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시각장애 연구자의 학술정보 획득 및 활용에 대한 경험을 시각장애 연구자의 관점에서 기술하고, 그 경험의 내재된 본질을 탐색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시각장애 연구자 12명을 심층 면담하고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107개의 의미 있는 진술과 이를 통해 구성된 의미에서 44개의 주제, 12개의 주제묶음을 확인하여 구분한 결과, 총 4개의 범주가 최종적으로 도출되었다. ‘학술정보 확보 및 활용’ 범주는 학술정보 제공 사이트의 웹 접근성 및 원문 접근성 수준이 낮아 시각장애 연구자들이 자료 검색-확보-활용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보여준다. ‘인식 및 감정의 변화’ 범주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시각장애 연구자의 인식 및 감정을, ‘지원인력과의 관계’ 범주는 지원인력 확보의 어려움, 지원인력의 역량 문제, 지원인력 관리와 관련하여 시각장애 연구자가 겪는 고충을 보여준다. ‘개선요구사항 범주’는 연구 참여자들이 학술정보 획득 및 활용과 관련하여 개선되기를 희망하는 내용이 무엇인지를 기술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experience of visually impaired academic researchers’ use of scholarly contents and to explore intrinsic nature of the experience.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a total number of twelve visually impaired academic researcher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 total of 107 significant statements were extracted, divided into 44 themes and 12 theme clusters. The statements were then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The ‘scholarly contents acquisition and use’ category has to do with difficulties that these experience when negotiating with internet sites with poor web accessibility and full-text availability. The ‘changes in perception and emotions’ category deals with transitions in perception and mood experienced by visually impaired academic researchers’ over time. The ‘relationships with support personnel’ category includes issues related with the difficulty of securing support person, support person’s inadequate level of competence, and establishing/sustaining personal relationships. Finally, the ‘improvement requirements’ category includes issues that these researchers want resolved with regard to contents acquisition and use.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3. 2012 박사인력 활동조사 . 서울: 동연구원.
교육과학기술부. 2009. 장애인 고등교육 기회 확대를 위한 발전 방안 마련 – 장애인 고등교육 지원의 초석을 만든다. 교육부 홈페이지. <http://www.moe.go.kr/> [인용 2017. 2. 7].
교육과학기술부. 2011. 장애인 고등교육 발전방안 수립을 위한 정책연구 . 서울: 동기관.
교육부. 2000.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 세종: 동기관.
교육부. 2016a.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 세종: 동기관.
교육부. 2016b. 2016학년도 장애대학생 도우미 지원사업 설명회 자료 . 세종: 동기관.
국가정보화기본법 . 2015. 법률 제13340호.
김기창. 2015. 한국시각장애실록 . 서울: 법현.
김미선. 2012. 시각장애 대학생의 대학생활에 대한 인식과 요구 : 교육권 그 너머. 시각장애연구 , 28(4): 97-117.
김미선, 박중휘. 2010a. 대학에서의 학업지원에 대한 시각장애 대학생의 인식과 요구. 시각장애연구 , 26(1): 25-41.
김미선, 박중휘. 2010b. 시각장애 대학생의 휴학과 복학에 관한 사례연구. 시각장애연구 , 26(4):227-244.
김분한 외. 1999.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비교고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29(6): 1208-1220.
김분한, 강화정. 2014. 말기암환자에서 가정호스피스완화 돌봄 경험.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17(4): 223-231.
김성애, 박찬웅, 이해균. 2003. 장애 대학생 학업성취 실태 및 대학생활 욕구 분석. 특수교육학연구 , 37(4): 335-357.
김천우. 2001. 장애 대학생의 학교생활 실태와 지원방안. 특수교육요구아동연구 , 9: 101-129.
도서관법 . 2016. 법률 제13960호.
보건복지부. 2014. 2014 장애인 실태조사 . 세종: 동기관.
서울맹학교 국정도서편찬위원회. 2003. 이료임상 교사용 지도서 .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양재신. 2000. 장애인 대학 특례입학 장애대학생의 교육환경. 현장특수교육 , 7(5): 40-44.
윤혜숙, 김영일. 2006. 시각장애학생의 대학도서관 이용에 관한 질적 연구. 시각장애연구 , 22(1): 17-42.
이옥경. 2004. 장애대학생의 진로지도와 취업준비에 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 23(겨울):169-195.
이은성. 2013. 컨벤션센터 종사자의 직무갈등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컨벤션연구 , 13(1):101-125.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 2016. 법률 제13978호.
통계청. 2017a. 장애인 현황. 국가통계포털 홈페이지. <http://kosis.kr/> [인용 2017. 3. 11].
통계청. 2017b. 성, 연령, 교육정도 및 사회활동별 인구. 국가통계포털 홈페이지. <http://kosis.kr/> [인용 2017. 2. 7].
한국도서관협회. 2010. 문헌정보학용어사전 . 개정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한국시각장애인아카데미. 2016. 지성과 실천 제5호. 한국시각장애인아카데미 홈페이지. <http://www.kavi.co.kr/board/bbs/board.php?bo_table=notice&wr_id=225> [인용2017. 2. 7].
石田久之, 天野和彦. 2011. 高等教育機関における障害学生支援の動向(Ⅲ). 筑波技術大学テクノレポート , 18(2): 77-82.
Baker, S. E., R. Edwards and Mark. Doidge. 2012. How many qualitative interviews is enough?: expert voices and early career reflections on sampling and cases in qualitative research. <http://eprints.ncrm.ac.uk/2273/4/how_many_interviews.pdf> [cited 2017. 2. 10].
Marton, Ference. 1986. “Phenomenography—A Research Approach to Investigatin Different Understandings of Reality.” Journal of Thought, 21(3): 28-49.
Morse, Janice M. et al. 2002. “Verification Strategies for Establishing Reliability and Validity in Qualitative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ative Methods, 1(2): 13-22.
Richardson, John T. E. 1999. “The concepts and Methods of Phenomenographic Research.” Review of Education Research, 69(1): 53-82.
United States Government Accountability Office. 2009. Higher Education and Disability:Education needs a coordinated approach to improve its assistance to schools in supporting students. <http://www.gao.gov/new.items/d1033.pdf> [cited 2017. 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