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독서태도에 관한 암묵적 지식을 확인하고 독서태도를 측정하는 데에 필요한 기초정보와 시사점을 획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5개의 초등학교에서 사서교사와 초등교사 및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과 교사들은 독서태도를 평가하는 기준과 특성을 학생의 능력, 성격 및 행동적 측면으로 구분하였다. 학생들은 독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독서를 즐거운 감정으로 받아들였다. 그러나 독서능력이 하인 그룹의 학생들은 다른 그룹의 학생들보다 독서가 학업적 목적으로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독서를 보다 부정적인 정서로 표현하였다. 학생들은 또래집단과 교사, 가족구성원을 독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책의 주제 및 내용과 더불어 책 자체의 특성도 중요하게 고려하였다. 교사들은 독서태도를 책에 대한 태도와 그 책을 읽는 태도를 포괄한 개념으로 인식하였고, 독서환경과 관심, 습관, 책, 경험 등을 독서태도의 영향요인으로 언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basic information and suggestions needed to measure reading attitude by obtaining the tacit knowledge. For this, a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teacher librarian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elementary students in five elementary schoo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tudents and Teachers divided standard and attribute for assessing reading attitudes as student’s ability, personality and behavioral aspects towards reading. Students were aware of the necessity of reading and accepted a pleasant feeling of reading. However, group of students with low reading skill recognized reading as an academic purpose as compared to other student groups and expressed a negative feeling on reading. Peers, teachers and family members were recognized as figures who make an impact on reading by students and further considered the subject, content and physical attribute of book as important factors. Teachers recognized reading attitude as a concept on attitude about book and book reading. Further they mentioned reading environment, interests, habits, books, and experience as factors affect reading attitude.
국립국어원. 2015. 『표준국어대사전』. <http://stdweb2.korean.go.kr> [인용 2015. 3. 5.]
김종운. 2011. 『朝鮮朝 蒙學 敎材 硏究』.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한문교육전공.
나은영. 1994. 태도 및 태도변화 연구의 최근동향: 1985-1994.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8(2): 3-33.
박주현, 이명규. 2015. 독서태도 모델 개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6(4): 271-297.
손정표. 2003. 『신독서지도 방법론』. 수정증보. 대구: 태일사.
성은현 외. 2007. 한국대학생이 생각하는 한국과 미국의 암묵적 창의성에 대한 비교연구. 『영재교육연구』, 17(2): 365-391.
옥정인. 1999. 『읽기 태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이성영. 2009. 읽기 교육에서의 태도의 문제 : 읽기 태도의 교육 가능성을 중심으로. 『독서연구』, 21: 285-318.
정세구. 1995. 『가치・태도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배영사.
정혜승. 2006a. 읽기 태도 구인과 검사 도구의 요건. 『국어교육학연구』, 27: 467-492.
정혜승. 2006b. 읽기 태도의 개념과 성격. 『독서연구』, 16: 383-405.
정혜승. 2007. 읽기 태도 평가를 위한 점검표(checklists) 개발 연구 : 학생과 교사의 읽기 태도에대한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 33: 272-291.
조기형, 이상억. 2011. 『한자성어・고사명언구사전』. 파주: 이담북스. <http://terms.naver. com> [인용 2015. 4. 10].
한국심리학회. 2014. 『심리학용어사전』. <http://www.koreanpsychology.or.kr/psycholo gy/glossary.asp> [인용 2015. 4. 3]
戈木クレイグヒル滋子. 2006. グラウンデッド・セオリー・アプローチ―理論を生みだすまで. 東京都: 新曜社.
Anderson. J. R. 1980. “Cognitive Skills.” In: J. R. Anderson. ed. Cognitive Psychology and its Implications. San Francisco: W. H. Freeman.
Alexander, J. and Filler, R. 1976. Attitudes and Reading. Newark, D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Choe, I. S. 2006. “Creativity-A Studden Rising Star in Korea.” In: J. C. Kaufman and R. J. Sternberg. ed. International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5-420.
Gagne, R. M. 1985. The Conditions of Learning and Theory of Instruction. 4th ed. NY:Holt, Rinehart, and Winston.
Greenwald, A. G. 1988. “Levels of Representation.” Psychological Review, 27: 1-43.
Heathington, Betty Sue. and Alexander, J. E. 1978. “A Child-Based Observation Checklists to Assess Attitudes Toward Reading.” The reading Teacher, 31(7):761-771.
Martin, L. B. and Briggs, L. J. 1986. The Affective and Cognitive Domains: Intergration for Instruction and Research. Englewoods Cliffs, NJ: Educational Technology Publications, pp97-142.
Mathewson, G. C. 1994. “Model of Attitude Influence Upon Reading and Learning to Read.” In: R. B. Ruddell, M. R. Ruddell, and H. Singer. ed. 4th ed. Theoretical Models and Process of Reading. Delawar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McKenna, M. C. 1994. “Toward a Model of Reading Attitude Acquisition.” In: E. H. Cramer and M. Castle. ed. Fostering the Love of Reading: The Affective Domain in Reading Education. New Jersey: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Phil, Erwin. 2001. Attitudes and persuasion. NY: Psychology Press.
Polanyi, M. 1966. The Tacit Dimension. Garden City, N.Y.: Doubleday Anchor.
Runco, M. A., Johnson, D. and Bear, P. 1993. “Parents' and Teachers' Implicit Theories of Children's Creativity.” Child Study Journal, 23(2): 91-113.
Ryle, G. 1949. The Concept of Mind.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Sternberg, R. J. 1985.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Creativity, and Wisdom.”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9(3): 607-627.
Sternberg, R. J. 1998.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 Handbook of Perception and Cognition. 2nd ed. New Haven: Elsevier
Tullock-Rhody R. and Alexander, J. E. 1980. “A Scale for Assessing Attitudes toward Reading in Secondary Schools.” Journal of Reading, 23(7): 609-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