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개정판 집착척도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Revised Clinging Scale

초록

본 연구는 이미 개발된 바 있는 집착척도(김은희, 2002)의 문제점을 수정 및 보완하여 새로운 집착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연구 1은 예비 연구와 본 연구로써, 집착의 구성개념을 새롭게 설정하여 문항을 개발하고, 요인분석과 문항분석을 통해 최종 집착척도를 확정한 후, 신뢰도와 구성개념 타당도를 확인하는 과정이었다. 연구 1의 결과 6요인(과거 중심성/현재성 결여/미래 중심성/시각 고정성/상황 경직성/욕구 집착성) 총 36문항으로 구성된 개정판 집착척도가 개발되었다. 연구 2는 개정판 집착척도의 타당화 과정으로, 집착척도의 구성개념 타당도와 준거관련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연구 2의 결과 개정판 집착척도는 구성개념 타당도와 준거관련 타당도 면에서 적절한 척도인 것으로 나타났고, 심리적․정신적 적응과 부적응을 기준으로 한 다양한 집단에서 그 타당성이 일반화되어 나타났다.

keywords
Clinging, past fixation, lack of nowness, future fixation, fixed opinion, situational inflexibility, desire obsession, Clinging, past fixation, lack of nowness, future fixation, fixed opinion, situational inflexibility, desire obsession, 집착, 과거 중심성, 현재성 결여, 미래 중심성, 시각 고정성, 상황 경직성, 욕구 집착성

Abstract

We conducted this study to develop and validate the new Clinging Scale. This scale was based on the previously developed Jipchak Scale (Eun Hee Kim, 2002). Study 1 resulted in developing the final Revised Clinging Scale of 36 items, which were derived from 6 different factors (past fixation, lack of nowness, future fixation, fixed opinion, situational inflexibility, and desire obsession). Study 2 was conducted to validate (construct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the Revised Clinging Scale. The validity of the Revised Clinging Scale was supported by findings from various groups classified by their psychological or mental health and ability to adapt.

keywords
Clinging, past fixation, lack of nowness, future fixation, fixed opinion, situational inflexibility, desire obsession, Clinging, past fixation, lack of nowness, future fixation, fixed opinion, situational inflexibility, desire obsession, 집착, 과거 중심성, 현재성 결여, 미래 중심성, 시각 고정성, 상황 경직성, 욕구 집착성

참고문헌

1.

고익진 (1995). 아함경. 서울: 동국대학교출판부.

2.

각묵 (2003). 금강경 역해-금강경 산스끄리뜨 원전 분석 및 주해. 서울: 불광출판부.

3.

권석만 (2003). 현대 이상심리학. 서울: 학지사.

4.

권오민 (2004). 인도철학과 불교. 서울: 민족사.

5.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 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 19-39.

6.

김성민 (2004). 우울과 상위인지 자각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7.

김소희 (2004). 스트레스 사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8.

김은희 (2004). 집착척도의 타당화: 일반집단과 환자집단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4), 637-652.

9.

김은희, 윤호균 (2002). 집착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2), 359-373.

10.

김정원, 민병배 (1998). 걱정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및 문제해결방식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국 심리학회.

11.

길상 (2001). 불교대사전. 서울: 홍법원.

12.

동국역경원 (2000). 불교성전. 서울: 동국대학교 부설 역경원.

13.

박헌정 (2005). 상위인지 자각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14.

성승연 (2006). 상담장면에서의 탈동일시 현상. 박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15.

육조혜능선사 술․학담 해의 (2000). 육조법보단경. 서울: 큰수레.

16.

윤호균 (2001). 공상, 집착 그리고 상담.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국심리학회.

17.

윤호균 (2005). 심리 상담의 치료적 기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1), 1-13.

18.

이중표 (1996). 불교의 이해와 실천1․2. 서울: 대원정사.

19.

이지연 (2005). 공상기록이 인지적 조절전략․집착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20.

이현수 (1997). 한국판 아이젱크 성격검사 실시 요강. 서울: 학지사.

21.

전재성 (1999). 쌍윳따 니까야. 서울: 한국빠알리성전협회.

22.

지산 (2005). 붓다의 길 위빠사나의 길. 서울: 한길.

23.

Boorstein, S. (1997). 자아초월정신치료[Transpersonal Psychotherapy]. (정성덕과 김익창 역). 서울: 하나의학사. (원전은 1980년에 출판).

24.

Brazier, D. (1995). Zen therapy: Transcending the sorrows of the human mind.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25.

Epstein, M. (1995). Thoughts without thinker. New York: Basic Book.

26.

Eysenck, H. J., & Eysenck, S. B. G. (1991). Manual for the Eysenck Personality Scales. London: Holler & Stoughton.

27.

Garnefski, N., Kraaij, V., & Spinhoven, P. (2001). Negative life ev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problems. Personal and Individual Differences, 30, 1311-1327.

28.

Kabat zinn, J. (1990). Full catastrophe living: The program of the stress reduction clinic ant the University of Massachusetts Medical Center. New York: Doll Publidhing.

29.

Matthews, B. (1983). Craving and salvation: A study in buddhist soteriology. Ontario: Wilfrid Laurier University Press.

30.

Meyer, T. J., Miller, M. L., Metzger, R. L., & Borkovec, T. D. (1990).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enn State Worry Questionnaire.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28, 487-495.

31.

Narada. (1988). The Buddha and his teachings. Kuala Lumpur: Buddhist Missionary Society Malaysia.

32.

Olendzki, A. (2005). The roots of Mindfulness., Germer, D, D., Siegel, R, D., & Fulton, P, R(Fds.), Mindfulness and psychotherapy (pp. 241-261). London: The Guilford Press.

33.

Rubin, J. B. (1996). Psychotherapy and buddhism. New York: Plenum.

34.

Rune, E. A. (1979). The dynamic psychology of early buddhism. Great Britain; Curzon Press Ltd.

35.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 the meaning of psycholof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 1069-1081.

36.

Scott, D. (2000). Willam James and buddhism: American pragmatism and the Orient. Religion, 30, 333-352.

37.

Teasdale, J. D., Segal, Z. V., Williams, J. G., Ridgeway, V. A., Soulsby, J. M., & Lau, M. A. (2000). Prevention of relapse/ recurrence in major depression by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8, 615-623.

38.

U Janaka (2003). 위빠사나 수행[Vipassana meditation]. (김재성 옮김). 불광출판부. (원전은 1992년에 출판)

39.

U Pandita (2002). 위빠사나 수행의 길[The path of Vipassana-be mindful at this moment-]. (김재성 옮김). 천안: 호두마을 위빠사나 수행처 (원전은 1991년에 출판)

40.

Walsh, R. (2000). Asian psychotherapies. In R. J. Corsini & D. Wedding(Eds.), Current psychotherapies. Itasca, IL.: F. E. Peacock.

41.

Welwood John (1979). The Meeting of the ways. Schocken Books Inc.

42.

William, J. (1890). Principle of psychology. London: Macmillian.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