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사회적 지지가 중학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School Adjustment and Life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mediated effect of ego-resilience and self-control

초록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삶의 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선행연구를 통해 청소년의 적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요인들을 검토하여 그 관계를 살펴보았다.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자기조절(자기조절양식, 의지적 억제양식), 학교생활 적응 및 삶의 만족 간의 구조모형을 설정하여 각 변인들 간의 직․간접 효과를 규명하였고, 설정된 연구모형 경로에서 사회적 지지원에 따라 삶의 만족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해 보았다. 총 54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적 지지는 자아탄력성, 자기조절양식, 의지적 억제양식, 학교생활 적응, 삶의 만족 모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생활 적응은 삶의 만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친구의 사회적지지 모형에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모형의 간접경로를 통하여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사회적 지지는 자아탄력성, 자기조절양식, 의지적 억제양식을 통해 학교생활 적응과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자아탄력성은 자기조절양식을 통해 의지적 억제양식에 영향을, 자기조절양식은 의지적 억제양식을 통해 학교생활 적응과 삶의 만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변인들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keywords
Social Support, Ego-resilience, Self-control(self-regulation mode, volitional inhibition made), Life Satisfaction, School Adjustment,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자기조절(자기조절양식, 의지적 억제양식), 학교생활 적응, 삶의 만족

Abstract

This study was planned to improve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and life satisfaction by reviewing factors showing the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adjustment in previous studies. In doing so,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social support, ego-resilience, self-regulation modes, volitional inhibition made, school adjustment, and life satisfaction that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were established and empirically tested. Additionally, the three hypothesized models were analyzed across the three types of social support. The results which was intended for total 540 students has found that social support showed the direct effect on the associations between all other variables and school adjustment and exhibited the direc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friends’ social support. The results showing the significant mediated effects for middle school students are discussed.

keywords
Social Support, Ego-resilience, Self-control(self-regulation mode, volitional inhibition made), Life Satisfaction, School Adjustment,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자기조절(자기조절양식, 의지적 억제양식), 학교생활 적응, 삶의 만족

참고문헌

1.

강경훈, 최수미 (2013). 청소년의 심리내적 및환경적 요인과 사회적 관계가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24(4), 55-85.

2.

강희경 (2006). 사회적 지지와 아동의 자아탄력성. 대한가정학회지, 44(1), 144-159.

3.

곽민경, 서보준 (2011). 청소년이 지각한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구광역시조손가정 청소년을 중심으로. 복지행정논총, 21(1), 75-112.

4.

구현영, 박현숙, 장은희 (2006). 고등학교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와 영향요인. 대한간호학회지, 36(1), 151-158.

5.

김경민 (2010).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문화포럼, 25, 40-74.

6.

김남정, 임영식 (2012). 청소년의 스트레스와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청소년활동의 중재효과. 청소년학연구, 19(8), 219-240.

7.

김미례 (2008). 교류분석(TA)이론에 기초한 초기 청소년의 자아상태 및 스트로크와 학교적응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심리치료, 20(2), 183-200.

8.

김승미 (1998). 초등학생과 중학생에서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신영, 임지연, 김상욱, 박승호, 유성렬, 최지영, 이가영(2006). 청소년 발달 지표 조사 1. 결과부분 측정지표 검증. 서울: 한국청소년개발원.

10.

김아영 (2002). 학업동기 척도 표준화 연구. 교육평가연구, 15(1), 157-184.

11.

김연화 (2010). 아동청소년의 일상 스트레스및 자아탄력성과 행복감과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7(12), 287-307.

12.

김영민, 임영식 (2013).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잉적양육, 자아탄력성, 학교적응의 구조적 관계 분석. 청소년복지연구, 15(2), 343-366.

13.

김의철, 박영신 (2004). 청소년과 성인의 삶의질 인식에 대한 토착심리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4), 973-1002.

14.

김정희, 안귀여루 (2013). 지각된 부모양육태도가 중학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기조절능력을 매개변인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4), 823-836.

15.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 (2009).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논문쓰기. 커뮤니케이션 북스.

16.

김진경, 한유진 (2008). 초기 및 중기 청소년의사회적 지지와 외로움간 관계: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6), 95-105.

17.

김현옥 (2010). 아동의 사회적 관계망이 역량지각및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동덕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8.

문은식 (2005). 중,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심리적 안녕 및 학교생활 적응의관계. 교육심리연구, 19(4), 1087-1108.

19.

문은식 (2007). 중학생의 심리적 안녕에 관련되는 사회․동기적 변인들의 구조적 분석. 교육심리연구, 21(2), 459-475.

20.

박미애, 김세경, 천성문 (2013).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 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재활심리연구, 20(3), 627-652.

21.

박원주, 이기학 (2008). 탄력성에 따른 성격유형별 학교생활적응,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의 차이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심리치료, 20(3), 675-695.

22.

박지원 (1985). 사회적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배병렬 (2009). Amos 17.0 구조방정식모델링(제2판)-원리와 실제. 서울: 도서출판 청람.

24.

서영석 (2010).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조절효과 검증: 개념적 구분 및 자료 분석 시 고려 사항.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심리치료, 22(4), 1147-1168.

25.

성순옥, 박미단, 김영희 (2013). 청소년의 학교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0(8), 49-70.

26.

손보영, 김수정, 박지아, 김양희 (2012). 바람직한 부모 양육태도가 초기청소년의 삶의만족에 미치는 영향: 학교생활적응 및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성차비교. 한국청소년연구, 23(1), 149-173.

27.

손승아, 안경숙, 김승경 (2006).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과 심리환경적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17(1), 127-148.

28.

신 원 (2007).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과 학업성적 자기효능감 및 진로 포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신혜정, 서영석 (2006). 청소년의 학교 급별(초, 중, 고)에 따른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및 적응 간의 구조모형 분석. 상담학연구, 7(1), 117-130.

30.

안선정, 이현철, 임지영 (2013).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부모자녀갈등, 또래관계, 학교생활적응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2), 77-91.

31.

염유식 (2013). 2013 한국 어린이 - 청소년 행복지수 국제 비교연구 조사결과 보고서. 한국방정환재단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32.

원두리 (2011a). 사회적지지, 희망 및 문제해결대처가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영향: 희망과 문제해결 대처의 매개역할.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2), 297-311.

33.

원두리 (2011b). 성격 강점이 청소년의 안녕감과 적응적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1), 151-167.

34.

유봉애, 옥경희 (2013). 사회적 지지가 다문화가족 아동의 학교적응력, 정서조절력,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가족복지학회지, 18(4), 511-538.

35.

유성경, 심혜원 (2002). 적응 유연한 청소년들의 심리적 보호요소 탐색. 교육심리연구, 16(4), 189-206.

36.

유안진, 이점숙, 이정민 (2005). 신체상, 부모와또래애착, 탄력성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5), 123-132.

37.

윤영신 (2007).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 관련변인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8.

이명숙 (2011). 위기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환경진단 및 긍정적 발달을 위한 전망. 교정담론, 5(1), 167-194.

39.

이숙주 (2000). 교회학교 경험과 귀인성향, 실패내성, 학교적응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이영주, 류진아 (2013). 아동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4(4), 2049-2066.

41.

이정윤, 최수미 (2011).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초기 청소년의 문제행동: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2(2), 635-650.

42.

이회란 (2012). 부모의 자율성지지 및 심리적 통제와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 자녀의 자기조절양식의 매개효과. 단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3.

장석진, 송소원, 조민아 (2011). 중학생의 휴대전화 의존도, 부모양육태도, 또래애착이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8(12), 431-451.

44.

조영미 (1999). 학교장면에서의 실제적 지능의 유용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조은정 (2012).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방식과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매개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5(1), 35-50.

46.

조진만, 강정한, 이병규 (2012). 가족구조와 친구연결망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사회과학논집, 43(1), 47-71.

47.

최인숙 (2012). 중학생의 부모, 또래 및 교사관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와 성차 검증. 교육과학연구, 43(3), 105-129.

48.

하현주, 박원모, 박명숙, 천성문 (2008).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이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논단, 7(1), 1-19.

49.

한호성 (2007). 자기조절의 주요변인으로서의 자기통제력과 자아탄력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임상, 19(1), 161-177.

51.

Ahrons, C. R. (2007). Family ties after divorce:Long-term implications for children. Family Process, 46(1), 53-65.

52.

Bagwell, G. L., Newcomb, A. F., & Bukowski, W. M. (1998). Preadolescent friendship and peer rejection as predictors of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9(1), 140-153.

53.

Baumann, N., Kaschel, R., & Kukl, J. (2007). Affect sensitivity and affect regulation in dealing with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Journal of Research, 41, 239-248.

54.

Bierman, K. L. (1994). School Adjustment. In R. J. Corsini (Ed.), Encyclopedia of Psychology. A Wiley-Interscience Publication, John Wiley &Sons.

55.

Block, J., & Kermen, A. M. (1996). IQ and ego-resilience: Conceptual and empirical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2), 349-361.

56.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Newbury Park, CA: Sage.

57.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asurement, 38(5), 300-314.

58.

Cohen, W., Underwood, L. G., & Gottlieb, B. G. (2000). Social support measurement and intervention: a guide for health and social scientists. Oxford, N Y: Oxford University Press.

59.

Deci, E. L., & Ryan, R. M. (1985).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New York: plenum.

60.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 542-575.

61.

Diener, E., & Fujita, F. (2005). Life satisfaction set point: Stability and chang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8(1), 158-164.

62.

Felner, R. D., Ginter, M., & Primavera, J. (1982). Primary prevention during school transitions:Social support and environmental structure.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0(3), 277-290.

63.

Funder, D. C., Block, J. H., & Block, J. (1989). The role of ego-control, ego-resiliency, and IQ in delay of gratification in adolesc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 1041-1050.

64.

Hong, S., Malik, M. L., & Lee, M. K. (2003). Testing configural, metric, scalar, and latent mean invariance across genders in sociotropy and autonomy using non-western sample. Educational and Psychology Measurement, 63, 636-654.

65.

Huebner, E. S. (2004). Research on assessment of life satisfac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Social Indicators Research, 66, 3-33.

66.

Huebner, E. S., & McCullough, G. (2000). Correlates of school satisfaction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3, 331-335.

67.

Klohnen, E. C. (1996).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of ego-resilien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 1067-1079.

68.

Kopp, C. B. (1989). Regulation of distress and negative emotions: A developmental view. Developmental Psychology, 25(3), 343-354.

69.

Kuhl, J. (1992). A theory of self-regulation: Active versus state orientation, self-discrimination, and some application. Applied Psychology, 41, 95-173.

70.

Kuhl, J., & Fuhrmann, A. (1998). Decomposing self-regulation and self-control: The Volitional Components Inventory. In J. Heckhausen, &C. Dweck (Eds.), Motivation and self-regulation across the life span. (pp. 15-49). Hillsdale, NJ:Erlbaum.

71.

Procidano, M. E., & Heller, K. (1983). Measure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from friends and from family: Three radiation studies.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1, 1-24.

72.

Russell, D., Kahn, J. H., Spoth, R. S., & Altmaier, E. M. (1998).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1), 18-29.

73.

Ryan, R. M., & Deci, E. L. (2000).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55(1), 68-78.

74.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 1069-1081.

75.

Sarason, J. P., Pierce, C. R., Shearin, E. N., Sarason, I. G., & Waltz, J. A. (1991). Perceives social support and working models of self and actual othe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0, 273-287.

76.

Veenhoven, R. (1988). The utility of happiness. Social Indicators Research, 20, 333-354.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