2015). 동성애적 지향성을 지닌 대학생 남성의 사회불안 경험과 사회적지지 특성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4 (4), 811-841.

35.

남순임, 박주영 (2017). 전문상담교사 대상 연구의 동향 분석. 상담학연구, 18(6), 451- 471.

36.

노철우 (2010). 청소년의 성 정체성 문제와 기독교상담 방안. 성결심리상담, 2, 115-158.

37.

류승아 (2017). 소수집단에 대한 접촉경험, 위협감, 편견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31(4), 225-245.

38.

민재옥 (2016). 사회적 낙인이 이성애자, 게이, 트렌스젠더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9.

박도담 (2017). 한국판 성적지향 마이크로어그레션 척도(Korean version of Sexual Orientation Microaggressions Scale; K-SOMS) 타당화.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0.

박미란 (2019). 성소수자(LBGT)의 소수자 스트레스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박수영, 공춘옥, 정윤경 (2018). 동성애자 및 양성애자 내담자의 상담참여 결정요인에 대한 인식. 상담학연구, 19(3), 367-383.

42.

박수진 (2018). 성소수자의 소수자스트레스가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정서적 고립의 매개효과와 자기수용의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한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3.

박수현 (2010). 동성애자의 소수자 스트레스와 대처 전략에 따른 심리사회적 적응의 차이.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박의주 (2012). 남성동성애자의 내재화된 동성애혐오와 심리적 안녕감, 드러내기 간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건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5.

박승민 (2012). 상담학 분야의 질적연구 경향 분석-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3(2), 953-977.

46.

박장미 (2019). 대학생 성소수자의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일 연구. 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박정은 (2013). 내담자에 대한 상담자의 불편감이 상담자 정보처리 과정에 미치는 영향: 동성애 내담자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8.

박준호 (2014). 대학생 동성애 상담: 상담자 훈련을 위한 체계적 모델의 활용. 인간이해, 35(1), 53-71.

49.

박지수 (2018). 남성동성애자가 경험하는 성 정체감 형성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배진화 (2008). 동성애자의 자살 관련 행동의 특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백은정, 유영권 (2004). 기독 남성동성애자의 스트레스와 적응과정: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4), 825-842.

52.

비온뒤무지개재단 (2019). LGBQQIA 내담자들을 위한 ALGBTIC 상담역량.http://rainbowfoundation.co.kr/xe/index.php?mid=board_CHDG15&page=1&document_srl=4377&document_srl=4377.

53.

서영석, 이정림, 강재희, 차주환 (2007). 상담자의 동성애혐오반응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2), 213-237.

54.

서영석, 이정림, 차주환 (2006). 성역할태도, 종교성향, 권위주의 및 문화적 가치가 대학생의 동성애혐오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1), 177-199.

55.

성적지향․성별정체성 법정책연구회 (2016). 한국 LGBTI인권현황2016,http://sogilaw.org/69.

56.

손주연 (2019). 소수자 스트레스가 동성애자 및 양성애자의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속박감을 통한 긍정적 정체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7.

송수경, 구자경 (2017). 초심상담자에 관한 연구 동향. 상담학연구, 18(5), 1-19.

58.

신동열 (2010). 성소수자의 성인식, 성태도, 성행동에 관한 연구. 에니어그램연구, 7(2), 111-14.

59.

신재승 (2005). 동성애에 대한 목회상담학적 접근. 장로회신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0.

안이환 (2002). 게이 내담자의 로샤와 주제통각검사 반응. 미술치료연구, 9, 77-97.

61.

양희선 (2017). 상담자의 성소수자 상담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2.

여기동, 이미형 (2006). 한국 남성의 동성애 성정체성 발달과정과 정신건강. 정신간호학회지, 15(3), 289-298.

63.

연성흠 (2019). 대학생 동성애자의 불안 감소와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미술심리치료 사례 연구. 한일장신대학교 심리치료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4.

우사라, 유성경 (2017). 상담자의 동성애에 대한 부정적 태도와 동성애자 상담 유능감에 따른 임상적 판단 및 반응.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9(2), 311-334.

65.

우종민, 백종우, 이주영 (2010). 정신건강증진의 개념과 발전 방향. 신경정신의학, 49, 163-170.

66.

원숙연 (2017). 이주외국인과 성소수자에 대한 ‘사회적 관용’의 구조와 정책적 함의: 탐색적 비교연구. 한국행정학보, 51(3), 225- 256.

67.

윤성옥, 성승연 (2011). 성적지향에 수용적인 레즈비언의 젠더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4), 1017-1049.

68.

윤성현, 류혜옥 (2016). 기독 청소년의 신앙요소에 따른 성의식, 동성애 태도와의 상관연구.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7(3), 105- 137.

69.

윤수진 (2019). 성소수자(LGB)가 겪는 성적지향 마이크로어그레션이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대처 전략을 통한 긍정적 정체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가톨릭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0.

윤이현, 유민희, 류재희, 박선웅 (2016). 동성애자에 대한 외현적 및 암묵적 태도.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2(3), 343- 362.

71.

윤혜순 (2014). 탈북청소년 연구동향과 과제. 청소년학연구, 21(11), 125-149.

72.

이동호 (2015). 남성 동성애자의 감각추구 성향, 수동공격, 자기수용, 외로움 및 관계중독 간의 관계. 삼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3.

이민정 (2015). 한국에서 성 소수자에 대한 기독교상담사의 인식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 기독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4.

이성원 (2017). 성소수자(LGB)의 공동체 의식, 긍정적 정체성과 정신적 웰빙 간의 관계: 소수자 스트레스 대처 전략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5.

이솔희 (2019). 한국판 LGB 미묘한 차별 경험 척도(K-LGB-MA)의 개발 및 타당화.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6.

이승화 (2013). 여중생의 성적 지향성에 따른 자기수용이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성소수자에 대한 개방성과 자기성찰을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7.

이영선, 권보민, 이동훈 (2012). 청소년의 동성애 경험, 성의식, 동성애 혐오, 우울의 관계. 재활심리연구, 19(1), 129-147.

78.

이영식, 전창무, 김소연, 고복자 (2005). 성주체성 문제 혹은 동성애적 성향을 보이는 청소년들의 자아 존중감과 성 개방성. 소아청소년정신의학, 16(2), 231-238.

79.

이영선, 김소라 (2010). 사이버 상담으로 호소된 청소년의 동성애 관련 문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8(2), 93-112.

80.

이지은 (2005). 십대여성이반의 커뮤니티 경험과 정체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1.

이혜민, 박주영, 김승섭 (2014). 한국 성소수자 건강연구. 보건과 사회과학, 36, 43-76.

82.

이호림 (2015). 소수자 스트레스가 한국 성소수자(LGB)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3.

임민경 (2014). 남녀 동성애자의 내면화된 성적 낙인 척도 타당화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4.

임수연 (2017). 남성 동성애자의 부정적 암묵적 태도가 심리적 불편감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심리서비스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5.

임수진, 손창호, 박기환, 최영희 (2004). 원저 (原著): 한국 남성 성주체성 장애 환자의 심리검사에서 나타난 정신병리적 특징. 정신병리학, 13(1), 16-23.

86.

장미래 (2019). 여성 성소수자의 드러내기와 심리사회적 적응 간의 관계: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7.

장지윤, 안현의 (2018). 한국판 동서애자/양성애자 긍정적 정체성 척도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0(2), 273- 295.

88.

장현숙 (2011). 여성 청소년 동성애자의 사회적 불안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효과 연구.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9.

전형준, 강윤경 (2017). 동성애에 대한 복음주의 상담적 접근. 복음과 상담, 25(1), 219- 254.

90.

정현영 (2018). 청소년 성소수자의 성 정체성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1.

조남정, 최은미, 최희진, 장선철 (2010). 상담일반: 상담학의 연구 동향 분석: [상담학연구] 학회지 게재논문 (창간년도~2009). 상담학연구, 11(2), 507-524.

92.

조성호 (2003). 상담심리학 연구동향: 상담 및 심리치료학회지 게재논문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4), 811-832.

93.

조정은 (2016). 성소수자 미혼모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그림책 만들기 미술치료. 차의과대학교 미술치료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4.

조 항, 김계현, 이자명 (2009). 진로상담: 국내 진로 및 직업상담 연구 동향 분석: 국내 상담학회 및 상담심리학회 발간 학술지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0(4), 2099-2113.

95.

주재홍 (2017). 한국의 청소년 성소수자들로부터 알게 된 그들의 삶의 이야기들: 질적 사례 연구. 교육문화연구, 23(1), 175-215.

96.

찰스 웨너 (2000). 청소년기의 동성애 정체감의 위기. 상담과 선교, 00(봄), 66-83.

97.

출입국자 및 체류외국인 통계: 국적․지역별 결혼이민자현황 [국가통계포털]. (2019.11. 10.).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1&tblId=DT_1B040A16&vw_cd=MT_ZTITLE&list_id=A8&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MT_ZTITLE

98.

최가희 (2018). 사회정의와 상담심리의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0(2), 249-271.

99.

최은희, 윤혜미 (2011). 아동기 성폭력경험, 자아존중감, 성정체성노출 및 사회적 지지가 게이와 레즈비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7, 231-254.

100.

트라우마치유센터 사회적협동조합 사람마음 (2018). [소개] 트랜스젠더, 젠더 비순응 정체성을 지닌 사람들과의 심리학적 임상 실천 지침. Retrieved fromhttps://www.traumahealingcenter.org:46084/2419.

101.

한국게이인권운동단체친구사이 (2014). 한국LGBTI 커뮤니티 사회적 욕구조사 최종보고서. http://sogilaw.org/39.

102.

한국상담심리학회 (2018). 상담심리사 윤리강령. Retrieved from http://www.krcpa.or.kr/sub01_ 5.asp?menuCategory=1

103.

한국상담학회 (2016). 사단법인 한국상담학회 윤리강령. Retrieved fromhttp://www.counselors.or.kr/KOR/kca/law3.php.

104.

한연경 (2014). 커밍아웃을 통한 청소년 동성애자의 삶의 태도에 관한 연구. 서울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5.

허정은 (2004). 동성애자의 동성애 관련 스트레스 및 우울과 자살사고간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6.

허지선 (2015). 성소수자(LGBQ)의 자아 존중감과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배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7.

홍예진 (2015). 초심 상담자의 다문화수용성과 성소수자 내담자에 대한 평가 및 반응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8.

Alessi, E. J., Dillon, F. R., & Kim, H. M. (2015). Determinants of lesbian and gay affirmative practice among heterosexual therapists. Psychotherapy, 52(3), 298-307.

109.

American Counseling Association. (2014). American Counseling Association code of ethics. Alexandria, VA: Author.

110.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3). Guidelines on multicultural education, training, research, practice, and organizational change for psychologists. The American Psychologist, 58(5), 377-402.

111.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2a). APA dictionary of psychology (2nd ed.). Washington, DC: Author.

112.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2b). Guidelines for psychological practice with lesbian, gay, and bisexual clients. The American Psychologist, 67(1), 10-42.

113.

Association of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Issues in Counseling. (2009). Competencies for counseling with transgender clients. Alexandria, VA: Author.

114.

Bidell (2005). The sexual orienatation counselor competency scale: Assessing attitude, skills, and knowledge of counselor working with lesbian, gay, and bisexual clients. Counselor Education and Supervision, 44(4), 267-279.

115.

Bieschke, K. J., Hardy, J. A., Fassinger, R. E., & Croteau, J. M. (2008). Intersecting Identities of Gender-Transgressive Sexual Minorities: Toward a New Paradigm of Affirmative Psychology. In Biennial review of counseling psychology (pp. 191-222). Routledge.

116.

Bockting, W. O., Knudson, G., & Goldberg, J. M. (2006). Counseling and mental health care for transgender adults and loved ones: International Journal of Transgenderism, 9(3-4). 35-82.

117.

Bockting, W. O., Miner, M. H., Romine, R. E., Hamilton, A., & Coleman, E. (2013). Stigma, mental health, and resilience in an online sample of the US transgender population.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03(5), 943-951.

118.

Chen-Hayes, S. F. (1997). Counseling lesbian, bisexual, and gay persons in couple and family relationships: Overcoming the stereotypes. The Family Journal, 5(3), 236-240.

119.

Cochran, S. D., Sullivan, J. G., & Mays, V. M. (2003). Prevalence of mental disorders, psychological distress, and mental health services use among lesbian, gay, and bisexual adults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1(1), 53-61.

120.

Cole, E. R. (2009). Intersectionality and research in psychology. American Psychologist, 64(3), 170- 180.

121.

Council for Accreditation of Counseling and Related Educational Programs. (2015). 2016 CACREP standards. Retrieved fromhttp://www.cacrep.org/wp-content/uploads/2012/10/2016-CACREP-Standards.pdf

122.

Creswell, J. W., & Poth, C. N. (2016).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LA: Sage publications.

123.

Dillon, F., & Worthington, R. L. (2003). The lesbian, gay and bisexual affirmative counseling self-efficacy inventory (LGB-CSI): Development, validation, and training implication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0(2), 235-251.

124.

Fals-Stewart, W., O’Farrell, T. J., & Lam, W. K. (2009). Behavioral couple therapy for gay and lesbian couples with alcohol use disorders. Journal of Substance Abuse Treatment, 37(4), 379-387.

125.

Farmer, L. B., Welfare, L. E., & Burge, P. L. (2013). Counselor competence with lesbian, gay, and bisexual clients: Differences among practice settings. Journal of Multicultural Counseling and Development, 41(4), 194-209.

126.

Foster, A. B., & Scherrer, K. S. (2014). Asexual-identified clients in clinical settings: Implications for culturally competent practice. Psychology of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Diversity, 1(4), 422-430.

127.

Friedman, R. C. (1991). Couple therapy with gay couples. Psychiatric Annals, 21(8), 485-490.

128.

Hunt, B., Matthews, C., Milsom, A., & Lammel, J. A. (2006). Lesbia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 qualitative study of their experiences with counseling.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84(2), 163-173.

129.

Korell, S. C., & Lorah, P. (2007). An overview of Affirmative psychotherapy and counseling with transgender clients. In K. J. Bieschke, & R. M. Perez & K. A. Debord (Eds.), Handbook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with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clients. (pp.271-288).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30.

Lee, S. M., Suh, S., Yang, E., & Jang, Y. J. (2012). History,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of counseling in South Korea.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90(4), 494-499.

131.

Lemoire, S. J., & Chen, C. P. (2005). Applying person-centered counseling to sexual minority adolescents.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83(2), 146-154.

132.

Mallinckrodt, B., Miles, J. R., & Levy, J. J. (2014). The scientist-practitioner-advocate model: Addressing contemporary training needs for social justice advocacy. Training and Education in Professional Psychology, 8(4), 303-311.

133.

McDaniel, S. H., Grus, C. L., Cubic, B.A., Hunter, C. L., Kearney, L. K., Schuman, C. C., ... & Miller, B. F. (2014). Competencies for psychology practice in primary care. American Psychologist, 69(4), 409-429.

134.

Meyer, I. H. (2013). Prejudice, social stress, and mental health in lesbian, gay, and bisexual populations: Conceptual issues and research evidence. Psychology of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Diversity, 1(S), 3-26.

135.

Moradi, B., Mohr, J. J., Worthington, R. L., & Fassinger, R. E. (2009). Counseling psychology research on sexual (orientation) minority issues: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6(1), 5-22.

136.

Pachankis, J. E., Hatzenbuehler, M. L., Rendina, H. J., Safren, S. A., & Parsons, J. T. (2015). LGB-affirmative 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r young adult gay and bisexual me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 transdiagnostic minority stress approach.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83(5), 875-889.

137.

Pierce, C. (1970). Offensive mechanisms. In F. Barbour (Ed.), The black seventies (pp. 265- 282). Boston, MA: Porter Sargent.

138.

Sarno, E. L., Mohr, J. J., Jackson, S. D., & Fassinger, R. E. (2015). When identities collide: Conflicts in allegiances among LGB people of color. Cultural Diversity and Ethnic Minority Psychology, 21(4), 550-559.

139.

Sherry, A., Whilde, M. R. & Patton, J. (2005). Gay, Lesbian, and Bisexual Training Competencies i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ccredited Graduate Programs.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Practice, Training, 42(1), 116-120.

140.

Smiley, E. B. (1997). Counseling bisexual clients. Journal of Mental Health Counseling, 19(4), 373-382.

141.

Sue, D. W. (2010). Racial microaggressions in everyday life: Race, gender sexual orientation. Hoboken, NJ: Wiley & Sons.

142.

Sue, D. W., Arredondo, P., & McDavis, R. J. (1992). Multicultural counseling competencies and standards: A call to the profession. Journal of Multicultural Counseling and Development, 20(2), 64-88.

143.

Sue, D. W., Capodilupo, C., Torino, G., Bucceri, J., Holder, A., Nadal, K., & Esquilin, M. (2007). Racial microaggressions in everyday life: Implications for clinical practice. American Psychologist, 62(4), 271-286.

144.

Woodford, M. R., Chonody, J. M., Kulick, A., Brennan, D. J., & Renn, K. (2015). The LGBQ microaggressions on campus scale: A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study. Journal of homosexuality, 62(12), 1660-1687.

145.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4). Promoting mental health: concepts, emerging evidence, practice: Summary Report. Geneva, Switzerland.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