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88
본 연구는 노인들의 죽음에 대한 불안과 두려움을 극복하고 죽음을 의미 있게 대처함으로써 노후의 안녕(well-being)을 극대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연구자는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노인집단에 적용함으로써 그들의 죽음불안과 삶의 의미와 심리적 안녕감에 어떤 유효한 영향이 나타나는가를 조사,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S 사회복지관을 선정하여 60세 이상의 노인 20명을 대상으로 무처치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에 각각 10명씩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는 9회기의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주1회, 각 회기별 2시간 동안 처치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죽음불안 척도, 삶의 의미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처치 후 죽음불안이 유의미하게 감소되었고 심리적 안녕감과 삶의 의미가 무처치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 연구는 현실요법 집단 상담을 통해서 노인들은 죽음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었고 자신의 선택과 책임에 의해서 여생의 삶을 긍정적으로 영위함으로써 평화로운 죽음을 맞을 수 있다는 희망을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maximize the well-being of elderly people by helping them cope with the stress of being old and overcome the fear of death. To realize this purpose, I applied reality therapy to groups of elderly persons and analyzed its outcomes. The participants included a group of 20 elderly persons they were older than 60 and attending a social welfare center in Seoul. Ten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en were assigned to the no-treatment control group. The reality 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consisted of twice-a-week, two-hour sessions. We measured death anxiety, meaning of life, and well-being before and after the group counseling treatmen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Compared to the no-treatment control group, fear of death decreased significantly for the treatment group. In addition, well-being and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life improved significantly for the treatment group. With the help of the reality 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elderly persons get the chance to think deeply but more positively about death and grow hopeful about managing the rest of their lives according to their wishes and preferences in a peaceful way. These finding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counselors working with geriatric populations.
고승덕 (1995). 노인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요인추출에 관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권석만, 민병배 (2002). 노년기 정신장애. 학지사.
권육상 (2004). 정신건강. 서울: 유풍출판사.
김명신 (1996). 현실요법 프로그램이 아동의 내외통제성 및 책임감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수영 (1998). 집단회상요법이 노인의 통증, 우울,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순업 (2000). 현실요법을 적용한 프로그램이 정신보건원 재활집단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영규 (1998). 노인의 죽음준비교육이 죽음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협성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애순 (2002). 성인발달과 생애 설계. 시그마프레스.
김인자 (2001). 현실요법과 선택이론. 한국심리상담연구소.
김인자 역 (2004). Wubbolding, R. E. 현실요법의 적용. 한국심리상담연구소.
김임용 (1994). 현실치료 훈련 집단이 주부들의 자기존중감과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효성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정이 (2003).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한 가정호스피스 활동이 노인의 죽음태도에 미치는 영향.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진욱 역 (2000). Kübler-Ross, E. 죽음의 순간. 자유문학사.
김현민 (2001). 노인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혜련, 신혜섭 (2001). 정신건강론. 학지사.
박애선 역 (2001). Wubbolding, R. E, 21세기와 현실요법. 시그마프레스.
배영기 (1999). 죽음학의 이해. 교문사.
서덕원 (2000). 노년기 죽음불안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혜경 (1988). 한미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연구. 한국노년학회지. 7, 39-58, 48-49.
송명자 (2003). 발달심리학. 학지사.
안경아 (2000). 농촌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 및 준비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진탁 (2004). 죽음, 삶이 존재하는 방식. 청림출판. 31-32, 226.
우애령 (1994).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사회사업 프로그램 개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유숙자 (1992). 노인 정신 건강의 문제, 대한간호학회지. 31(4), 33-36.
윤진 (1997). 성인노인심리학.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이가옥, 강희설, 이지연 (2004). 노인집단프로그램개발. 나눔의 집.
이미혜 (1996). 현실요법 집단상담이 내적통제성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안나 (2001). 현실요법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존중감, 성취동기 및 책임감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이인수 (2001). 노년기 생활과학. 양서원.
이인정, 최해경 (2000).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나남출판.
임희숙 (2002). 노인의 죽음불안과 건강증진행위 및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동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 영 (1994). 회고요법이 노인의 죽음불안, 자아 통합감,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파이넨셜뉴스 (2005). 노인성우울증 말벗만 있어도 절반치료. 2005. 1.
하양숙 (1990). 집단회상이 노인의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한정원 (1997). 자기표현성이 건강 및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혜경, 김정희 (2003). 가정 호스피스에서의 사회적 지지활동이 노인의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지.
홍경자 역 (1999). Glasser. W, 현실요법.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홍영희 (2002). 노인의 이성교제와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황미구 (1996). 현실요법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내적통제성 및 성취동기에 미치는 효과.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Adelman P. K. (1994). Multiple Rol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a National Sample of Olders Adults. Journal of Gerontology, Vol 49(6). 277-285.
Baird, R.. M. (1985, 재인용). Meaning in Life: Discovered or Created. J. of Religion and Health.
Butler, R. N. (1963). “The life review: An interpretation of reminiscence in the aged,” Psychiatry. 26.
Butler, R. N. & Lewis, M. I.(1973). Aging and mental health. Saint Louis: The C. V. Mosby Co. 5.
Campbell, A. (1976). Subjective Measures of Well- Being. American Psychologist, 31, 117-124.
Croll, M. (1992). The Individualist Roots of Reality Therapy: A Textual Analysis of Emerson's “Self-Reliance” and Glasser's “Reality Therapy.” Journal of Reality Therapy, Vol. 11(2), 22-28.
Damon, W, Menon, L & Bronk, K, C. (2003). The development of purpose during adolescence. Applied Developmental Science, Vol 7(3), 119-128.
Erikson, E. H. (1982). The life Cycle Completed, New York: Norton.
Emerson, R. W. (1981). “Self Reliance” in The American tradition in literature, ed, Sculley Bradley. New York: Random House.
Fried. J. (1990). Reality and Self-Control: Applying Reality Therapy to Student Personal Work in Higher Education. Journal of Reality Therapy, Vol 9(2), 60-64.
Frisch, M. B. (2000). Improving mental and physical health care through quality of life therapy and assessment. In Diener, E & Rahtz, D. R (eds), Advances in quality of life: Theory and research. 207-241
Fry, P. S. (1983). Structure and unstructured reminiscence training and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Clinical Gerontologist. 1
Glasser, W. (1965). Reality therapy. New York: Harper and Row. 57.
Glasser, W. (1986). The Reality Therapy. An Explanation of Reality Therapy. In N. Glasser(ed), What are you doing? How are You Doing? How People are Helped through Therapy. New York: Harper & Row.
Glasser, W. (1998). Choice Theory. Harper & Row.
Kalish, R. A. (1963a). “An Approach to the Study of Death Attitudes."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6, 68-80.
Kalish, R. A. (1967b), “Some Variables in Death Attitudes”,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59, 137-145.
Kaplan & Sadock,(2000). Comprehensive textbook of psychiatry(7th ed). Baltimore, MD :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Kübler-Ross, E. (1970). On death and dying. New York: McMillan.
Templer, D. I. (1970).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Death Anxiety Scale, The J. of General Psychology.
Pattison, E, M. (1974). “Helo in the dying Precess.” American Handbook of Psychiatry, Ariets, S.(ed.), New York, Basic Books, p685-704.
Powers, W. (1973). Behavior: The Control of Perception. Chicago: Aldine.
Ryff, C, D, & Keyes, C, L, M. (1995).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3, 549-559.
Van Hoof, A. & Raaijnakers, A W. (2002). The spatial integration of adolescent identity: Its relation to age, educa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Scandinavian Journal of Psychology, 43, 201-212.
White, W. & Handal, P. J, (1991).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nxiety and Mental Health, Distress, Omega: Journal of Death and Dying, Vol 22(1), 13-24.
Wong, P. T. P. (1998). Implicit theories of meaningful life and the development of the personal meaning profile. In Wong, P. T. P & Fry, P. S. (eds), The human quest for meaning: A handbook of psychological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 N. J: Lawrence Erlbaum.
Wubbolding, R. E. (1990). Using Reality Therapy. New York: Harper& Row.
Wubbolding, R. E. (2000). Reality Therapy for the 21 century. Philadelphia: Taylor & Franc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