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갈등, 전문직 정체성, 소진의 관계를 살펴보고, 역할갈등이 소진에 미치는 과정에서 전문직 정체성이 각기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전국에 있는 전문상담교사 총 223명을 대상으로 역할갈등, 전문직 정체성, 소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할갈등은 전문직 정체성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으며, 무능감과만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전문직 정체성과 소진(신체적 피로감, 무능감, 비협조적 업무환경, 내담자 가치저하, 사생활 악화)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이러한 변인들의 상관결과로 인하여 역할갈등과 소진의 관계에서 전문직 정체성의 매개효과는 검증되지 못했다. 셋째, 역할갈등과 소진(신체적 피로감, 비협조적인 업무환경)과의 관계에서 전문직 정체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는데, 역할갈등이 높더라도 전문직 정체성이 높으면 소진을 덜 경험하였다. 이는 전문상담교사의 소진을 예방하고 대처하는데 전문직 정체성이 중요한 변인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whether professional identity of th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moderates or mediat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conflict and burnou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ole conflict didn't show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rofessional identity bu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incompetence only among burnout variables. In addition, professional identity showed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s with burnout variables. Second, because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conflict and professional identity was not significant, the mediating effect of professional identity couldn't be investigated. Third, professional identity played as a moderator between role conflict and burnout variables(exhaustion and negative work environment). When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experience high level of role conflict with high level of professional identity, they experience low level of burnout. This result indicated that professional identity could be a preventive factor for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burnout.
강진령, 손현동, 조은문 (2005a). 고등학교 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한 요구 분석. 상담학연구, 6(4), 1351-1368.
강진령, 손현동, 조은문 (2005b). 중학교 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한 요구 분석. 청소년상담연구, 13(2), 61-74.
고은하 (2001). 아동상담자의 의욕상실 경험과 대처유형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교육과학기술부 (2008). 학교와 교육청이 학교부적응학생 예방위해 발 벗고 나선다.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09). 전문상담교사 운영 및 활동 매뉴얼.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적자원부 (2005). 전문상담교사 선발·배치·활용계획(안). 교육인적자원부.
교육인적자원부 (2006). 진로·학업상담 최고, 중학생 87.4% 가장 많아 전문상담순회교사 배치 1년, 학교상담 살아나. https:// u-lib.nanet.go.kr.에서 2009, 3, 5 인출.
교육청 (2009). 2010학년도 시·도교육청 공·사립 중등교사 임용시험 모집현황. http:// cafe.daum.net/consuling?t__nil_cafemy=item.에서 2009, 10, 10 인출.
금명자 (2007). 전문상담교사의 학교상담자 역할에 대한 기대와 예상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4), 843-861.
김신애 (2009). 전문상담교사직무의 수행 빈도, 중요도, 곤란도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신일 (2005). 전문상담교사 관련 부총리 발언록. https://u-lib.nanet.go.kr.에서 2009, 3, 5 인출.
김희대 (2007). 한국의 전문상담교사제도. 고양: 서현사.
문영주 (2007).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역할스트레스, 전문직업적 정체성, 직무수행에 있어 멘토 유무에 따른 잠재평균분석. 사회복지연구, 35(-), 93-115.
박종우 (1994). 사회사업가의 전문직업적 정체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정해 (2006). 상담자의 자기위로능력, 영적 안녕 및 상담자발달수준과 심리적소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현정 (1993). 초등교사의 교직 전문성 인식과 역할수행 관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수경 (2000).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적정체성과 재교육 및 소진에 관한 연구: 서울시 사회복지관의 근무자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연문희, 강진령 (2002). 학교상담-21세기의 학생생활지도. 서울: 양서원.
오요셉 (2005). 사회복지 전문종사자의 소진(Burnout)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스트레스와 자기정체성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성경, 박성호 (2002). 상담환경의 위험요소,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2), 389-400.
유순화, 류남애 (2006). 제1기 전문상담 순회교사의 직무기대 조사연구. 상담학연구, 7(3), 899-915.
이규미, 권혜수, 김희대 (2008). 전문상담교사의 초기 정착 과정 분석. 한국심리학회지:일반, 21(3), 819-837.
이상민, 안성희 (2003). 학교상담자 무엇을 해야 하는가? 상담학연구, 4(2), 281-293.
이상민, 오인수, 서수현 (2007). 한국적 학교상담 모형개발을 위한 한국과 미국의 학교상담 비교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3), 539-567.
이서우 (1995). 고등학교 교사의 교직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영란 (2006). 상담자의 소진과 5요인 성격특성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자영, 남숙경, 박희락, 김동현, 이미경, 이상민 (2008). 상담경력과 상담자소진과의 관계: 한국과 미국상담자 비교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1), 23-42.
이한구 (1992). 교사의 교직 전문성 태도와 교직 수행 능력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현아, 이기학 (2009). 전문상담교사의 직무스트레스요인과 직무만족도, 심리적 소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6(1), 83-102.
이현주 (2003). 학교상담현황과 학교상담가 역할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지각에 관한 연구. 교육심리연구, 17(4), 1-20.
조영희, 허승희 (2007).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수행 및 처우에 대한 만족. 부산교육학연구, 20(1), 137-152.
최윤경 (2003). 한국상담자의 전문직 정체성과 전문업무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최윤미, 양난미, 이지연 (2002). 상담자 소진 내용의 질적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14(3), 581-598.
최은정 (2006).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이 조직구성원의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혜윤, 정남운 (2003). 상담자의 완벽주의 성향,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2), 279-300.
한상철 (1998). 청소년학 개론.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Aluede, O., & Imonikhe, J. S. (2002).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role of the school counsellor. Guidance & Counseling, 17(2), 46-50.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Burnham, J. J., & Jackson, C. M. (2000). School Counselor Roles: Discrepancies Between Actual Practice and Existing Models. Professional School Counseling, 4(1), 41-47.
Butler, S. K., & Constantine, M. G. (2005). Collective self-esteem and burnout in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Professional School Counseling, 9, 55-62.
Corey, M. S., & Corey, G. (2002). Becoming a helper. Pacific Grove, CA: Brooks/Cole.
DeMato, D. S., & Curcio, C. C. (2004). Job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counselors: A new look. Professional School Counseling, 7, 236-245.
Freudenberger, H. J. (1974). The staff burnout. Journal of Social issues, 30, 19-27.
Hall, R. H. (1968). Professionalization and Bureaucratizati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33(1), 90-104.
Kahn, R. L., Wolfe, D. M., Quinn, R. P., Snoek J. D., & Rosenthal, R. A. (1964). Organizational Stress: Studies in role conflict & ambiguity. New York: Wiley.
Kotter, J. A. (1993). On being a therapist(rev.ed.). SanFrancisco, Co: Jossey-Bass.
Lee, S. M., Baker, C. R., Cho, S. H., Heckathorn, D. E., Holland, M. W., Newgent, R. A., et al. (2007). Development and Initial Psychometrics of the Counsellor Burnout Inventory.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Counseling and Development, 40(3), 142-154.
Levert, T., Lucas, M., & Ortlepp, K. (2000). Burnout in psychiatric nurses: Contributions of the work environment and a sense of coherence. South African Journal of Psychology, 30, 36-44.
Luthans, F. (1992). Organizational Behavior. McGraw-Hill.
Maslach, C. (1982). Burnout, the cost of caring.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Maslach, C., & Goldberg, J. (1998). Prevention of burnout: New perspectives. Journal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Applied and Preventive Psychology, 7(1), 63-74.
Maslach, C., & Jackson, S. E. (1981).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Manual (2nd ed.).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Pines, A. M. (1993). Burnout: An Existential Perspective. In Professional Burnout: Recent Development in Theory and Research, (pp.32-52). NY: Taylor & Francis.
Secord, P. F., & Backman, C. W. (1964). Social Psychology. McGraw-Hil.
Szilagyi, A. D., & Wallace, M. J. (1983). Organizational behavior and performance. Good Year Book.
Wilkerson, K., & Bellini, J. (2006). Intraperson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Associated With Burnout Among School counselors.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84, 440-450.
Wittmer, J. (2000). Managing your school counseling program: K-12 developmental strategies (2nd ed.). Minneapolis, MN: Educational Media Corporation.
Yu, K. (2007). A Cross-Cultural Validation Study on Counselor Burnout: A Korean Sampl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Arkansas.
Yu, K. (2008). The Role of Counselor`s Collective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Counselor Burnout. 교육방법연구, 20(1), 197-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