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 및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자녀의 문제행동과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정서조절 정도의 조절효과 검증에 있다. 결혼만족 정도를 예측변인으로 어머니의 정서조절 능력의 조절 변인으로 채택하여 결혼만족도와 정서조절능력과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고 자녀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아동 및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 중 연구에 동의한 171명을 대상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정서조절은 자녀의 문제행동의 50%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나 어머니와 결혼만족도와 정서조절이 자녀의 문제행동을 설명하는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했다. 또한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정서조절은 상호작용 효과를 나타냈다. 상호작용효과를 세부적으로 확인한 결과 정서조절 수준이 높은 경우 결혼만족도의 수준에 따라 자녀의 문제행동 수준에 영향을 받았다. 하지만 어머니의 정서조절 수준이 낮은 경우 자녀의 문제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상담현장에서 활용 할 수 있는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mothers’ emotion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adjust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This study explores whether the degree of mothers’ emotion regulation affects the adjustment of their children. The interaction between both the mothers’ emotion regul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is also examined. Data was collected from 171 married mothers with children and each case was analyz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emotion regulation account for 50% of their children’s level of adaptation. Regarding the moderating effect of mothers’ emotion regulation, when the mothers’ level of emotion regulation is high, their marital satisfaction affects the adjustment of the children.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on youth and family counseling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고성혜 (1995). 청소년 비행의 개념규정에 관한연구. 서울: 한국청소년개발원.
국성민 (2008). 부모의 양육태도 및 결혼만족도가 자녀의 성격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권정혜, 채규만 (1998). 한국판 결혼만족도 검사의 표준화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8(1), 123-139.
김명선, 하은혜, 오경자 (2014). 심리장애 진단 아동의 K_CBCL 아동 청소년 행동평가척도 군집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3(4), 675-696.
김선희, 김경연 (1998). 아동 및 청소년의 행동문제 척도 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4), 155-166.
김영희 (1995). 부모의 행복도 수준과 자녀의 인격장애와의 관계.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유미 (2008). 어머니의 분노경향성과 아동학대유발 가능성.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준호, 김순형 (1992). 가정환경과 청소년비행.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김준홍, 이영호 (2011). 지각된 부모의 정서표현성에 따른 정서표현 양가성과 대인관계문제의 차이: 성인자녀의 성차를 고려하여. 놀이치료연구, 15(3), 15-33.
김지현 (2006). 아동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개인 내적 외적, 외적 요인에 대한 구조 방정식 모형 검증.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김진호 (2010). 청소년문제행동과 보호환경의관계에 대한 문제행동통제의 매개효과. 미래청소년학회지. 7(4), 151-173.
박은정 (2011). 부모공감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영석 (2010).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조절효과 검증: 개념적 구분 및 자료 분석 시 고려사항.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심리치료, 22(4), 1147-1168.
소수연, 김경민, 양대희, 안지영, 김승윤, 유준호, 지수연, 이현숙 (2013). 초기 청소년기자녀를 둔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서울: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송현정 (1998). 부부관계 및 부모-자녀관계가 장애아 형제관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안소연 (2009).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어머니의정서표현 및 수용태도가 아동의 또래관계에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양돈규 (1997). 부모갈등과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우울과 비행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오경자, 이혜련, 홍강의, 하은혜 (1997). K-CBCL 아동 청소년 행동평가 척도. 서울: 중앙 적성출판사.
유성경, 홍세희, 최보윤 (2004). 가정의 위험요소와 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 애착, 실존적 영성의 매개효과 검증. 교육심리연구, 18(1), 393-408.
이경님 (2006). 아동의 개인, 가족변인 및 학교적응과 공격성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15(1), 31-44.
이경화 (2005). 중학생 자녀가 지각한 아버지의양육태도가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자녀의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경희, 김영희, 신성일 (2012). 어머니의 성격특성과 결혼만족도가 유아의 자기조절력및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7(1), 125-152.
이진숙, 정혜정 (2004).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부모의 부부관계 및 부모에 대한 애착과학교적응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3), 47-61.
임희수, 박성연 (2002). 어머니가 지각한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정서조절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조절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3(1), 37-54.
장은혜, 이동귀 (2014).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연구, 25(3), 5-38.
장진아, 신희천 (2006). 부부갈등이 청소년 자녀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 부모양육태도, 사회적 지지의 매개과정, 한국심리학회지, 18(3), 569-592.
정순중, 김유숙 (2006). 학부모 정서관리훈련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4), 817-838.
정순례, 양미진, 손재환 (2015). 청소년 상담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정옥례 (1996). 중년기 여성의 자아존중감과 부부관계 및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윤경, 박보은 (2010). 정서 표현성과 정서표현양가성의 발달적 관련 변인: 회고된 어머니의 정서표현 양식. 한국심리학회지:발달, 23(44), 111-125.
정유진 (2000). 청소년 학교생활 적응의 관련 변인.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조미정, 김민주 (2014). 청소년 내재화/외현화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성별차이 분석: 부모의 부부갈등과 부모애착을 중심으로. 비판사회정책, 45, 267-303.
조용래 (2007). 정서조절곤란의 평가: 한국판척도의 심리 측정적 속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4), 1015-1038.
조준오, 나 정, 홍광표 (2015). 유아 어머니의삶의 만족도와 자녀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불안과 우울의 복수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0), 75-98.
진명자 (2005). 부부성장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통계청 (2014). 2014년 인구동태통계연보. 14page.
표현영 (2004). 국제결혼가정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하경은 (2014).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갈등이청소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 검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하유미, 박성연 (2012). 어머니의 성인애착, 부정 정서 및 정서조절양식이 양육행동에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19(2), 175-195.
한국일보 (2015, 6, 11) 남편은 일․아내는 자식에 매달려…부부 중심의 문화를 가져라. 9면.
한국청소년개발원편 (2006). 청소년문제론. 서울: 교육과학사.
한현하, 도현심 (2008). 가정의 위험요인, 자아탄력성 및 또래관계의 질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9(1), 87-101.
Aiken, L. S., & West, S. G. (1991).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Newbury Park, CA: Sage.
Belsky, J. (1984). The child in the family. NY:Random house.
Belsky, J., & Yongblade, L. M. (1991). From family to friend: predicting positive dyadic interaction with a close friend at 5years of age from early parent-child relations. Human Development, 7, 35-62.
Bronfenbrenner (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MA: Harvard University Press.
Buck, R. (1984). The communication of emotion, New York: Guiford Press.
Cohen, J., Cohen, P., West, S. G., & Aiken, L. S. (2003). Applied multiple regression/correlation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3rd ed.). Mahwah, NJ: Erlbaum.
Davies, P. T., & Cummings, E. M. (1994). Marital conflict and child adjustment; An emotional security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s, 116(3), 387-411.
Denham, S. A. (1989). Maternal Affect and Toddlers’Social-Emotional Competence.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59(3), 368-376.
Denham, S. A., Zoller, D., & Couchoud, E. A. (1994). Socialization of preschooler’s emotion understanding. Developmental Psychology, 30(6), 928-936.
Dusmore, J. C., & Halberstadt, A. (1997). How does family emotional expressiveness affect children’s schemas? New Directions for Child Development, 77, 45-68.
Eisenberg, N., & Fabes, R. A. (1994).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Relations to children’s temperament and anger behavior. Merrill-palmer Quarterly, 40, 138-156.
Eisenberg N., Fabes, R. A., Guthrie, I. K., & Reiser, M. (2000). Dispositional emotionality and regulation: Their role in predicting quality of social function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8, 136-157.
Eisenberg, N., Gershoff, E. T., Fabes, R. A., Shepard, S. A., Cumberland, A. J., Losoya, S. H., ..., & Murphy, B. C. (2001). Mothers emotional expressivity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social competence: Mediation through children’s regula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37, 475-490.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 Lang, A. -G.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4). 1149-1160.
Gratz, K. L., & Roemer, L. (2004). Multidinebsional Assessment of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Development, factor structure, and initial validation Scale.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havioral Assessment, 26, 41-54.
Halberstadt, A. G., Crisp, V. W., & Eaton, K. L. (1999). Family expressiveness: A retrospective and new directions for research. In P. Philippot, R. S. Feldmans, E. Coats(Eds), The social context of nonverval behavior(pp.109-155).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Kurdek, L, A., & Sinclair, R, J. (1988). Relation of eight graders’ family structure, gender, and family environment with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0(1), 90-94.
Osborne, L. N, & Fincham, F. D. (1996). Marital Conflict,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Child Adjustment: Does Gender Matter? Merrill-Palmer Quarterly, 42(1), 48-75.
Parke, R. D., McDowell, D. J., Cladis, M., & Leidy, M. S. (2006). Family and peer relationships: The role of emotion regulatory processes. In D. K. Snyder, J. A. Simpson &N. J. Hughes (Eds.), Emotion regulation in couples and families: Pathways to dysfunction and health(pp. 143-162). Washington, D.C.: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Shonk, M., & Cicchetti, D. (2001). Maltreatment competency deficits, and risk for academic and behavioral maladjust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37, 3-17.
Siegel, L. J., & Senna, J. J. (1994). Juvenile delinquency. New York: West Publishing Company.
Snyder, D. K. (1979).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maretal satisfactio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1, 813-823.
Thompson, R., & Meyer, S. (2007). Socialization of emotion regulation in the family. In J, Gross(Ed), Handbook of emotion regulation(pp. 249-268). New York: Guilford. Press.
Webster-Stratton, C. (1989). Conflict, and The Relationship of Marital Support Divorce to Parent Perception, Behaviors, and Childhood Conduct Problem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1.
Zeman, J., Cassano, M., Perry-Parrish, C., & Stegall, S. (2006). Emotion regula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ournal of Developmental and Behavioral Pediatrics, 27, 155-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