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88
본 연구는 종단적 접근, 즉 다층모형을 적용하여 청소년들의 진로성숙 변화패턴을 추정하고 이 변화에 있어서의 개인차에 대한 성별, 부모애착, 친구애착 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부모애착, 친구애착이 진로성숙도 발달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에 따라 달라지는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 자료의 중 2, 중 3, 고 1, 고 2, 고 3 총 5년간의 종단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중 2에서 고 3까지의 5년간 진로성숙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진로성숙의 초기치(중 2)에 있어서 성별, 부모애착은 정적으로, 친구애착은 부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학생일수록, 부모애착이 높을수록, 그리고 친구애착이 낮을수록 진로성숙도가 높았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증가하는 진로성숙의 변화율과 관련해서는, 부모애착은 부적으로, 친구애착은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애착이 높을수록 진로성숙도의 변화율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낮은 비율로 증가하며, 친구애착이 높을수록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진로성숙도의 변화가 더 큰 폭으로 증가함을 의미한다. 성별과 부모애착, 성별과 친구애착의 상호작용 효과는 진로성숙도의 초기치 및 변화율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통한 연구의 시사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pattern of change in adolescent career maturity and effects of gender, parental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on its growth by using multilevel models.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on the relations of career maturity with parental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were also scrutinized. Five year longitudinal data of the Korean Youth Panel Survey (KYPS) were employed. Results indicated that career maturity during five years linearly increased and the levels of career maturity at second grade of middle school were affected by gender and parental attachment positively, but by peer attachment negatively. Growth rates of career maturity were influenced by parental attachment negatively but peer attachment positively. However,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on the growth models of career maturity were not significant.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discussed.
김경령 (2001). 청소년기의 가정환경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상혁 (2001). 고등학생의 지역 및 계열에 따른 진로성숙도에 관한 비교 연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성희, 방희정 (2008). 애착, 관계적 자아 및 도덕성 간의 관계: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3(2), 137-152.
김수임, 김창대 (2009). 애착과 심리적 독립이 진로발달 및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 상담학연구, 10(3), 1573-1591.
김영근 (2005). 심리적 독립과 애착 및 상호의존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직업적 자아개념을 매개로.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은진, 천성문 (2001). 부모에 대한 갈등적 독립과 애착이 대학생의 진로 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자아정체감 수준을 매개로.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4(1), 147-162.
김정원, 김옥인 (2007). 중학생의 자아개념 및 학업성취수준과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아동교육, 16(4). 75-82.
김현숙 (2001). 중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혜경 (2003).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자아존중감 및 부모의 양육태도와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완성 (2007). 중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종단적 연구. 한국진로교육학회, 20(4), 87-101.
박용관 (2003).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중학생의 자아개념 및 진로성숙도간의 관계.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효희, 성태제 (2008). 성별 진로성숙도 변화에 있어 부모-청소년 자녀 유대가 미치는 종단적 매개효과 검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9(1), 117-142.
선혜연, 김계연 (2007). 청소년 진로선택 및 발달에 있어 부모의 영향에 관한 연구 분석 - 1997년 ~ 2006년. 상담학연구, 8(4), 1467-1483.
신미자 (2002).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 분석.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신은영, 김누리 (2004). 청소년기 중학생의 자아개념과 진로성숙도간의 관계탐색. 아동교육, 13(2), 185-199.
양경숙 (2004).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의 관계. 전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이기학 (1997).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심리적 변인들과의 관계: 자아 존중감, 직업 가치, 내외통제성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이기학, 한종철 (1997). 고등학생의 성별 및 계열별에 따른 진로태도 성숙정도의 비교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9 (1), 335-349.
이상무 (2004).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이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종범 (2007). 초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 변화에 대한 종단적 연구.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3(2), 115-134.
이효성 (2001).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희영 (1999). 고등학생의 진로성숙에 대한 부모-자녀간의 심리적 분리 및 애착 관계의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과 심리치료, 11(2). 239-259.
장석민, 임두순, 송병국 (1991). 중·고등학생용 진로성숙도 검사요강. 연구보고 RR91-5-1.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정윤경 (2005). 우리나라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와 관련 변인-개인, 가정, 학교 특성을 중심으로. 제 1회 한국교육고용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249-292
정정은 (2004).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관련 변인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행옥 (2004). 여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와 성역할정체감 및 진로포부의 관계. 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조미형, 최상미, 엄태영 (2006). 남녀 청소년의 부모·친구·교사애착과 학교생활적응이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15, 81-97.
차정은, 김아영, 이은경, 김봉환 (2007).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및 진로미결정의 성별 차이 및 발달 경향성 검증. 교육심리연구, 21(4), 923-944.
최수미 (2009).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진로태도성숙 발달에 관한 4년 종단연구. 상담학연구, 10(4), 2257-2271.
하성헌 (2006). 부모, 친구와의 애착정도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Blustein, D. L., Walbridge, M. M., Friedlander, M. L. & Palladino, D. E. (1991). Contributions of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parental attachment to the career development proces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8, 39-50.
Crites, J. O. (1961). A model for the measurement of vocational maturit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8, 255-259.
Crites, J. O. (1974). Career development process: A model of vocational maturity. In E. L. Herr (Eds.), Vocational guidance and human development. Boston: Houghton Mifflin.
Gottfredson, L. (1981). Circumscription and compromise; A developmental theory of occupational aspiration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8, 545-580.
Gribbons, W. D., & Lohnes, P. R. (1964). Relations among Measure of Readiness for vocational Plann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11(1), 69-76.
Herr, E. L. & Cramer, S. H. (2004).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through the life span: Systematic approach(6th ed.). New York: Harper Collins.
Holland, M. (1981). Relationships between vocational development and self-concept in sixth grade studen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8, 228-236.
Lee, Hee-young, & Hughey, K. F. (2001). The Relationship of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Parental Attachment to the Career Maturity of College.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27(4), 279-293.
Naidoo, A. V., Bowman, S. L., & Gerstein, L. H. (1998). Demographics, causality, work salience, and the career maturity of African-American students: A causal model.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3, 15-27.
O'brien, K. M. (1996).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parental attachment on the career development of adolescent wome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8, 257-274.
Ryan, N. E., Solberg, V. S., & Brown, S. D. (1996). Family dysfunction, parental attachment, and career search self-efficacy among community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3, 84-89.
Savickas, M. L. (1999). The transition from school to work: A developmental perspective.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47, 326-336.
Stead, G. B., & Watson, M. B. (1998). The appropriateness of Super's career theory among black South Africans. South African Journal of Psychology, 28, 40-3.
Steinberg, L., & Silverberg, S. B. (1986). The vicissitudes of autonomy in early adolescence. Child Development, 57, 841-851.
Super, D. E. (1953). A theory of vocational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8, 185-190.
Super, D. E. (1955). The dimension and measurements of vocational maturity. Teacher's College Record, 57, 151-163.
Super, D. E. (1976). Career educational and the meaning of work. Monographs on career education. Washington D. C.: The Office of Career Education, U. S. Office of Education.
Super, D. E. (1990). A life span, life-space approach to career development. In D. Brown & L. Brooks (Eds.),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2nd ed., pp.197-261). Sna Francisco, CA: Jossey- Bass.
Tuckman, B. W. (1974). An age-grade model for career development educa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 193-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