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군 병사의 자기복잡성과 군 생활 적응의 관계: 대인존재감과 조망수용의 매개효과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lexity and Adjustment to Military Life among Military Soldiers: Mediating Effects of Mattering and Perspective-Taking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군 병사들의 긍정․부정 자기복잡성과 군 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대인존재감과 조망수용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강원도 W시에 소재한 육군과 공군 부대 311명의 병사들을 대상으로 자기복잡성 척도, 대인존재감 척도, 조망수용 척도 그리고 군 생활 적응 척도를 실시하고, 구조회귀모형과 부트스트랩을 통하여 매개효과 검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긍정 자기복잡성, 대인존재감, 조망수용 및 군 생활 적응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는 반면에, 이러한 변인들과 부정 자기복잡성은 부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대인존재감과 조망수용은 자기복잡성과 군 생활 적응의 관계를 순차적으로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군 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병사들을 상담할 때, 자신이 타인들에게 중요한 사람이라고 인식되는 대인존재감 수준을 향상시키고, 타인의 관점이나 입장이 되어 생각하는 조망수용 능력을 키워주면 군 생활 적응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와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keywords
자기복잡성, 대인존재감, 조망수용, 군 생활 적응, 군 병사, self-complexity, mattering, perspective-taking, adjustment to military life, military soldier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or not mattering and perspective-taking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association between self-complexity and adjustment to military life among military soldi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dministered a self-complexity scale, mattering scale, perspective-taking scale and military life adjustment scale to 311 military soldier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mattering and perspective-taking ful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self-complexity and adjustment to military life in a sequential manner. This finding suggests that in counseling with the military soldiers having difficulties in adjustment to military life, helping them aware of themselves as an important person may enhance mattering, and enhancing their perspective- taking capacity which allows them to think on other's side helps them adjust to military life better.

keywords
자기복잡성, 대인존재감, 조망수용, 군 생활 적응, 군 병사, self-complexity, mattering, perspective-taking, adjustment to military life, military soldiers

참고문헌

1.

강재기 (2008). 아버지 양육태도가 육군병사의 군생활 적응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구승신 (2004). 신세대 병사의 군 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구희곤 (2010). 군 병사의 스포츠참여와 집단응집성, 군생활적응성, 조직효과성의 관계.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권석만 (1996). 자기개념의 인지적 구조와 측정도구의 개발: 서울대학생 표집의 자기개념 특성. 학생연구, 31(1), 11-38.

5.

권소영, 김완일 (2013). 대상관계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4(6), 3829-3848.

6.

김계수 (2007). New Amos 7.0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서울: 한나래 출판사.

7.

김광은, 윤유경, 권석만, 하승수 (2010). 긍정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사관생도의 성격적강점과 행복 및 생활적응과의 관계. 한국 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1), 233-248.

8.

김기현 (2009). 군복무 병사들의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와 군 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옥란, 김완일 (2013). 군 병사의 자기개념 복잡성과 심리적 건강의 관계: 복합적 자아해석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심리치료, 25(3), 699-722.

10.

김옥란, 김완일 (2014). 군 병사의 군 생활 적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상담학연구, 15(4), 1627-1646.

11.

김옥란, 김완일, 장동원 (2013). 군 병사의 자기복잡성과 우울 간의 관계: 자기결정성의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4(5), 2715-2733.

12.

김완일 (1997). 자기평가와 자기분화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김완일 (2012). 군 병사의 자기개념 복잡성과심리적 건강의 관계에서 자기조망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3(6), 3131-3149.

14.

김완일, 김재환 (1992). 대학생의 자기 긍정감과 자기복잡성 및 우울 성향과의 관계. 대학생활연구, 10, 249-270. 한양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5.

김윤영 (2010). 반응양식과 용서의 관계에 있어조망수용의 매개효과 검증.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김은미 (2011). 병사들의 군 복무 적응에 영향을주는 입대 전 생활사와 성격특성 탐색.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김은영 (2007). 유아의 자기존중감과 조망수용에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김은정 (2013). 남녀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이성관계 만족도의 관계: 조망수용 및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김정규 (1999). 성신 자기개념검사. 서울: 한국가이던스.

20.

김지현 (2006). 조망수용, 관계귀인, 갈등대처행동 및 이성교제 만족도 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노현진 (1996). 군대에서의 일탈에 관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박 일, 고영건 (2012). 정신전력이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및 조직, 25(1), 105-124.

23.

박현철 (2001). 군인의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 스트레스 원,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손지원 (2007). 군 입대 후 환경과 군 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심윤기, 김완일 (2013). 군 장병의 자기복잡성과 자아탄력성이 군 복무 적응에 미치는영향. 상담학연구, 14(2), 1265-1284.

26.

안현의, 손난희, 이문희, 서은경 (2007). 군복무부적응 실태 및 인권침해 경험과의 관련성. 상담학연구, 8(2), 425-435.

27.

양현지 (2012). 자기복잡성과 우울, 지각된 스트레스, 삶 만족 간의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우종필 (2013).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

29.

육군본부 (2008). 자살사고 예방 추진 지침. 대전: 육군본부.

30.

이연규 (2013).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관계에서 대인존재감과 내면화된 수치심의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이은혜 (2012). 대학생의 자기복잡성과 탈 중심화가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임윤선 (2012). 성인애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존재감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장경숙 (2013). 탈 중심화와 조망수용이 우울에미치는 영향: 반추와 반성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정은선 (2007). 육군 신병 교육 훈련 상황에서심리적 강인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대처방식과 성취목표를 매개변인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1), 191-211.

35.

조미경 (2012). 2012년도 6619부대의 활동보고서. 대구: 6619부대.

36.

차미희 (2013).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우울의 관계에서 Mattering, 자존감의 매개효과 비교:사회적 단절 모델을 바탕으로. 아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최한나, 임윤선 (2013). 한국판 대인존재감 척도의 타당화. 상담학연구, 14(3), 1699-1715.

38.

최혜란, 박숙희 (2009). 군 생활 적응에 영향을주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연구. 상담학연구, 10(3), 1743-1756.

39.

한혜영 (2005). 성인애착과 결혼만족: 부부 조망수용과 갈등해결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현명선, 강희선, 남경아 (2010). 군 병사의 비합리적 신념과 정신건강: 자기효능감의매개효과. 정신 간호학회지, 19(3), 252-260.

41.

홍경순 (2009). 자기개념이 청소년의 비행행동에미치는 영향: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임상, 19(1), 161-177.

43.

Abela, J. R. Z., & Veronneau-McArdle, M. (2002).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lexity and depressive symptoms in third and seventh grade children: A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0(2), 155-166.

44.

Brown, G. W., Andrews, B., Harris, T., Adler, Z., & Bridge, L. (1986).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depression. Psychological Medicine, 16(4), 813-831.

45.

Brown, J. D., & Marshall, M. A. (2006). The three faces of self-esteem. In M. H. Kernise (Ed.), Self-esteem and answers: A source book on current perspectives(pp. 4-9). New York:Psychology Press.

46.

Crick, N. R., & Grotpeter, J. K. (1995). Relational aggression, gender, and social psychologica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6(3), 710-722.

47.

Dixon, S. K., & Kurpius, R. S. E. (2008). Depression and college stress among university undergraduates: Do mattering and self-esteem make a difference?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49(5), 412-424.

48.

Donahue, E. M., Robinson, B. W., & John, O. P. (1993). The divided self: Poncurrent and longitudinal effects of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social roles on self-concept differenti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4(5), 834-846.

49.

Downey, G., & Feldman, S. (1996). The implication of rejection sensitivity for intimate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6), 1327-1343.

50.

Elliott, G. C., Kao, S., & Grant, A. M. (2004). Mattering: empirical validation of a socialpsychological concept. Self and Identity, 3(4), 339-354.

51.

Finch, J. F., West, S. G., & MacKinnon, D. P. (1997). Effects of sample size and nonnormality on the estimation of mediated effects in latent variable model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4(2), 87-105.

52.

Hendrick, J. (2000). The whole child. Columbus, Ohio: Charles Merrill.

53.

Kline, R. B. (2010). 구조방정식 모형-원리와 적용〔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이현숙, 김수진, 전수현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98에 출판).

54.

LeMare, L. J., & Rubin, K. H. (1987). Perspective taking and peer interaction: Structural and developmental analysis. Child Development, 58(2), 306-315.

55.

Linville, P. W. (1985). Self-complexity and affective extremity: Don't put all of your eggs in one cognitive basket. Social Cognition, 3(1), 94-120.

56.

Linville, P. W. (1987). Self-complexity as a cognitive buffer against stress-related illness and depre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2(4), 663-676.

57.

Long, E. C. J., & Andrews, D. W. (1990). Perspective taking as a predictor of marital adjust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1), 126-131.

58.

Marsh, H. W., Balla, J. R., & McDonald, R. P. (1988). Goodness-of-fit indexes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effect of sample size. Psychological Bulletin, 103(3), 391-410.

59.

Russel, D. W., Kahn, J. H., Spoth, R., & Altmaier, E. M. (1998).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Journal of Counselling Psychology, 45(1), 18-28.

60.

Scott, W. A., Osgood, D. W., & Peterson, C. (1979). Cognitive structure: Theory and measurement of individual differences. Washington, D. C: V. H. Winston & Sons.

61.

Showers, C. J., Abramson, L. Y., & Hogan, M. E. (1998). The dynamic self: How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the self-concept change with moo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5(2), 478-493.

62.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445.

63.

Taylor, J. L., Morley, S., & Barton, S. B. (2007). Self-organization in bipolar disorder:compartmentalization and self-complexity.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31(1), 83-96.

64.

Taylor, J. L., & Turner, J. (2001). A longitudinal study of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mattering to others for depressive symptom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42(3), 310-325.

65.

Woolfolk, R. L., Novalany, J., Gara, M. A., Allen, L. A., & Polino, M. (1995). Self-complexity, self-evaluation and depression: An examination of form and content within the self-schema.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8(6), 1108-1120.

66.

Zechmeister, J. S., & Romero, C. (2002). Victim and offender accounts of interpersonal conflict:Autobiographical narratives of forgiveness and unforgiv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2(4), 675-686.

67.

Zechmeister, J. S., Garcia, S., Romero, C., & Vas, S. N. (2004). Don’t apologize unless you mean it: A laboratory investigation of forgiveness and retaliation.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3(4), 535-564.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