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맞벌이 남성의 일-가정 양립 경험에 대한 개념도 연구

Concept Mapping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of Men in Dual-Income Families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맞벌이 남성이 일-가정 양립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이들이 지각하는 일-가정 양립 경험에 대한 개념적 구조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만 18세 미만의 자녀를 적어도 한 명 이상 둔 맞벌이 남성 10명을 참여자로 선정하여 일-가정 양립 경험에 대한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서 최종적으로 총 91개의 진술문을 도출하였다. 10명의 참여자들이 91개의 진술문을 분류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차원척도법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역할 영역’와 ‘자원․전략 대 욕구․정서 영역’의 두 차원이 나왔으며, (1) 아내와의 역할 분담 전략, (2) 역할분담에 대해 충분히 인정받지 못함, (3) 가족의 지지와 지원, (4) 직장 및 사회의 인식과 지원, (5) 개인의 욕구와 역할기대 간의 충돌, (6) 좋은 아버지가 되고자 고민함 의 총 6개 군집이 산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남성들의 일-가정 양립 경험을 자신의 삶에 주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상담적, 교육적 개입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keywords
맞벌이 남성, 일-가정 양립, 개념도, men in dual-income families, work-family reconciliation, concept mapping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and identified the conceptual structure of how men in dual-income families understand and experience work-family reconciliation. Using the concept mapping method (Trochim, 1989), a total of 91 ideas were extracted from interviews conducted with a focus group comprised of 10 husbands in dual-income families with children under the age of 18. The concept map was generated after conducting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Results yielded 2 dimensions (1) role domain (2) ․strategy versus needs․emotion domain and 6 clusters including (1) role assignment strategy with wife (2) perceived lack of appreciation for family involvement (3) supports and resources from the family (4) recognition and resources from work and society (5) conflict between personal needs and role expectation, and (6) thoughts of being a better father. Results and implications for therapeutic and educational interventions for work-family reconciliation of men in dual-income families are discussed.

keywords
맞벌이 남성, 일-가정 양립, 개념도, men in dual-income families, work-family reconciliation, concept mapping

참고문헌

1.

김경례 (2011). 일, 생활 균형의 철학과 가치-패러다임의 전환을 위하여. 현대사회과학연구, 15, 1-18.

2.

김경화 (2013). 영유아와 초등학생 자녀를 둔 남녀취업자의 일/가족 갈등 인식. 가족과문화, 25, 60-90.

3.

김진희 (2005). 남성의 아버지 역할 수행과 유능감에 관한 연구: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남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1), 113-123.

4.

김태홍 (2008). 일․가정 양립 정책과 지속 가능한 발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5.

김필숙, 이윤석 (2015). 맞벌이 기혼남녀 관리자들의 일-가족 갈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학회 2015 전기 사회학대회, 21-21.

6.

김혜영 (2008). 남성의 부성 경험과 갈등에 관한연구, 9, 한국여성정책연구원.

7.

나성은 (2014).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내재한젠더위계와 ‘신도구적’ 부성의 구성: 맞벌이 중간 계층 아버지들을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6, 1-39.

8.

노성숙, 한영주, 유성경 (2012). 한국에서 “워킹맘”으로 살아가기. 한국심리학회지: 상담및 심리치료, 24(2), 365-395.

9.

문은영, 서영주 (2011). 서울시 30, 40대 자녀양육 남성근로자의 일과 가족생활 양립현황 및 문제점.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연구사업보고서. 1-14.

10.

민경화, 최윤정 (2007). 상담일반: 상담학 연구에서 개념도 (Concept Mapping) 방법의 적용. 상담학연구, 8(4), 1291-1307.

11.

박광배 (2000). 다차원척도법. 서울: 교육과학사.

12.

변신원 (2010). 일과 가정의 양립 정책 교육 프로그램. 한국양성평등진흥원.

13.

서혜영, 이숙현 (1999). 남성의 일-아버지 역할갈등과 부모 역할 만족도 및 부모로서의유능감. 한국가족관계학회지, 4(2), 257-280.

14.

서혜영, 이숙현 (2002). 아버지의 직업만족도및 가족만족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문화, 14(3), 27-51.

15.

손문금 (2005). 맞벌이 부부의 무급노동분담에 대한 실증적 연구. 페미니즘 연구, (5), 239-287.

16.

송혜림 (2012). 남성의 일-가정 양립 실태와 요구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2), 1-18.

17.

송혜림, 고선강, 박정윤, 권혜진, 김유경, 진미정 (2010). 가족친화환경 측면에서 본 남성의 아버지역할 수행 실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4), 341-361.

18.

송혜림, 유아랑 (2013). 돌봄노동의 사회적 지원 정책을 통해 본 일-가정 양립 실태에대한 연구: 학령전기 자녀를 둔 기혼취업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4), 101-125.

19.

엄명용, 김효순 (2011). 미혼 남녀의 향후 일․가정 양립 방안, 부부 성역할 태도, 저출산 문제에 대한 견해 간 관계 탐색 연구. 한국인구학, 34(3), 179-209.

20.

윤소영 (2010). 삶의 패러다임 변화: 일과 삶의균형과 가족친화정책. 한국양성평등진흥원일과 가정의 양립정책 교육프로그램 자료집.

21.

이미진 (2011). 초등기 이하 자녀를 둔 아버지의가족역할과 일․가정균형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대학원 가정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22.

이숙현, 서혜영 (2002). 기혼 남성의 삶의 질에관한 연구. 가족과 문화, 14(2), 3-30.

23.

이재경 (2005) 공․사 영역의 변화와 ‘가족’을넘어서는 가족 정책. 여성연구, 68, 137-164.

24.

이형실 (2001) 기혼 취업여성과 남성의 가족 및 직업 스트레스와 심리적 복지.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2), 143-152.

25.

장미나, 한경혜 (2011). 어린자녀를 둔 맞벌이부부들의 일상생활경험. 가족과 문화, 23, 1-39.

26.

장미나, 한경혜 (2015). 일․가족․여가활동 시간비율로 살펴본 맞벌이부부의 역할분배유형과 유형별 일상정서경험. 가족과 문화, 27, 98-129.

27.

정영금, 김희형 (2008). 일-생활 균형을 위한 가족지원체계 구축과 정책대안. 국회여성위원회 정책 연구 보고서.

28.

채화영, 이기영 (2013). 육아기 맞벌이 남성의 일․가정 양립 경험.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1(5), 497-511.

29.

통계청 (2014a). 사회조사.

30.

통계청 (2014b). 생활시간조사.

31.

통계청 (2014c). 지역별고용조사.

32.

한경혜 (2009). 기혼남녀근로자의 일ㆍ가족 균형과 관련요인. 가족과 문화, 21(1), 85-115.

33.

한지숙, 유계숙 (2007). 기혼근로자의 성역할태도와 일-가족 지향성이 일-가족 갈등/촉진 및 가족친화제도 이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5), 143-166.

34.

홍승아 (2009). 일, 가족 양립 정책 의 국제 비교 연구: 정책 이용 실태 및 일, 가족 양립현실. 한국 여성 정책 연구원.

35.

홍승아 (2011). 유연근무제와 가족생활의 변화. 한국여성정책연구원.

36.

Allen, T. D., Herst, D. E., Bruck, C. S., & Sutton, M. (2000). Consequences associated with work-to-family conflict: A review and agenda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5(2), 278-308.

37.

Aumann, K., Galinsky, E., & Matos, K. (2011). The new male mystique: The national study of the changing workforce. New York, NY: Families and Work Institute.

38.

Bedi, R. P. (2006). Concept mapping the client's perspective on counseling alliance form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3(1), 26.

39.

Caproni, P. J. (2004). Work/life balance: You can't get there from here. The Journal of Applied Behavioral Science, 40(2), 208-218.

40.

Carlson, D. S., & Frone, M. R. (2003). Relation of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involvement to a new four-factor conceptualization of workfamily interference. Journal of Business and Psychology, 17(4), 515-535.

41.

Clark, S. C. (2000). Work/family border theory: A new theory of work/family balance. Human Relations, 53(6), 747-770.

42.

Demerouti, E., Bakker, A. B., & Bulters, A. J. (2004). The loss spiral of work pressure, work-home interference and exhaustion:Reciprocal relations in a three-wave stud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4(1), 131-149.

43.

Doucet, A. (2006). ‘Estrogen‐filled worlds’:Fathers as primary caregivers and embodiment. The Sociological Review, 54(4), 696-716.

44.

Goodyear, R. K., Tracey, T. J., Claiborn, C. D., Lichtenberg, J. W., & Wampold, B. E. (2005). Ideographic concept mapping in counseling psychology research: Conceptual overview, methodology, and an illustr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2), 236-242.

45.

Greenhaus, J. H., & Beutell, N. J. (1985). Sources of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ol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0(1), 76-88.

46.

Greenhaus, J. H., & Powell, G. N. (2003). When work and family collide: Deciding between competing role demand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90(2), 291-303.

47.

Hall, D. T., & Richter, J. (1988). Balancing work life and home life: What can organizations do to help?. The Academy of Management Executive, 2(3), 213-223.

48.

Johnsen, J. A., Biegel, D. E., & Shafran, R. (2000). Concept mapping in mental health:Uses and adaptations.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23(1), 67-75.

49.

Kane, M., & Trochim, W. M. (2007).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on, 50, Sage.

50.

Kruskal, J. B. (1964). Multidimensional scaling by optimizing goodness of fit to a nonmetric hypothesis. Psychometrika, 29(1), 1-27.

51.

Kirchmeyer, C. (1992). Nonwork participation and work attitudes: A test of scarcity vs. expansion models of personal resources. Human Relations, 45(8), 775-795.

52.

Lupton, D., & Barclay, L. (1997). Constructing fatherhood: Discourses and experiences. Sage Publications, Inc.

53.

Marks, S. R. (1977). Multiple roles and role strain:Some notes on human energy, time and commitment.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2(6), 921-936.

54.

Moen, P., Dempster-McClain, D., & Williams Jr, R. M. (1992). Successful aging: A life-course perspective on women's multiple roles and health.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7(6), 1612-1638.

55.

Paulson, B. L., Truscott, D., & Stuart, J. (1999). Clients' perceptions of helpful experiences in counsel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6(3), 317.

56.

Paulson, B. L., & Worth, M. (2002). Counseling for suicide: Client perspectives.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JCD, 80(1), 86.

57.

Richardson, M. S. (2012). Counseling for work and relationship. The Counseling Psychologist, 40(2), 190-242.

58.

Ridgeway, C. L., & Correll, S. J. (2004). Unpacking the gender system a theoretical perspective on gender beliefs and social relations. Gender & Society, 18(4), 510-531.

59.

ten Brummelhuis, L. L., & Bakker, A. B. (2012). A resource perspective on the work-home interface: The work-home resources model. American Psychologist, 67(7), 545-556.

60.

Thoits, P. A. (2003). Personal agency in the accumulation of multiple role-identities. In Advances in identity theory and research (pp. 179-194). Springer Us.

61.

Trochim, W. M. K. (1989). An introduction to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on.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12, 1-16.

62.

van Steenbergen, E. F., Ellemers, N., & Mooijaart, A. (2007). How work and family can facilitate each other: distinct types of workfamily facilitation and outcomes for women and me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2(3), 279-300.

63.

Vouri, J. (2009). Men’s choices and masculine duties: Fathers in expert discussions. Men and Masculinities, 12(1), 45-72.

64.

Voydanoff, P. (2004). The effects of work demands and resources on work‐to‐family conflict and facilitation.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6(2), 398-412.

65.

Zimmerman, T. S., Haddock, S. A., Current, L. R., & Ziemba, S. (2003) Intimate partnership:Foundation to the successful balance of family and work. The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31, 107-124.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