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사이코드라마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우울성향 청소년의 우울, 자존감, 스트레스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중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The Effects of Psychodrama Group Counselling on Depression, Self-esteem, Str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mong Middle School Adolescents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우울감소를 위하여 사이코드라마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중학생 우울성향 청소년으로, 실험집단 36명 통제집단 30명, 총 66명이었다. 사이코드라마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1회 2시간, 총 10회로 구성되었고 우울 청소년의 특성을 고려하여 스트레스 해소, 자발성회복, 자존감 증진에 초점을 두었다. 측정치로는 BDI, 자존감, 스트레스 지각, 대인관계검사를 사용하였으며, 프로그램 시작, 종료 및 종료 후 2개월 시점에서 사전, 사후, 추수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코드라마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사후, 추수검사 시점에서 통제집단에 비해 우울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실험집단은 사후, 추수검사에서 통제집단에 비해 자존감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셋째, 실험집단은 사후, 추수검사에서 통제집단에 비해 지각된 스트레스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넷째, 실험집단은 추수검사에서 대인관계의 과순응성, 그리고 사후 및 추수검사 시점에서 통제-지배, 자기중심성, 냉담, 사회적 억제, 비주장성, 자기희생, 과관여와 같은 대인관계 문제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depression of adolescents, psychodrama, results of group counselling program, 청소년 우울, 사이코드라마, 집단상담의 성과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reate, implement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 psychodrama group counselling program designed to decrease depression in adolesc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post-test and follow-up test showed that the depression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psychodrama group counselling was meaningfully decreased. Second,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post-test and follow-up test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self-esteem in the experimental group. Third, when the post-test and follow-up test of the control group were compar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both perceived str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s results are discussed.

keywords
depression of adolescents, psychodrama, results of group counselling program, 청소년 우울, 사이코드라마, 집단상담의 성과

참고문헌

1.

강희숙 (2006). 사이코드라마가 가정폭력피해여성들의 우울과 치료효과 요인에 미치는영향.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9(2), 89-111.

2.

고영애 (2002). 심리극 집단상담이 간호학생의신체․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경희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고원자 (2006). 가정폭력 피해여성을 위한 사이코드라마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계현 (2000). 21세기 우리나라 청소년상담의정책성과 발전과제. 제7회 청소년상담학세미나: 21세기 우리나라 청소년 상담정책의과제와 전망. 9-18, 6월 20일,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강당

5.

김문주 (1990). 시험불안도와 그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심리적 요인에 관한 연구: 시험불안 측정을 위한 도구개발과정을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4(1), 91-111.

6.

김신미 (2009). 청소년상담 구조화가 상담자 및상담회기평가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선하 (2006). 청소년 우울감소를 위한 대인관계집단치료와 인지행동 집단치료의 효과비교.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선하, 김춘경 (2009). 대인관계집단치료(IPTG)프로그램이 청소년 우울감소 및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25(4), 183-204.

9.

김성숙 (2004). 사이코드라마 활용 집단상담이비행여고생의 사회적 유능감, 학교적응 및자존감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10.

김수동, 이우경 (2004). 사이코드라마의 이론과적용. 서울: 학지사.

11.

김영환, 진유경, 조영래, 권정혜, 홍상황 박은영 (2002). 대인관계문제검사매뉴얼. 서울:학지심리검사연구소.

12.

김유광 (1983). Psychodrama(J. L. Moreno 기법을중심으로). 정신의학, 8(3), 70-85.

13.

민은정 (2000). 아버지의 문제성 음주가 청소년자녀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민윤기 (2004). 사회과학 연구법과 결과해석. 서울: 시그마프레스.

15.

박상미 (1991). 심리극을 통한 집단상담에서 공격성과 자아개념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박희석 (2002). 대학생 우울집단에 대한 인지-행동치료와 사이코드라마 치료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박희석, 임수진 (2002). 사이코드라마가 대학생우울집단의 우울, 사회적지지, 자존감 및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5(1), 93-115.

18.

변창진 (1994). 프로그램개발. 대구: 홍익출판사

19.

배주미 (2000). 아동 및 청소년의 우울 증상과인지변인의 지속성과 상호예측: 10개월 추적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서경아 (2005). 사이코드라마가 자아존중감과감정표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8(1), 19-31.

21.

성금영 (1984). 정신과 입원환자군과 대학생군에적용된 심리극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심정선 (2002). 사이코드라마가 대인관계 개선에미치는 효과와 그 치료 요인. 고려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심희옥 (1998). 아동 후기 초등학교 학생의 내적 외적 문제행동인 우울성향과 반사회적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아동학회지, 18(1), 39-52.

24.

양명희 (2002). 사이코드라마가 대학생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양미진 (2005). 질적 분석을 통한 비자발적 청소년 내담자의 상담지속요인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여성가족부 (2012). 청소년백서. 서울: 여성가족부.

27.

오경자, 강지현, 하은혜, 송동호 (2004). 청소년기 우울지속집단과 우울호전집단간 차이비교 연구-1년간의 추적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연차 학술발표논문집, 379-380.

28.

울산청소년상담실 (2001). 학교상담 워크샾 교재. 울산광역시: 동구 청소년상담실.

29.

이규미 (1998). 청소년상담의 이론정립과 연구과제. 간호학탐구, 6(2), 54-66.

30.

이선화 (1992). 자아강화를 위한 심리극 프로그램이 비행청소년의 자아강도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이영호, 송종용 (1991). BDI, SDS, MMPI-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0(1), 98-113.

32.

이은순 (1989). 상담자 교육 프로그램과 실시효과에 관한 연구. 학생생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학생생활지도연구소, 25, 128-153.

33.

이은순, 강순화 (1985). 대학집단상담으로서 심리극 실시에 관한 일 연구. 학생생활연구, 21, 58-77. 이화여자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34.

임계원, 이근후 (1981). 심리극의 치료효과에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20(3) 288-299.

35.

장진이 (2000). 자기 은폐와 정서표현 성향, 지각된 사회적 지지 그리고 도움 추구 태도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전은희 (2003). 미혼모의 심리적 특성과 사이코드라마 전략.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6(1), 63-84.

37.

전은희 (2004). 사이코드라마가미혼모의 우울, 충동성, 자존감 및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효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8.

정연경 (2009). 생활스트레스와 대인관계문제가청소년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조성희 (1999). 약물청소년 싸이코드라마에서의 주인공, 보조자, 관객별 치료효과 분석.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2(1), 23-39.

40.

최진이 (2009). 심리극 프로그램이 비행청소년의우울, 공감, 희망에 미치는 효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최정아 (2011). 청소년의 스트레스 평가, 대체, 가족의사소통, 우울의관계: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지, 33, 197-222.

42.

최해림 (1986). 한국 대학생의 스트레스 현황과인지․행동적 상담의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3.

한국청소년개발원 (2005). 청소년 프로그램개발및 평가론. 경기도: 교육과학사

44.

Alden, L. E., Wiggins, J. S., & Pincns, A. (1990). Construction of the IIP Circumplex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5, 34-45.

45.

Anthony, E. J. (1970). The impact of mental and physical illness on family life. American Journal of Medical Psychiatry, 127, 138-146.

46.

Beck, A. T. (1967).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New York: Harper &Row.

47.

Beck, A, T. (1983). Cognitive therapy of depression: New perspectives. In P. J. Clayton & J. E. Barrett(Eds). Treament of depression: Old controversies and new approaches (pp. 65-290). New York: Raven.

48.

Blatt, S. J. (1974). Levels of object representation in analectic and introjective depression. The Psychoanalytic Study of the child, 24, 107-157.

49.

Blatt, S. J. (1978).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depression. Psychological Reports: 42, 745-746.

50.

Blatt, S. J. (1995). The destructiveness of perfectionism: Implications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American Psychologist, 50, 1003-1020.

51.

Blatt, S. J., & Zuroff, D. C. (1992). Interpersonal relatedness and self-definition: Two prototypes for depression. Clinical Psychology Review, 12, 527-562.

52.

Belil, E. (2011). The effects of psychodrama on depression among women with chronic mental disorder. 25, 621. Ardabil, Ian; University of Medical Sciences European Psychiatry.

53.

Bowlby, J. (1980). Attachment and loss: Vol. Ⅲ. Loss, sadness, and depression. New York: Basic Books.

54.

Cantwell, D., & Baker, L. (1991). Manifestations of Depressive Affect in Adolescence.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37, 445-449.

55.

Capenter, P., & Sandberg, S. (1985). Further Psychodrama with Delinquent Adolescents. Adolescence, 20, 599-604.

56.

Corder, B. F., Whileside, R., & Haizlip, D. T. (1981). A study of curative factors in group psychotherapy with adolesc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Group Psychotherapy, 31, 345-354.

57.

Farmer, C. (1998). The psychodramatic treatment of depression. In H. Holmes(Ed), The handbook of psychodrama (pp. 231-244). New York:Routledge.

58.

Frey, D., & Carlock, C. J. (1989). Enhancing Self Esteem. Indiana: Muncie.

59.

Garber, J., Little, S., Hilsman, R., & Weaver, K. R. (1998). Family predictors of suicidal symptoms in young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ts, 21, 445-457.

60.

Ge, X., Conger, R. D., & Elder Jr, G. H. (2001). The relation between puberty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adolescent boys. 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11, 49-70.

61.

Goodyer., I. M. (2001). Life events: Their nature and effects, In I. M. Goodyer(Ed). The Depressed Child and Adolescent(2nd ed. pp. 204-232).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62.

Hankin, B. L. (2006). Adolescent depression:Description, causes, and interventions. Epilepsy & Behavior, 8, 102-114.

63.

Hankin, B. L., & Abela, J. R. (2005). Depression from childhood through adolescence and adulthood: A developmental vulnerability-stress perspective. In Hankin B. L., & Abela J. R.(Eds),. Development of psychopathology: A vulnerability-stress perspective (pp. 245-288). CA:Sage Publications, Inc.

64.

Horowitz, L. M., Rosenberg, S. E., Baer, B. A., Ureno, G., & Villasenor, V S. (1988).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Psychometric properties and clinical application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6, 885-892.

65.

Joan, F. R., & Ronald L. S. (1989). Family factors, self-esteem, and adolescent depression. Journal of Marrige and the Family, 51, 125-138.

66.

Joiner, Katz, & Lew. (1997) Self-verification and depression among youth psychiatric inpatient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6, 608-618.

67.

Kernis, M. H., Grannermann, B. D., & Mathis, L. C. (1991). Stability of Self-Esteem as a Moderator of the Relation Between level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Journal of Personality Social Psychology 61, 80-84.

68.

Kovacs, M. (1989). Affective disord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merican Psychologist, 44, 209-215.

69.

Karp, M., Holmes, P., & Tauvon, K. B. (2009). The Handbook of Psychodrama. 김광운․박희석 외 공역(2009). 서울: 학지사.

70.

McGrath, E. P., & Repetti, R. L. (2002). A longitudinal study of children's depressive symptoms, self-perceptions, and cognitive distortions about the self.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11, 77.

71.

Moreno, J. L. (1953). Who shall survive? A new approach to the problem of human interrelations. Washington: Nervous and Mental Disease Publishing Co.

72.

Moreno, J. L. (1977). Psychodrama(Vol I, 4th ed.). New York: Beacon House.

73.

Raubolt, R. (1984). Brief problem focused group psychotherapy with adolescent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5, 157-165.

74.

Rezaeian, M. P., Mazumdar, D. P., & Sen, A. K. (1997). The effectiveness of psychodrama in changing the attitudes among depressed patien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Clinical Studies, 13, 12-23.

75.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 image.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76.

Santrock, J. W. (1996). Adolescence(6th ed). I. A.:Brown & Benchmark.

77.

Sidersky. S. C. (1984). “The psychodramatic treatment of the borderline personality.” Journal of Group Psychotheray, Psychodrama and Sociometry, 37, 117-125.

78.

Tian Dayton. (2005). 사이코드라마와 집단치료매뉴열 (김세준 역). 경북: 비블리오드라마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