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자기통제력과 관련된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가정환경 변인군과 개인심리 변인군을 중심으로

Meta-Analysis on Variables Related to Self-Control: Focused on family environment and psychological factors

초록

본 연구는 국내에서 발간된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들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자기통제력과 관련된 가정환경 변인군과 개인심리 변인군에 대한 종합적인 결론을 얻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가정환경 촉진변인군에서는 부모의사소통, 애정적인 부모양육태도, 부모애착, 부모교육수준, 생활만족도, 가정 경제수준 순으로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개인심리 하위변인군에서는 공감, 자아존중감, 자아분화, 긍정정서 순으로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환경 억제변인군에서는 거부적인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의 학대, 과보호적 부모양육태도, 모의 취업 순으로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넷째, 개인심리 억제변인군에서는 심리적 반발심, 우울, 불안, 공격성, 스트레스, 부정정서 순으로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촉진변인군과 억제변인군 모두 개인심리 변인군의 효과크기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재변인별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연구대상의 특성, 연령,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자기통제력에 대한 개입을 하고자 할 때 대상을 고려한 심리적인 개입이 효과적임을 나타낼 수 있는 근거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자기통제력, 메타분석, 촉진변인, 억제변인, 가정환경 변인군, 개인심리 변인군, self-control, meta-analysis, promoting variables, suppressing variables, family environment factors, psychological factor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revious research and provide a comprehensive conclusion on the self-control of dissertations and academic journals in Korea. First, the most influential promoting variable in the family environment factors was communication style with parents. Second, the most influential promoting variable in the psychological factors was sympathy, which was followed by self-worth, self-differentiation, and positive emotion, respectively. Third, the most influential suppressing variable in the family environment factor was rejective parenting attitude. Fourth, the most influential suppressing variable in psychological factors was psychological resistance. And it was followed by depression, anxiety, aggression and stress. The most influential promoting and suppressing variables related to self-control were turned out psychological factor. Fifth, the effect of moderating variables concerning characteristics, age, sex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Limitations to the current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keywords
자기통제력, 메타분석, 촉진변인, 억제변인, 가정환경 변인군, 개인심리 변인군, self-control, meta-analysis, promoting variables, suppressing variables, family environment factors, psychological factors

참고문헌

1.

강소연 (2012). 아동의 자기통제력, 성격 5요인및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영숙, 김은경 (2007). 근거 기반의 실제를구축하기 위한 메타분석: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사회성과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정서․행동장애연구, 23(1), 1-27.

3.

권오숙 (2005). 청소년의 스트레스 및 자기통제력과 충동구매 경향성과의 관계. 중앙대학교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권재환, 이성주 (2013). 대학생의 지각된 부모양육태도가 자기통제력과 학교생활적응에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24(2), 35-62.

5.

기광도 (2011). 자기통제력과 범죄피해간의 관계분석. 피해자학연구, 19(2), 97-117.

6.

김광웅, 부정민 (2006). 온라인게임 몰입 및중독과 개인내적 요인과의 관계: 자기존중감, 자기통제력, 우울, 공격성, 감각추구성향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7(4), 1169-1187.

7.

김두섭, 민수홍 (1996). 개인의 자기통제력이 범죄억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형사정책연구원.

8.

김명희 (2011).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 자아존중감과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검증. 대학생활연구, 17(2), 37-56. 전국대학교학생생활상담센터협의회.

9.

김병년, 최홍일 (2013). 과보호적 부모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 29(1), 1-25. 경성대학교.

10.

김선영, 김정희, 이경열 (2004).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공격성, 자기통제력및 자기존중감과 청소년 비행의 관계. 상담학연구, 5(3), 711-723.

11.

김선희 (2002). 자기통제력과 청소년비행에 관한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김원두 (2011).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및 자기통제력과 학교적응의 관계.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원희, 이동훈 (2010).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 및 자기 통제력이 학교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1(4), 1767-1782.

14.

김은주 (2012). 청소년의 자아분화가 자기통제력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종운 (2008).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자기통제력 및 정신건강과의 관계. 중등교육연구, 56(3), 1-22.

16.

김지영, 박은예 (2013). 부모의 학대와 중학생의 학교폭력 가해행동간 관계: 자기통제력과 가족지지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20(9), 25-49.

17.

김지혜 (2006).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메타분석.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김하나 (2011).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유형과 인터넷 게임중독 간의관계: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경성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김혜순 (2008). 어머니의 자아분화와 양육 효능감이 유아의 자기 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4), 205-230.

20.

남경욱, 신현기 (2008). 인지적 장애를 지닌 아동을 위한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에 대한 메타분석-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특수교육학연구, 42(4), 193-212.

21.

남수정 (2011). 긴장과 낮은 자기통제력이 사이버일탈에 미치는 영향: 인터넷 중독의매개효과와 익명성의 조절효과 검증. 대한가정학회지, 49(2), 63-74.

22.

박승채 (2008).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자기통제력및 행동문제와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박정희, 이은희 (2008). 청소년의 자아 정체성, 불안/우울 및 강박증과 진로미결정: 자기통제력과 사회적 지원의 매개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1), 103-123.

24.

박현아 (2010). 초등 영어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메타 분석을 통한 활용 방안 연구. 현대영어교육, 11(2), 165-192.

25.

배성경 (2012). 공감능력 및 자기통제력과 아동의 스트레스와의 관계.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변경보 (2006).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행복과의 상관관계 연구. 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서민영, 임은미 (2012). 남자 고등학생의 인터넷 활용특성,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 공격성과 인터넷 게임중독의 관계. 가족과상담, 2(2), 31-47.

28.

서봉언 (2014). 청소년 비행의 남녀 차이에 관한메타분석.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9.

소현하 (2008). 청소년의 자기통제, 대인불안 및인터넷 중독이 메신저 몰입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송근혜, 조규판 (2013). 대학생의 도덕적 자아, 자기통제력, 공감 및 도덕적 행동 간의구조적 관계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3), 23-44.

31.

신명숙 (2006). 어머니의 통제유형에 따른 유아의 친사회적행동 및 자기통제력의 차이. 남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신주혜 (2009). 중학생의 공격성과 학교적응간의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 및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신지현 (2008). 저소득 가정 아동의 문제행동에대한 자아존중감 및 자기통제력과 환경 변인의 중재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4.

양미경, 김경숙 (2011). 유아의 대인간 신뢰도, 또래 유능성 및 자기조절능력 간 관계. 유아교육연구, 31(3), 179-202.

35.

어유경 (2005). 취약한 가족 환경이 청소년의 우울과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개인적 특성의 보호 기능. 연세대학교석사학위논문.

36.

연현진, 한애경, 윤혜미 (2011). 남자범죄청소년의 부모양육행동, 학대피해경험과 사이코패스 성향의 관련성 및 자기통제력의매개효과.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8, 141-171.

37.

왕 운 (2012). 재한 중국유학생 문화적응 스트레스, 자기통제력 및 외로움이 행드폰 과다사용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이미영 (2010). 부모양육태도와 가족의 구조적요인이 자기통제력 및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 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9.

이성대, 염동문, 김서정 (2013).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비행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5(1), 55-75.

40.

이성식 (2007). 낮은 자기통제력과 비행친구의청소년비행에의 영향: 청소년패널자료의분석. 한국청소년연구, 18(2), 159-181.

41.

이성용, 강영택, 이정현 (2012). 상황이야기 중재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특수교육연구, 19(1), 293-319.

42.

이성용, 김진호 (2011). 자기교시 중재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특수교육학연구, 46(3), 163-189.

43.

이승희 (2007).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컴퓨터게임 중독과 또래관계, 자기통제력 및 부모와의 의사소통 유형간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이안나 (2003). 인지행동 집단상담의 불안감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5.

이영민, 어성민, 임성택 (2012).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자기통제력과 학교생활적응의 관련성: 가족상담에의 함의. 상담평가연구, 5(1), 1-12.

46.

이예다나, 손승현 (2010). 중재반응모형에서의증거기반교수를 위한 읽기중재 효과 메타분석. 학습장애연구, 7(2), 119-143.

47.

이은희 (2011). 대학생의 자아분화 수준과 심리적 부적응: 자기 통제력과 문제해결방식의 역할. 청소년학연구, 18(12), 157-180.

48.

이종호 (2013). 온라인 학습에서 실재감의 효과에대한 메타분석.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9.

전주람, 김순옥 (2012). 초등학생 고학년 남아의 자기통제력, 부모의 양육행동, 부모간갈등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0(2), 101-120.

50.

정선진 (2010). 개방적인 부모-자녀 의사소통 유형이 초등학생의 휴대전화 중독에 미치는 영향: 또래지지와 자기통제를 매개로.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조민아 (2004). 집단상담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2.

조민자 (2012). 청소년의 우울과 불안 및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 청소년시설환경, 10(1), 15-25.

53.

조한익 (2011).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학습관여가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성취목표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8(4), 241-259.

54.

주동범 (2011). 초등학생의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부산지역을중심으로. 수산해양교육연구, 23(2), 277-289.

55.

주성연 (2006).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과 자기통제력, 공격성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6.

진미희 (2009). 아동이 지각한 심리적 가정환경과 자기통제력, 공격성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7.

진혜민, 배성우 (2012). 청소년비행 관련변인에관한 메타분석. 청소년복지연구, 14(2), 193-221.

58.

최영아, 김희화 (2011). 청소년의 심리적 반발심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 대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8(9), 285-308.

59.

최윤경, 이지연 (2011). 부모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우울 관계에서 긍정적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자기통제의 매개효과 연구. 아동교육, 20(2), 235-251.

60.

최준석, 류진아 (2012). 성별에 따른 지각된부모의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자기통제력및 공격성. 상담학연구, 13(1), 273-290.

61.

최혜진, 최연실, 안연주 (2011). 부모양육태도, 자기통제력 및 또래관계가 청소년의 인터넷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5(4), 113-133.

62.

하창순 (2004). 한국판 자기통제력 척도 타당화연구.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3.

하창순, 김지현, 최희철, 유현실 (2006).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학교수업 참여도, 개인 학습시간과 학업성적간의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17(1), 181-200.

64.

황성동 (2014). 메타분석. 워크샵 자료.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연구방법 및 데이터분석센터.

65.

황은영 (2009).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통제력과의 관계.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6.

Ainslie, G. (2006). Cruelty may be a self-control device against sympathy. Behavioral and Brain Sciences, 29(3), 224-225.

67.

Becker, B. J. (2005). Failsafe N or file-drawer nunber. In H. R. Rothstein, A. J. Sutton &M. Borenstein (Eds.),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Prevention, assessment and adjustments. Chichester, UK: John Wiley &Sons.

68.

Borenstein, M., Hedges, L. V., Higgins, J. P. T., & Rothstein, H. R. (2009).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John Wiley & Sons.

69.

Bouffard, J., Craig, J. M., & Piquero, A. R. (2014). Comparing attitudinal and situational measures of self‐control among felony offenders. Criminal Behaviour and Mental Health.

70.

Brown, W., & Jennings, W. G. (2014). A replication and an honor-based extension of Hirschi's reconceptualization of self-control theory and crime and analogous behaviors. Deviant Behavior, 35(4), 297-310.

71.

Buboltz Jr, W. C., Williams, D. J., Thomas, A., Seemann, E. A., Soper, B., & Woller, K. (2003). Personality and psychological reactance:Extending the nomological net.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4(7), 1167-1177.

72.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 J.:Lawrence Eribaum Associates.

73.

Dowd, E. T., Wallbrown, F., Sanders, D., & Yesenosky, J. M. (1994). Psychological reactance and its relationship to normal personality variable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8(6), 601-612.

74.

Duval, S. J., & Tweedie, R. L. (2000). Trim and fill: A simple funnel-plot based method of testing and adjusting for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Biometrics, 56, 455-463.

75.

Egger, M., Smith, D. W., & Altman, D. G. (2003). Systematic reviews in health care:Meta-analysis in context (2nd ed.). London, UK:BMJ Books.

76.

Findley, M. B., Carvallo, M., & Bartak, C. P. (2013). The effect of self-control on willingness to sacrifice in close relationships. Self and Identity, 1-11.

77.

Gottfredson, M. R., & Hirschi, T. (1990). A general theory of crime. Stanford, C. A.: Stanford University Press.

78.

Hagger, M. S., Wood, C., Stiff, C., & Chatzisarantis, N. L. (2010). Ego depletion and the strength model of self-control: A meta-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136(4), 495-525.

79.

Hedges, L., & Olkin, I. (1985). Statistical methods for meta-analysis. San Diego, CA: Academic Press.

80.

Higgins, J., & Green, S. (2011). The cochrane collaboration.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sion 5.1.0. Retrieved from http://www.cochrane-handbook.org.

81.

King, R. B., & Gaerlan, M. J. M. (2014). High self-control predicts more positive emotions, better engagement, and higher achievement in school.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y of Education, 29(1), 81-100.

82.

Lewinsohn, P. M., Olino, T. M., & Klein, D. N. (2005). Psychosocial impairment in offspring of depressed parents. Psychological Medicine, 35(10), 1493-1504.

83.

Littell, J., Corcoran, J., & Pillai, V. (2008). Systematic reviews and meta analysis. New York:Oxford University Press.

84.

Mischel, W., Peake, P. K., & Shoda, Y. (1990). Predicting adolescent cognitive and selfregulatory competencies from pre-school delay of gratification. Development Psychology, 26(6), 978-986.

85.

Muraven, M., & Baumeister, R. F. (2000). Self-regulation and depletion of limited resources: Does self-control resemble a muscle? Psychological bulletin, 126(2), 247.

86.

Newman, D. L., Caspi, A., Moffitt, T. E., & Silva, P. A. (1997). Antecedents of adult interpersonal functioning: effects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age 3 tempera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33(2), 206-243.

87.

Odom, S. L., Brantlinger, E., Gersten, R. L., Horner, R. H., Thompson, B., & Harris, K. R. (2005). Research in special education:Scientific methods and evidence-based practices. Exceptional Children, 71, 137-148.

88.

Olweus, D. (1980). Familial and temperamental determinants of aggressive behavior in adolescent boys: A causal analysis. Developmental Psychology, 16(6), 644.

89.

Paternoster, R., & Brame, R. (2000). On the association among self control, crime, and analogous behavior. Criminology, 38(3), 971-982.

90.

Remster, B. (2014). Self-control and the depressiondelinquency link. Deviant Behavior, 35(1), 66-84.

91.

Rothstein, H. R., Sutton, A. J., & Borenstein, M. (2005).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Prevention, assesment and adjustments. West Sussex: Wiley.

92.

Sterne, J. A., & Egger, M. (2001). Funnel plots for detecting bias in meta-analysis: guidelines on choice of axis.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54, 1046-1055.

93.

Tangney, J. P. (1991). Moral affect: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4), 598-612.

94.

Terrien, W. J., Zaman, M., & Banda, D. R. (2011). How can meta-analyses guide practice? A review of the learning disability research base. 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32(3), 206-281.

95.

Weis, M., Heikamp, T., & Trommsdorff, G. (2013). Gender differences in school achievement: The role of self-regulation. Frontiers in Psychology, 4, 28-45.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