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성인애착, 자기결정적 고독동기, 외로움의 수준에 따른 집단분류와 우울, 스트레스 대처방식, 삶의 만족도의 집단 간 차이

Clustering by the Levels of Adult Attachment, Self-determined Solitude, and Loneliness, and Group Differences in Depression, Stress Coping Strategy, Satisfaction with Life among College Students

초록

본 연구는 성인애착, 자기결정적 고독동기, 외로움의 조합으로 군집을 나누어 이를 통해 1인가구의 증가와 개인화 확산으로 홀로 있는 시간이 늘어가는 현대 대학생들의 적응을 이해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한다. 전국의 대학생 4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자료분석을 위해 군집분석과 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의 군집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군집1은 ‘불안외로움집단’으로 애착불안과 외로움이 높고, 애착회피가 평균이며, 자기결정적 고독동기가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군집2는 ‘회피고독집단’으로 애착회피와 자기결정적 고독동기가 높고 애착불안과 외로움이 평균수준으로 나타났다. 군집3은 ‘비고독집단’으로 애착회피와 애착불안, 외로움이 평균수준이고 자기결정적 고독동기가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군집4는 ‘안정고독집단’으로 애착회피와 애착불안, 외로움이 낮고 자기결정적 고독동기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다변량분석 결과, 불안외로움집단은 집단 중 가장 우울감이 높았으며, 적극적 대처를 가장 적게 사용하였고, 안정고독집단이 적극적 대처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피고독집단과 안정고독집단이 불안외로움집단과 비고독집단에 비해 소극적 대처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는 안정고독집단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생들의 홀로 있는 경험에 대한 이해를 돕고 홀로 있는 시간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데에 활용될 것이다.

keywords
성인애착, 자기결정적 고독동기, 외로움, 우울, 스트레스 대처방식, 삶의 만족도, adult attachment, self-determined solitude, loneliness, depression, stress coping strategy, satisfaction with life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natural groupings of people in terms of dimension of adult attachment, self-determined solitude, and loneliness. This provides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the adaptation of modern university students, whose time alone is increasing due to the spread of individuality.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university students, and cluster analysis and multivariate analysis were conducted for data analysis. Results from the cluster analysis indicated the presence of four distinct clusters. The “avoidance-solitude group” was characterized by being high avoidant attachment and self-determined solitude. The “anxious-loneliness group” was characterized by high anxious attachment and loneliness wiht low self-determined solitude. The “non-solitude group” was characterized by average avoidant attachment, anxious attachment and loneliness, wiht low self-determined solitude. The “secure-solitude group” was characterized by being low avoidant attachment, anxious attachment and loneliness, while high self-determined solitud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keywords
성인애착, 자기결정적 고독동기, 외로움, 우울, 스트레스 대처방식, 삶의 만족도, adult attachment, self-determined solitude, loneliness, depression, stress coping strategy, satisfaction with life

참고문헌

1.

김광은 (2004). 성인 애착 유형과 요인에 따른 성격 특성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1), 53-69.

2.

김교헌, 김지환 (1989). 한국판 UCLA 고독척도. 학생생활연구, 16, 13-30.

3.

김난도, 전미영, 이향은, 이준영, 김서영, 최지혜 (2016). 트렌드 코리아. 2017. 서울: 미래의 창.

4.

김누리 (2015). 부모애착, 자아존중감 및 외로움이 성인진입기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명희 (2014).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검증. 광주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미주 (2012). 남녀 중학생의 애착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애착의 명시적 및 암묵적 수준에서의 차이.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선희, 박희현 (2013). 중학생이 지각한 어머니 양육행동이 자기상에 미치는 영향: 외로움의 매개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6 (4), 365-379.

8.

김성현 (2004). 친밀 관계 경험 검사 개정판 타당화 연구: 확증적 요인분석과 문항 반응 이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아영 (2002). 자기결정성 이론에 따른 학습동기 유형 분류체계의 타당성. 교육심리연구, 16(4), 169-187.

10.

김옥수 (1997). 외로움(Loneliness)의 개념분석. 간호과학, 9(2), 28-38.

11.

김윤영 (2010). 여자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이성 관계 만족도: 거부민감성과 외로움을 매개로.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김은영, 이지은 (2015). 대학생들의 성인애착과 우울의 관계에서 경험적 회피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6(3), 345-358.

13.

김은정, 권정혜 (1998). 우울증상과 관련된 대인관계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7(1), 139-153.

14.

김은하, 정채영 (2016). 여대생의 완벽주의와 성인애착에 따른 집단분류.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1(1), 41-64.

15.

김정희, 이장호 (1985).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구성요인 및 우울과의 관계. 행동과학연구, 7(1), 127-138.

16.

김지연 (2007). 초기부적응도식, 외로움, 우울증상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김지연, 신민섭, 이영호 (2011). 대학생의 외로움 및 우울의 인지적 특성: 초기부적응도식을 중심으로. 청소년문화포럼, 27(1), 40- 60.

18.

동아닷컴 (2017.02.24.). 2017 대한민국 1인가구의 ‘싱글라이프’. 주애진. http://news.donga.com/3/all/20170224/83040347/1

19.

문민경 (2013).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자기침묵의 매개효과.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민성길 (2006). 최신정신의학. 서울: 일조각.

21.

박은희 (2014). 성인애착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 경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박지선 (2014). 자기자비, 대학생활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전략 간 관계. 스트레스연구. 22(3), 131-138.

23.

배성희 (2016). 대학생의 불안정 애착과 외로움의 관계: 거절민감성과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의 매개효과.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배성희, 양난미 (2016). 대학생의 불안정 애착과 외로움과의 관계: 거절민감성과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7(3), 355-375.

25.

서원진, 김미리혜, 김정호, 조인성 (2014). 사회불안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4(1), 231-231.

26.

서원진, 김미리혜, 김정호, Ebesutani, C. 조인성 (2015). 외로움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여대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0(4), 497-512.

27.

성정아, 홍혜영 (2014). 대학생의 이성관계에서 불안정 성인애착이 친밀감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2), 387-414.

28.

신혜진, 김창대 (2002). 스트레스 대처 전략 검사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4). 919-935.

29.

안도연, 이훈진 (2011). 외로움 개입 예비프로그램의 효과: 주관적 외로움 및 인터넷사용행동 개선을 중심으로. 인지행동치료, 11(1), 1-15.

30.

양병화 (2006). 다변량 데이터 분석법의 이해.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31.

이선민 (2014). 대학생의 불안정 애착과 외로움의 관계: 자아존중감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이소영 (2013). 성인애착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거절민감성과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이은주 (2014). 대학생의 불안정 애착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대처 전략의 매개효과.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이은지, 서영석 (2014). 불안정 성인애착(애착불안, 애착회피)과 대인관계문제 및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2), 413-441.

35.

이장호, 김정희 (1988). 지각된 스트레스, 인지세트 및 대처방식의 우울에 대한 작용.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1), 25-45.

36.

이지수 (2017). 대학생의 성인애착불안과 우울의 관계: 자기자비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이현지 (2012). 재가노인이 경험하는 고립과 외로움이 삶의 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2, 157-177.

38.

임아영 (2010). 자기결정적 고독과 성격 및 심리적 건강의 관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9.

임아영, 이준득, 이훈진 (2012). 자기결정적 고독과 성격 및 심리적 건강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1(4), 993-1021.

40.

임춘식, 박미연 (2011). 노년기 성태도, 성욕구 대처행동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 노인복지연구, 52, 131-154.

41.

임혜선, 홍혜영 (2017). 대학생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시설환경, 15(2), 31-42.

42.

장미애 (2015). 대학생의 애착회피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3.

장미애, 양난미 (2015). 대학생의 애착회피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6(2), 273-292.

44.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 (2001).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59-76.

45.

전주연 (2005), 외로움과 인터넷 사용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사회적 기술을 매개변인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6.

전효정 (2005). 애착이 대학생의 심리적, 신체적 건강에 영향을 주는 매커니즘: 과정적 요인으로서 자아존중감, 외로움과 생활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43(9), 85-96.

47.

조명한, 차경호 (1998). 삶의 질에 대한 국가 간 비교. 서울: 집문당

48.

조성경, 최연실 (2014). 남녀 대학생의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스트레스와 대처방식의 영향. 가족과 가족치료, 22(1), 53-74.

49.

조성현, 서경현 (2013). SNS 중독경향성 관련 요인 탐색: 내현적 자기애, 자기제시 동기 및 소외감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1), 239-250.

50.

최현영, 이동혁 (2014). ‘홀로있음’에서 고독과 외로움 간의 차이 탐색. 청소년학연구, 23(12), 77-103.

51.

통계청 (2016). 인구총조사.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MOBILE_04&vw_cd=&list_id=&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K1

52.

한국일보 (2016.01.22.). 오롯이 나를 만나는 시간... 혼밥·혼술의 미학. 박선영http://www. hankookilbo.com/v/fe1ff0d8470544c0b28e6414b336ab90

53.

황지선, 안명희 (2015). 불안정 성인애착이 거절민감성에 미치는 영향: 외로움과 수치심의 매개효과. 인간이해, 26(1), 1-20.

54.

Asher, S., & Paquette, J. (2003). Loneliness and peer relations in childhood.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2(3), 75-78.

55.

Brennan, K., & Shaver. P. (1995). Dimensions of adult attachment, affect regulation and romantic relationship functioning.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1(3), 267-283.

56.

Brennan, K., Clark, C., & Shaver, P. (1998). Self-report measurement of adult attachment: An integrative overview. In J. A. Simson, & W. S. Rholes (Eds.), Attachment theory and close relationships (pp. 46-76). New York: Guilford Press.

57.

Buchholz, E. (1997). The Call of Solitude: Alonetime in a World of Attachment. New York: Simon & Schuster.

58.

Cacioppo, J., & Cacioppo, S. (2014). Social relationships and health: The toxic effects of perceived social isolation.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Compass, 8(2), 58-72.

59.

Cacioppo, J, & Hawkley, L. (2003) Social isolation and health, with an emphasis on underlying mechanisms. Perspectives in Biology and Medicine, 46(3), 539-552.

60.

Cacioppo, J., Hawkley, L., Ernst, J., Burleson, M., Berntson, G., Nouriani, B., & Spiegel, D. (2006). Loneliness within a nomological net: An evolutionary perspective.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0(6), 1054-1085.

61.

Cacioppo, J., & Hawkley, L. (2009). Perceived social isolation and cognition.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13(10), 447-454.

62.

Cacioppo, J., Hughes, M., Waite, L., Hawkley, L., & Thisted, R. (2006). Loneliness as a specific risk factor for depressive symptoms: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analyses. Psychology and Aging, 21(1), 140-151.

63.

Csikszentmihalyi, M. (2004). Flow, 미치도록 행복한 나를 만난다 (최인수 역). 서울: 한울림. (원전은 1990년에 출판)

64.

Dalrymple, T. (2010). The advantages of solitude. British Medical Journal, 341(7780), 999.

65.

Detrixhe, J., Samstag, L., Penn, L., & Wong, P. (2014). A lonely idea: Solitude's separation from psychological research and theory. Contemporary Psychoanalysis, 50(3), 310-331.

66.

Ebesutani, C., Fierstein, M., Viana, A., Trent, L., Young, J., & Sprung, M. (2015). The role of loneli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depression in clinical and school based youth. Psychology in the Schools, 52(3), 223-234.

67.

Erikson, E., & Erikson, J. (1998). The Life Cycle Completed. New York: W.W. Norton.

68.

Galanaki, E., & Vassilopoulou, H. (2007). Teachers and children's loneliness: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y of Education. 22(4), 455-475.

69.

Gibson, H. (2000). Loneliness in later life. NewYork: St.Martin's Press.

70.

Girme, Y., Overall, N., Simpson, J., & Fletcher, G. (2015). All or nothing: Attachment avoidance and the curvilinear effects of partner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08(3), 450-475.

71.

Hair, J., & Black, W. (2000). Cluster analysis. In L. G. Grimm & P. R. Yamold (Eds.). Reading and understanding more multivariate statistics (pp.147-205).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72.

Larson, R. (1990). The Solitary side of life: An examination of the time people spend alone from childhood to old age. Development Review, 10(2), 155-183.

73.

Larson, R., & Lee, M. (1996). The capacity to be alone as a stress buffer.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36(1), 5-16.

74.

Lazarus, R., & Folkman, S. (1991). 스트레스와 평가 그리고 대처 (김정희 역). 서울: 대광문화사. (원전은 1984에 출판).

75.

Long, C., & Averill, J. (2003). Solitude: An exploration of benefits of being alone. Journal for the Theory of Social Behaviour, 33(1), 21-44.

76.

Lopez, F., & Gormley, B. (2002). Stability and change in adult attachment style over the first-year college transition: Relations to self-confidence, coping, and distress pattern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9(3), 355-364.

77.

Mallinckrodt, B., & Wei, M. (2005). Attachment, social competencies,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distres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3), 358-367.

78.

Nicol, C. (2005). Self determined motivation for solitude and relationship: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University of Southern Illinois, Ph.D. diss.

79.

Nicpon, M., Huser, L., Blanks, E., Sollenberger, S., Befort, C., & Kurpius, S. (2007). The relationship of loneliness and social support with college freshmen's academic performance and persistence. Journal of College Student Retention: Research, Theory & Practice, 8(3), 345-358.

80.

Peplau, L., & Perlman, D. (1982). Perspectives on loneliness. In L. A. Peplau, & D. Perlman (Eds.), Loneliness: A source 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 (pp.1-18). New York: Wiely

81.

Quan, L., Zhen, R., Yao, B., & Zhou, X. (2014). The effects of loneliness and coping style on academic adjustment among college freshmen.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42(6), 969-978.

82.

Teyber, E., & Mcclure, F. (2014). 상담 및 심리치료: 대인과정접근 (장미경, 김동민, 김인규, 유정이, 장춘미 역). 서울: 센게이지러닝. (원전은 2011에 출판)

83.

Waskowic, T., & Cramer, K. (1999). Relation between prefernce for solitude scale and social functioning. Psychological Reports, 85(3), 1045- 1050.

84.

Winnicott, D. (1958). The capacity to be alone, In the maturational processes and the facilitating environment.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85.

Young, J. (1982). Loneliness, depression and cognitive therapy: theory application. In L. A. Peplau & Perlman(Eds.), Loneliness: A source 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 (pp. 379-406). New York: Wiley.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