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진로준비정도를 진단하고 효과적인 개입을 위해 이를 유형화할 수 있는 객관적인 측정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관련 이론 및 선행 연구에서의 논의를 바탕으로 대학생 진로준비의 주요 영역을 탐색-결정-실현의 3개 영역으로 설정하고 대학생 111명에게 각 영역별로 개방형 질문지 형식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예비조사 결과를 분류하고 문헌고찰과 사례연구들을 종합한 후 전문가들의 내용 타당도 검증을 거쳐 총 107문항을 구성하였다. 문항의 적절성을 확인하기 위한 기초조사를 통해 총 65문항의 예비척도를 제작하였고 이 척도를 가지고 전국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한 결과 최종 7요인 20문항으로 구성된 한국 대학생 진로준비유형검사를 완성하였다. 척도의 요인구조가 적합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척도의 타당성과 안정성이 확인되었으며, 신뢰도 분석결과 만족할 만한 신뢰도를 보이고 있다. 탐색-결정-실현의 3개 영역을 기준으로 총 8개 유형으로 분류하였고 관련변인들과의 분석을 통해 각 유형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K-CPTI for college students.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three dimensions(i.e., exploration_decision_actualization) of career developmental tasks for college students an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items was evaluated. Item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in 422 college students then seven factors with 20 items were selected. To evaluate the both the seven-factors structures and the three higher-order factors structures with seven lower-order factor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ith 516 college students were performed. Item analysis,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Predictive and concurrent validities we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T scores of the 3 higher-order factors(exploration _decision_actualization), K-CPTI classified college students into eight types. The result of analysis between eight types and the related variables confirmed that all variable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ch type.
고재성, 정철영 (2006). 대학 진로서비스 평가준거 개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 (4), 141-160.
고향자 (1992). 한국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의 분석 및 진로결정 상담의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고홍월 (2007). 한국 대학생의 진로결정 성숙수준 분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봉환 (199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봉환 (2005). 학과 및 직업카드를 활용한 단기 진로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직업교육 연구, 24(3).
김은영 (2001). 한국 대학생 진로탐색장애검사(KCBI)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정택, 신동균 (1978). STAI의 한국표준화에 관한 연구, 최신의학, 21, 69-75.
김충희 (1995). 해외 귀국 청소년의 적응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기학 (1997).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심리적 변인들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기학, 이학주 (2000). 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 정도에 대한 예언변인으로서의 자기-효능감 효과 검증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2(1), 127-136
이지연 (2001). 고등교육단계에서 효율적인 진로지도방안 연구.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임 언, 장홍근, 윤형한 (2005). 직업진로교육의 실태 및 과제.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장욱희 (2007). 대학생의 진로관련 효능감이 직업탐색행동 및 구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탁진국, 이기학 (2001). 직업결정척도 개발. 한국 심리학회 2001년도 연차대회 학술 발표집, 483-488.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최동선 (2003).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과 동기 요인 및 애착의 관계 분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Betz, N. E., & Hackett, G. (1987). Practical issues in self-efficacy theory to understanding career choice behavior,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4, 279-289.
Dayton, C. W. (1981). The young person's job search: Insights from a stud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8(4), 321-333.
Fuqua, D. R., Blum, C. R., & Hartman, B. W. (1988). Empirical suppot for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career indecision,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36, 364-373.
Gable, R. K. & Wolf, M. B. (1993). Instrument development in the affective domain (2nd ed.), Boston: Kluwer Academic Publisher.
Ginzberg, E. (1951). Toward a theory of a occupational choice. Personnel and guidance journal, 30(8), 491-494
Harren, V. A. (1984). Assessment of career decision making, Los Angeles: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Huck, S. W., & Cormier. W. G. (1996). Reading statistics and research(2nd ed.), New York: Harper Collins.
Jepsen, D. A., & Dilley, J. S. (1974). Vocational decision-making models: A review and comparative analysi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4, 331-349.
Jones, L. K. (1989). Measuring a three-dimensional construct of career indecision among college student: A revision of the Vocational Decision Scale-the Career Decision Profil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6(4), 477-486.
Meir, E. I., & Gati, I. (1981). Guidelines for item selection in Inventories yielding score profile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41, 1011-1016.
O'Hara, M. M., & Tamburri, E. (1986). Coping as a moderator of the relation between anxiety and career decision mak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3(3), 255-264.
Super, D. E. (1957). The Psychology of careers, New York: Harper & Row.
Tak, J. K., & Lee, K. H. (2003, in press). Development of the Korean Career Indecision Inventory,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1.
Wanberg, C. R., & Muchinsky, P. M. (1992). A typology of career decision status: Validity extension of the vocational decision status model,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9(1). 71-80.
Winer, J. L. (1992). The early history of the Career Decision Scal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40, 369-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