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내현적 자기애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부부공감과 결혼만족도를 매개변인으로

The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on Smart-phone Addiction: Focusing on Marital Empathy and Marital Satisfaction as mediators

초록

본 연구에서는 30~40대 기혼남녀의 내현적 자기애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부부공감과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가정하고 이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 거주하는 30~40대 기혼남녀 646명을 연구대상으로 표집 하여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인과 구조 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모형에 대한 직접효과를 살펴본 결과, 내현적 자기애가 스마트폰 중독에 정적영향과 부부공감과 결혼만족도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만족도는 스마트폰 중독에 부적영향을 미치고 부부공감은 결혼만족도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모형의 간접효과를 살펴본 결과, 내현적 자기애와 스마트폰 중독의 사이에서 부부공감과 결혼만족도가 각각의 매개효과와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공감과 스마트폰 중독의 사이에서 결혼만족도가 완전매개효과를 보였고, 내현적 자기애와 결혼만족도의 사이에서 부부공감이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기혼남녀의 스마트폰 중독에 내현적 자기애, 부부공감 및 결혼만족도가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시사하고,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부부공감과 내현적 자기애가 될 수 있고, 마지막으로 부부공감에 내현적 자기애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keywords
Covert Narcissism, Empathy, Marital Empathy, Marital Satisfaction, Smart-phone Addiction, 내현적 자기애, 공감, 부부공감, 결혼만족도, 스마트폰 중독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covert narcissism on the smart-phone addiction of the married 30’s and 40’s. 646 participants living in Seoul city,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city were recruited. Analyses showed that covert narcissism influenced smart-phone addiction positively and marital empathy and marital satisfaction negatively. Marital satisfaction was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marital empathy and smart-phone addiction, and marital empathy partial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marital satisfaction. In other words, covert narcissism, marital empathy and marital satisfaction influenced smart-phone addition of married people in their 30’and 40’s and marital empathy and covert narcissism influenced marital satisfaction. Lastly, marital empathy was influenced by covert narcissism.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discussed.

keywords
Covert Narcissism, Empathy, Marital Empathy, Marital Satisfaction, Smart-phone Addiction, 내현적 자기애, 공감, 부부공감, 결혼만족도, 스마트폰 중독

참고문헌

1.

강동주, 조성현, 강성진 (2013).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경향 분석을 위한 프레임워크.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 19(10), 502-508.

2.

강선희, 정남운 (2002). 내현적 자기애 척도의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4), 969-990.

3.

강희양, 박창호 (2012). 스마트폰 중독 척도의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2), 563-580.

4.

권석만, 한수정 (2000). 자기애성 성격장애: 지나친 자기사랑의 함정. 서울: 학지사.

5.

권정혜, 채규만 (1999). 한국판 결혼만족도 검사의 표준화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8(1), 123-139.

6.

김명희 (2006). 중년기 기혼남녀의 부부친밀감과부부의사소통이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미옥 (2014). 중년기 여성의 대인애착, 내현적자기애 및 배우자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보연 (2012). 고등학생의 인터넷 게임 중독 및스마트폰 중독과 수면부족 및 스트레스와의관계.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선화 (2012). 중년기 부부의 친밀감과 의사소통에 관한 현상학 연구. 경북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우정 (2011). 기혼자들의 자기애성향, 공감, 자존감 및 갈등대처방식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희진 (2005). 결혼초기 부부관계향상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긍정주의 심리치료접근 중식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심리치료, 17(4), 877-906.

12.

류경희, 홍혜영 (2014). 중학생의 외현적, 내현적 자기애와 스마트폰 중독간의 관계: 공격성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1(8), 157-183.

13.

박남숙 (2005). 부부상담에서 집단상담의 치료적 활용: 문헌 고찰과 사례연구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4), 1097-1118.

14.

박선영 (2003). 부부의 공감 및 친밀감 증진을위한 무용/동작 심리치료 프로그램 효과연구. 한국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논문집: 3, 17-35.

15.

박성희 (2004). 공감학 어제와 오늘. 서울: 학지사.

16.

박용민 (2011). 성인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박준영 (2007). 자기애, 타인 지향적 완벽주의, 공격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박지선 (2012). 청소년 및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배병렬 (2011). AMOS 19 구조방정식모델링 원리와 실제. 서울: 청람

20.

손은하 (2012). 스마트폰 중독과 예방에 대한 인식 연구: 스마트폰 이용자와의 질적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손정선 (2010). 내현적 자기애와 인지적 왜곡, 인터넷 사용 동기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신영미 (2012). 스마트폰 이용 동기 및 정도와 과다사용 간의 관계.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양영숙 (2008). 부부갈등과 심리적 부적응과의 관계에서 공감과 용서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양은주, 우성범 (2014). 한국판 남성우울척도타당화 연구. 인간발달연구, 21(2), 115-132.

25.

오윤경 (2012). SNS 중동경향성과 외로움, 우울, 대인관계, 사회적지지의 관계.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우종필 (2012).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아카데미.

27.

이계정 (2007). 내현적 자기애 성격성향과 인터넷 보상경험이 인터넷 과다사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1), 55-69.

28.

이정은 (2005). 주부의 인터넷 중독 정도와 부부의 의시소통 및 결혼만족도.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지: 14(4), 428-437.

29.

이정호 (2013). 쉼터여성의 부부갈등 요인 분석:부부갈등 요인.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전 민 (2012). 의사소통 불안과 우울취약성이 대학생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미치는 영향. 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정경아 (2010). 성인애착, 공감능력 및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학술저널, 31(1), 89-104.

32.

제순하 (2011). 내현적 자기애가 인터넷 중독 성향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조다현 (2014). SNS중독경향성과 병리적 자기애, 정서 표현성, 친구 지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조은경, 정혜정 (2009). 원가족 건강성이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기분화와 결혼만족도 매개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4), 105-132.

35.

조혜선 (2003). 결혼 만족도의 결정요인: 경제적 자원, 성역할관, 관계성 모델의 비교. 한국사회학회, 37(1), 91-115.

36.

차연실 (2004). 재혼모의 역할긴장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 연구: 배우자 지지의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37.

최선웅 (2014, 2월). 직장인 세 명 중 한 명이스마트폰 중독. 앱스토리 매거진.

38.

최지영 (2013). 중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분노표현양식 및 공감능력이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허미화 (2004). 중년기 기혼남녀의 결혼생활 및만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0.

홍세희 (2011). 구조방정식 모형: 중급, 고급연구방법론 워크샵. 서울: S&M 리서치 그룹.

41.

황순택, 손애리, 고은경 (2010). 중학생 자기애성향의 하위유형에 따른 기질과 공감 능력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7(3), 391-404.

42.

한국인터넷진흥원 (2012). 스마트 라이프 혁명의 실제와 스마트폰 중독.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3(4), 21-43

43.

한국인터넷진흥원 (2013). 2012년 하반기 스마트폰 이용실태 조사. 서울: 한국인터넷진흥원.

44.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2014, 8월). ICT 주요품목동향조사. 6.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45.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 스마트폰 중독 진단척도.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46.

Akhtar, S., & Thomson, A. (1982). Overview: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39, 12-20.

47.

Barnett-Lennard, G. T. (1981). The empathic cyclo: Refinement of a nuclear concep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8, 91-100.

48.

Baston, C. D. (2009). These things called empathy:Eight related but distinct phenomena. In J. Decety & W. Ickes (Eds.), The social neuroscience of empathy (pp.3-15). Cambridge, MA, US: MIT Press.

49.

Cheung, G. W., & Lau, R. S. (2008). Testing Mediation and Suppression Effects of Latent Variables: Bootstrapping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s.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11(2), 296-325.

50.

Cooper, A. M., & Ronningstam, E. (2002).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In A. Tasman & M. B. Riba (Eds.), American psychiatric press review of psychiatry (pp.80-97).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

51.

Coplan, A. (2011). Understanding Empathy: Its Features and Effects. In A. Coplan & P. Goldie (Eds.), Empathy: Philosophical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s (pp.3-18): Oxford University Press.

52.

Decety, J., & Lamm, C. (2006). Human empathy through the lens of social neuroscience. Scientific World Journal, 6, 1146-1163.

53.

Freud, S. (1914). On Narcissism: An Introduction. In J. Strachey (Ed.), The standard edition of the complete psychological works of Sigmund Freud (pp.69-102). London: Hogarth Press.

54.

Kohut, H. (1991). Freud’s “On Narcissism: an introduction”. International Psychoanalytical Association.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55.

Kuss, D. J., & Griffiths, M. D. (2011). Online social networking and addiction-review of the psychological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8, 3528-3552.

56.

Paulhus, D. L., & Williams, K. M. (2002). The dark triad of personality: Narcissism, Machiavellianism, and psychopathy.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36, 556-563.

57.

Schutte, N. S., Malouff, J. M., & Bobik, C. (2001).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41, 523-536.

58.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 422-445.

59.

Snyder, D. K. (1979). Marital Satisfaction Inventory. LA: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60.

Wink, P. (1991). Two faces of narcissis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 590-597.

61.

Yoon, G. J. (1999). The effects of spousal empathy on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of the unemployed in Korea. 미국가족관계학회 제61회 연차학술대회에서 발표된 논문. 미국 캘리포니아어바인, 미간행.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