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또래애착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를 살펴보고, 자존감과 자존감 안정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서울과 경기 지역 중학생에게 청소년 또래애착, SNS 중독경향성, 자존감, 자존감 안정성에 대한 질문지를 배부하여 총492명의 사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주요 변인들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또래애착의 세 하위요인과 SNS 중독경향성간의 관계에서 자존감과 자존감 안정성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또래애착과 자존감, 자존감 안정성이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애착 차원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안정애착은 SNS 중독경향성으로 가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자존감과 자존감 안정성이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은 SNS 중독경향성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론 자존감과 자존감 안정성이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안정애착, 불안애착, 회피애착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존감과 자존감 안정성이 이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adolescents' peer attachment and SNS addiction and investigated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self-esteem stability. For this purpose, 492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and Seoul completed the related survey. The correlation analysis of the major variables and the verific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howed the path which self-esteem and self-esteem stability influenced SNS addiction tendency differ by the type of attachment. Secondly, stable attachment did not directly affect SNS addiction tendency yet showed full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self-esteem stability. Thirdly, self-esteem and self-esteem stability showed doubl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of stable attachment, anxious attachment, and, avoidant attachment and SNS addiction tendencie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강지혜 (2013). 남녀 중학생의 대인불안과 자기제시동기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강진아 (2009). 학대경험 청소년의 비행 요인에관한 탐구.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고현석, 민경환, 김민희 (2012). 자존감, 자존감안정성, 자기개념 명료성과 심리적 적응과의 관계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3), 825-846.
김미진 (2014). 청소년의 부모애착, 분리-개별화, 자아탄력성, 또래애착의 관계. 광운대학교석사학위논문.
김정남 (2010). 또래동조성이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 보호요인의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대구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진아 (2011). 청소년의 가족 및 또래 환경과우울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 교육학회지, 23(2), 149-159.
김태련, 조혜자, 이선자, 방희정, 조숙자, 조성원, 김현정, 홍주연, 이계원, 설인자, 손원숙, 홍순정, 박영신, 손영숙, 김명소, 성은현 (2004). 발달심리학. 서울: 학지사.
노향희 (2007). 애착, 정서표현갈등, 그리고 대인불안 사이의 관계: 또래애착의 조절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미향, 김완일 (2014). 청소년의 공격성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존감안정성의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10), 475-501.
박승민, 강민철, 김은하 (2015). 시간에 따른자아존중감 변화에 대한 중고등학생 비교; 잠재 상태․특성 모형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7(1), 63-84
박웅기 (2013). 청소년의 SNS 중독에 관한 탐색적 연구. 언론과학연구, 13(4), 305-342.
서거 (2013). 페이스북 이용중독이 대학생의 사회성 및 자아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송미옥, 이승희 (2011). 부모애착과 또래관계스트레스가 여중생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발달장애연구, 15(20), 1-20.
안정민 (2011). SNS 이용자의 이용형태와 성격이 정서적 유대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오윤경 (2012). SNS중독경향성과 외로움, 우울, 대인관계, 사회적지지의 관계.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우성범, 김성연, 임승우, 백인규, 낙덕현, 양은주 (2012). 남녀청소년의 자존감, 친구애착, 비행간의 관계에 대한 다변량 잠재성장모형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4), 1093-1113.
우형진, 이정기 (2012). 대학생들의 인구통계적속성, 미디어 이용량, 자존감 수준과 안정성이 인터넷 포르노 몰입 및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언론학 연구 16(3), 55-84.
유현숙 (2013). 사회불안 및 페이스북 이용동기가SNS 중독과 페이스북 이용에 따른 심리적문제에 미치는 영향. 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상호 (2013). 소셜미디어 사용자의 중독에관한 정책적 함의 연구: 한국형 SNS중독지수(KSAI)제안을 중심으로. 디지털정책연구, 11(1), 255-265.
이선자 (2013). 또래와의 의사소통과 사회적 불안이 스마트폰의 SNS 중독 정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훈진, 원호택 (1995). 편집증적 경향, 자기개념, 자의식간의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95연차대회 학술발표논문집, 277-290.
장재원, 신희천 (2011). 자존감의 안정성 척도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심리치료, 23(3), 635-654.
전효정 (2006). 대학생의 인터넷 중독에 따른애착유형과 심리적 특성. 청소년학연구, 13(3), 137-159.
정미선 (2010).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또래관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영향. 청소년문화포럼, 25, 140-170.
조다현 (2013). SNS중독경향성과 친구지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조민규, 김춘경, 송현정 (2014). 중학생이 지각한 학대경험과 또래애착, 자아존중감, 우울, 공격성 간의 구조적 관계와 성별에따른 잠재평균분석. 청소년복지연구, 16(2), 29-54.
조성현, 서경현 (2013). SNS중독경향성 관련 요인 탐색: 내현적 자기애, 자기제시 동기및 소외감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1), 239-250.
조화진, 서영석 (2010). 부모애착, 분리-개별화, 성인애착, 대학생활적응,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대학신입생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2), 385-411.
최세경, 곽규태, 이봉규 (2012). 커뮤니케이션성향과 모바일 SNS 애착이 SNS 상호작용과 이용 후 대인관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보, 24(2), 159-200.
최영희, 김민선, 서영석 (2012). 한국판 청소년또래애착 척도 타당화 연구: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2), 273-296.
최은진, 염우성, 이선우, 김 솔, 이청하, 김주환 (2012). 트위터와 페이스북 이용행태연구: 자기결정성, 긍정적 정서, 스마트폰미디어 효능감을 중심으로. 한국 HCI 학회학술대회 자료집. 911-916
한국정보화진흥원 (2013).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임상, 19(1), 161-177
황창순 (2006). 초기 청소년기의 부모 및 또래애착과 애착의 변화. 한국청소년연구, 17(1), 201-225.
황희은 (2014). 자존감, 사회불안 및 대인관계 지향성이 중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영향.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Ainsworth, M. D. S. (1989). Attachment beyond infancy. American Psychologist, 44(4), 709-716.
Armsden, G. C., & Greenberg, M. T. (1987).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6(5), 427-453.
Baumeister, R. F., Smart, L., & Boden, J. K. (1996). Relation of threatened egotism to violence and aggression: The dark side of high self-esteem. Psychological Review, 103(1), 5-33.
Bentall R. P., Myin-Germeys I., & Angela Smith. (2011). Hypomanic personality, stability of self-esteem and response styles to negative mood.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6(5), 427-453.
Bolger, K. E., Paccerson, C. J., & Kupersmidt, J. B. (1998). Peer Relationships and self Esteem among Children who Have Been Malcreaced. Child Development. 69(4), 1171-1197.
Brennan, K. A., & Bosson, J. K. (1998). Attachment style differences in attitudes toward and reactions to feedback from romantic partners: An exploration of the relational bases of self-esteem.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4, 699-714.
Collins, W, A., & Repinski, D, J. (1994). Relationships during adolescence: Continuity and change in interpersonal perspective. In R. Montemeyer, G. R. Adams, and T. P. Gullotta(Eds.), Personal relationships during adolescence(7-36). Thousand Oaks, CA: Sage.
Greenberg, M. T., Siegel, J. M., & Leitch, C. J. (1983). The nature and importance of attachment relationship to parents and peers during adolescence. Journal of Adolescence, 12(5), 373-386.
Griffin, D. W., & Bartholomew, K. (1994). Models of the self and other: Fundamental dimensions underlying measures of adult attach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7, 430-445.
Hazan, C., & Zeifman, D. (1994). Sex and the psychological tether. In K. Bartholomew, & D. Perlman (Eds.), Attachment processors in adulthood:Advances in personal relationships. London, UK: Jessica Kingsley.
Kernis, M. H., Grannemann, B. D., & Barcly, L. C. (1989). Stability of self-esteem: Assessment, correlates, and excuse making. Journal of Personality, 60(3), 621-644.
Kernis, M. H., & Goldman, B, M. (2005). Stability and variability in self-concept and self-esteem in psychological funcioning. Journal of Personality, 73(6), 1569-1605.
Kline, Rex. B. (2014). 구조방정식모형 원리와 적용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이현숙, 김수진, 전수현 역), 서울; 학지사.(원전은 2005년에 출판).
Koc, M, & Gulyagci, S. (2013). Facebook Addiction Among Turkish College Students:The Role of Psychological Health, Demographic, and Usage Characteristics.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6(4), 279-284.
Kuss, D. J., & Griffiths, M. D. (2011). Online Social Networking and Addiction: A Review of the Psychological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8, 3528-3552.
Lee. D. Y. (2013). The role of attachment style in building social from a social networking site:The interplay of anxiety and avoidance. Computer in Human Behavior, 29(4), 1499-1509.
Livingstone, S. (2008). Taking risky opportunities in youthful content: Teenager's use of social networking sites for intimacy, privacy and self-expression. New Media & Sociey, 10(3), 393-411.
MacKinnon, D. P., Krull, J. L., & Lockwood, C, M. (2000). Equivalence of the Mediation, Confounding and Suppression Effect. Prevention Science. 1(4), 173-181.
McCormick, C. B., & Kennedy, J. H., (1994). Parent-Child Attachment, working Models and Self-Esteem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3(1), 1-18.
Moreno, M. A., Jelenchick, L, A., Egan, K, G., Cox, E., Young, H., Gannon, K, E., & Becker, T. (2011). Feeling bad on Facebook:Depression disclosures by college students on a social networking site. Depression and anxiety, 28(6), 447-455.
Nadkarni, A,., & Hofmann, S. G.(2012). Why do people use Facebook?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52(3), 243-249.
Nitzburg, G., & Barry A. Farber. (2013). Putting up emotional(Facebook)walls? attachment status and emerging adult's experiences of social networking site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69(11), 1183-1190.
Noser, A., & Zeigler-Hill, V. (2014). Self-esteem Instability and the Desire for Fame. Self and Identity, 13(6), 701-713.
Oldmeadow, J. A, Sally Quinn, & Rachel Kowert. (2013). Attachment style, social skills, and Facebook use amongst adult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9(3), 1142-1149.
Ozad, B. E, Uygarer, G (2014). Attachment needs and social networking sites.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42, 43-52.
Pelling, E. L,., & White, K. M. (2009).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pplied to young people's use of social networking web sites.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2(6), 755-759.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Rosenberg, M. (1985). Self concept and psychologicl sell-being in adolescence. In R. L. Leady(ED.). The development of the self (pp.205-240). Orlando, FL:Academic Press.
Russell, D. W., Kahn, J. H., Spoth, R. S., & Altmaier, E. M. (1998).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 18-29.
Spraggins, A. (2009). Problematic use of online social networking sites for college students: Prevalence, predictors, and association with well-being Ph.D. University of Florida.
Steinfield, Ellison, & Lampe (2008). Social capital, self-esteem, and use of online social network sites: A longitudinal analysis.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9(6), 434-445.
Sullivan, H. S. (1953). The interpersonal theory of psychiatry. New York: W·W·Norton &Company.
Tazghini, S., & Siedlecki, K. L. (2013). A mixed method approach to examining Facebook use and its relationship to self-esteem.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9(3), 827-832.
Wan, C. (2009). Gratifications & Loneliness as Predictors of Campus-SNS Websites Addiction &Usage Pattern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MS Thesis.
Watson, B. R. (2007). Speaking up in the 21st century: The defects of communication apprehension and internet self-efficacy on use of social networking websites. M. A. University of Missouri, Columbia, USA.
Wilbum, Smith (2005). Stress, self-esteem and suicidal ideation in late adolescent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Wilkinson, R. B. (2008). Development and propeties of the adolescent friendship attachment scal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7, 1270-1279.
Wilkinson, R. B. (2008). The role of parental and peer attachment in the psychological health and self-esteem of adolescent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3, 479-4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