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88
본 연구는 청년기 이전 유형별 학대 경험, 거부민감성, 정서조절곤란, 대학생의 사회적 위축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청년기 이전 유형별 학대 경험과 대학생의 사회적 위축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정서조절곤란의 역할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성인 남녀 대학생 총 449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고, spss 28.0, amos 26.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첫째, 청년기 이전 학대 경험과 대학생의 사회적 위축의 관계를 거부민감성이 완전 매개하였다. 둘째, 청년기 이전 학대 경험의 하위 유형인 정서적 학대와 대학생의 사회적 위축의 관계를 정서조절곤란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년기 이전 학대 경험과 대학생의 사회적 위축의 관계를 거부민감성과 정서조절곤란이 완전 순차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년기 이전 학대 경험이 대학생의 사회적 위축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이후 논의에서는 본 연구의 의의와 함께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언급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different types of abuse experienced in early young adulthood, rejection sensitivity, emotion dysregulation and social withdrawal,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emotion dys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young adulthood abuse and social withdrawal in college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449 college students and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irst, rejection sensitivity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young adulthood abuse and social withdrawal. Second, emotion dysregula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a subtype of early young adulthood abuse, and social withdrawal. Third, the fully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emotional dysregul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young adulthood abuse and social withdrawal. Fourth, early young adulthood abuse did not directly affect social withdrawal of college students.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