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본 연구는 정서표현과정모델에 의거하여 집단에 따라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조절양식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30명의 자료를 사용한 군집분석에서 3개(혼란집단, 솔직집단, 침착집단)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그 결과, 혼란집단(정서의 명확성 낮음, 정서에 대한 주의와 정서강도 높음)은 정서표현양가성이 가장 높고, 자신의 강렬한 정서를 조절하기 위해 능동적양식보다는 회피/분산적 양식과 지지추구적 양식을 많이 사용하였다. 솔직집단(정서의 명확성 높음, 정서에 대한 주의와 정서강도 높음)은 정서표현양가성이 가장 낮았으며, 능동적양식과 지지추구적양식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침착집단(정서의 명확성 평균, 정서에 대한 주의와 정서강도 낮음)은 정서표현양가성이 평균보다 낮으며, 능동적양식과 지지추구적양식을 사용하였다. 정서표현양가성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혼란집단의 정서표현양가성이 대인관계능력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솔직집단도 정서표현양가성이 대인관계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신의 정서를 명확히 이해하고 정서강도와 정서에 주의가 낮은 침착집단은 정서표현양가성이 대인관계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ambivalenc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bove and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emotion regulation style (ERS) across the three cluster groups. Three hundreds and thirty college students were recruited for the study. Cluster analysis utilizing emotional clarity (EC), affect intensity (AI), and ERS produced the three groups. ‘Conflicting group’ (low EC, high AI and emotional attention (EA) showed the highest AEQ-K and employed more often avoidant/distractive and support-seeking than activity way. ‘Clear group’ (high EC, AI, and EA) exhibited the lowest AEQ-K and used more often activity and support-seeking than other strategies of ERS. ‘Calm group’ (moderate EC, low AI and EA) showed AEQ-K lower than overall average values and utilized more often activity and support-seeking than others of ERS. AEQ-K significantly related with RCS for both conflicting and clear group.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discussed.
김수안, 민경환 (2006). 자신의 감정에 압도된 사람들의 성격, 정서특성 및 주관적 안녕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0(3), 45-66.
문선모 (1980). 인간관계훈련 집단상담 효과에 관한 일 연구. 경상대 논문집; 인문·사회, 19, 195-203.
이서정 (2006). 정서인식의 명확성, 인지적 정서조절 및 정신건강간의 관계.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이수정, 이훈구 (1997). Trait Meta-Mood Scale의 타당화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1, 95-116.
이운기 (2006). 자아분화와 우리의식을 매개로 한 한국적 부모-자녀관계가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이지영(2009). 정서강도와 정서조절방략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4), 1217 -1226.
이지영, 권석만 (2006). 정서조절과 정신병리의 관계: 연구현황과 과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3), 461-493.
이주일, 황석현, 한정원, 민경환 (1997). 정서의 체험 및 표현성이 건강과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1, 117-140.
임전옥, 장성숙 (2003).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조절양식과 심리적 안녕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2), 259 -275.
윤석빈 (1999). 경험하는 정서의 종류와 선행사건에 따른 정서조절 양식의 차이.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오충광, 정남운 (2007). 정서표현갈등과 상담자 지각이 작업동맹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13(1), 115-136.
장정주, 김정모 (2008). 정서적 자각, 표현 및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과 대인관계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3), 697-714.
조성은, 오경자 (2007).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강도, 정서주의력과 스트레스 대처 및 우울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 (4), 797-812.
최해연, 민경환 (2007). 한국판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 척도의 타당화 및 억제개념들 간의 비교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4), 71-89.
최해연, 이동귀, 민경환 (2008). 정서강도, 정서주의, 정서인식의 명확성, 및 정서표현양가성의 군집과 심리적 적응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2(4), 59-73.
허재홍 (2006). 정서자각, 정서체험, 정서표현이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 (3). 767-784.
Bastian, V. A., Burns, N. R., & Nettelbeck. T. (2005) Emotional intelligence predicts life skills, but not as well as personality and cognitive abilitie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9, 1135-1145.
Emmons, R. A., & Colby, P. (1995). Emotional conflict and well-being: Relation to perceived availability, daily utilization and observer reports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8, 947-959.
Endler, N. S., & Parker, J. D. (1990). Coping inventory for stressful situation(CISS): Manual, Multi-Health Systems Inc.
Flett, G. L., Blankstein, K. R., & Obertynski, M.. (1996). Affect intensity, coping styles,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and depressive symptom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0, 221-228.
Gohm, C. L (2003). Mood regul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dividual differenc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 594-607.
Greenberg, L. S (2002). Emotion-focused therapy Coaching clients to work through their feeling. Washingt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Kennedy-Moore, E., Greenberg, M. A., & Wortman, C., B. (1991). Varieties of nonexpression: A review of self-report measures of emotional control.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San Francisco, CA.
King, L. A., & Emmons, R. A. (1990). Conflict over emotional expressi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correlat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 864-877.
King, A. M., & Emmons, R. A. (1991). Psychological, physical and interpersonal correlates of emotional expressiveness, conflict and control. European Journal of Personality, 5, 131-150.
Kring, A. M., Smith, D. A., & Neale, J. M. (1994). Individual Differences in dispositional expressivenes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motional expressivity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6, 934-949.
Larsen, R. J., & Diener, E. (1987). Affect intensity as an individual difference characteristic: A review.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21, 1-39.
Mayer, J. D., & Salovey, P. (1997). Emotional intelligence. NY: Basic Books.
Mayer, J. D., & Stevens, A. A. (1994). An emerging understanding of the reflective(Meta-) experience of mood.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28, 351-373.
Pennebaker, J, W (1985). Traumatic experience and psychosomatic disease; Exploring the roles of behavioral inhibition, obsession and confiding. Canadian Psychology, 26, 82-95.
Salovey, P., & Grewal, D. (2005). The sci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Current Direction in Psychological Science. 14, 281-285.
Salovey, P., & Mayer, J. D.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185-211.
Salovey, P., Mayer, J. D., Goldman, S. L., Turvey, C., & Palfai, P. (1995). Emotional attention, clarity, and repair; exploring emotional intelligence using the trait meta-mood scale. Emotion, Disclosure, and Health. Washington, D. C: APA. 125-154.
Sifneos, P. E. (1972). Short-Term Psychotherapy and Emotional Crisis.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Swinkels, A., & Giuliano, T. A. (1995). The measurement and conceptualization of mood awareness; Attention directed toward one's mood state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1, 934-949.
Thompson, R. A. (1994). Emotion regulation: A theme in search of a definition. In N. A. Fox (Ed),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Biological and behavioral considerations(pp. 73-100).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9(2-3, Serial No. 240).
Weinberger, D. A. (1990). The construct validity of repressive coping style. In J. L, Singer(Ed), Repression and dissociation(337-386),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Williams, D. G. (1989). Neuroticism and extroversions in different factors of the affect intensity measur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0, 1095-1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