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집단상담에서 ALP의 활용: 사례분석을 통한 새로운 방법론 소개

An Application of Analysis of Leadership Potential to Group Counseling: Introduction to a New Methodology through Case Analysis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리더십 잠재력 분석(Analysis of Leadership Potential: ALP)이라는 진단도구를 사례 중심으로 소개하여 이 도구가 집단상담 장면에 매우 효율적이고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데 있다. 먼저, 이 진단도구의 이론적 및 방법론적 근간을 이루고 있는 사회적 관계 모형(Social Relations Model: SRM, Kenny & La Voie, 1984)을 기술하였다. 이에 기초하여 ALP의 특성을 측정도구, 평가유형 및 분석결과 중심으로 소개하였다. 그 다음, 한 대학상담소에서 근무하는 사람들을 대상(총: 13명, 남: 2명, 여: 11명)으로 ALP가 갖는 효과를 살펴본 경험적 자료를 제시하였다. 임승환 성격검사(Lim's Character Style Inventory; LCSI)와 ALP를 이들에게 실시하여 그에 따른 결과 중심으로 13시간의 교육을 실시하였다. 교육 후 ALP를 다시 실시하여, 1차와 2차에서 얻은 결과를 비교하였다. 전반적으로 자기지각, 타인지각, 메타지각 및 이상지각 간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타인의 성격적 특성을 좀 더 분명하게 파악하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집단상담 관련해서 ALP가 갖는 새로운 방법론으로서의 가능성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keywords
ALP, group counseling, SRM, types of perception., 리더십 잠재력 분석, 집단상담, 사회적 관계 모형, 임승환 성격검사, 지각유형, ALP, group counseling, SRM, types of perception.

Abstract

This study introduces the diagnostic tool of Analysis of Leadership Potential (ALP) through case analysis and an application to group counseling. The Social Relations Model (SRM; Kenny & La Voie, 1984), which provided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underpinnings of ALP, is first described. Next, ALP evaluation types and output are introduced. A case study also is presented. Before a 13-hour workshop, the ALP was administered to thirteen persons employed by a university student guidance center. The ALP was administered again after workshop the pre- and post-workshop ALP were compared. Following the workshop, discrepancies among self-perception, other-perception, meta-perception and ideal-perception were smaller and characteristics of others were judged more accurately. These results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powerful potential of ALP for group counseling.

keywords
ALP, group counseling, SRM, types of perception., 리더십 잠재력 분석, 집단상담, 사회적 관계 모형, 임승환 성격검사, 지각유형, ALP, group counseling, SRM, types of perception.

참고문헌

1.

김명권, 김창대, 박애선, 전종국, 천성문 역 (2001). 집단상담: 과정과 실제. 서울: 시그마프레스.

2.

김순업․박재황 (2006). 현실요법을 적용한 교사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상담학연구. 7(3), 789-802.

3.

김은정 (2003). 상담심리의 이해. 서울: 선학사.

4.

김은하․김창대 (2005). 피드백의 긍정성 및 자기개념과의 일치성에 따른 도움여부 지각차이. 상담학연구. 6(3), 809-820.

5.

김정미․김성회 (2005). 여성 임파워먼트 증진을 위한 인지행동 집단상담과 게슈탈트 집단상담 비교. 상담학 연구. 6(3), 821- 835.

6.

김종운․천성문․황혜자 (2005). ADHD 아동의 행동변화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인지적 NLP 집단상담과 행동적 NLP 집단상담의 효과비교. 상담학연구. 6(3), 777-788.

7.

김희진 (2005). 결혼 초기 부부관계향상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긍정주의 심리치료 접근방식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4), 877-906.

8.

박재호 (1986). 기업조직 개발을 위한 경영 팀진단에 관한 연구: 소집단 연구의 방법론 SYMLOG을 중심으로. 성곡논총, 17, 189-227.

9.

박제일 (2004). LCSI성격유형검사와 Holland 진로탐색 검사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5(3), 547-560.

10.

박제일, 임승환 (2004). 대인관계 중심의 성격특성과 성격유형과의 상관관계 연구. 상담학연구, 5(1),, 1-16.

11.

배강대․이현림 (2006). 회상을 활용한 지지적 집단상담이 노인의 무력감,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상담학연구. 7(2), 347-364.

12.

이미정 (2006). 청소년의 비행경험 수준에 따른 사회적 문제해결 훈련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1), 71-91.

13.

임승환 (2003). LCSI(Lim's Charcter Style Inventory) 성격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임승환, 박제일, 천성문, 이승희 (2004). LCSI와 이화방어기제간의 상관관계 연구. 상담학연구. 5(1)호, 61-77.

15.

정은실․박애선 (2005).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청소년 리더십생활기술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4), 907-927.

16.

정효경․윤호균 (2005). 집단상담에서의 상위인지적 자각과 상담성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4), 769- 787.

17.

황해경․최은영․전종국 (2006). 집단 미술치료가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7(2), 325-345.

18.

Bales, R. F. (1955). How people interact in conferences. Scientific American, 192(3), 31- 35.

19.

Bales, R. F., Cohen, S. P., & Williamson, S. A. (1979). SYMLOG: A system for the multiple level observation of groups. New York: Free Press.

20.

Bem, D. J. (1967). Self perception: An alternative interpretation of cognitive dissonance phenomena. Psychological Review, 74, 183- 200.

21.

Goffman, E. (1959). The presentation of self in everyday life. Garden City, NY: Doubleday.

22.

Kenny, D. A. (1991). A general model of consensus and accuracy in interpersonal perception. Psychological Review, 98, 155-163.

23.

Kenny, D. A. (1994). Interpersonal perception: A social relations analysis. New York: The Guilford Press.

24.

Kenny, D. A. (2000). Seeing through the glass darkly: The DS&J Model. Unpublished paper.

25.

Kenny, D. A., & Acitelli, L. K. (2001). Accuracy and bias in the perception of the partner in a close relationship.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0, 439-448.

26.

Kenny, D. A., & La Voie, L. (1984). The Social Relations Model. In L. Berkowitz (Ed.),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 18, pp. 142-182). Orlando, FL: Academic Press.

27.

Levinshon, P. M., MIschel, W., Chaplin, W., & Barton, R. (1980). Social competence and depression: The role of illusory self- perception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89, 203-21.

28.

Malloy T. E., & Albright, L. (1990). Interpersonal perception in a social contex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 419-428.

29.

Rothbart, M., & Park, B. (1986). On the confirmability and disconfirmability of trait concep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0, 131-142.

30.

Swann, W. B. Jr. (1990). To be adored or to be known? The interplay of self-enhancement and self-verification. In E. T. Higgins & R. M. Sorrentino (Eds.), Handbook of motivation and cognition: Foundations of social behavior (Vol. 2, pp. 408-448). New York: Guilford Press.

31.

Taylor, S. E., & Brown, J. D. (1988). Illusion and well-being: A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 on mental health. Psychological Bulletin, 103, 193-210.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