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여자 대학원생 조교의 직무스트레스 경험 분석

A Study on Job Stress of Women Graduate Assistants

초록

본 연구는 여자 대학원생 조교들의 직무스트레스 경험에 대한 질적 내용분석 연구이다. 현재 대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여자 대학원생 조교 12명을 모집하여 개별적으로 심층 면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Krippendorff(2004)가 제시한 내용분석 절차와 방법에 따라 분석했다. 연구결과, 4개 영역, 23개 범주, 123개 의미내용이 도출되었다. 4개의 영역은 ‘여자 대학원생 조교가 지각한 조교 업무환경의 부정적 특성’, ‘학생, 여성이라는 이유로 여자 대학원생 조교들이 경험한 직무 스트레스’, ‘여자 대학생원생 조교들이 경험한 직무스트레스가 삶에 미친 영향’, ‘여자 대학생원생 조교들이 시도한 스트레스 대처 방법’이다. 23개 범주에는 ‘학교 근로자이지만 교수와의 학문적 종속관계’, ‘모욕적인 말에 쉽게 노출되나 참아야 함’, ‘부정적 대인신념 및 대인관계 불안 증가’, ‘감정 억압’ 등의 의미내용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와 제언을 하였다.

keywords
여자 대학원생 조교, 직무스트레스, 감정노동, 내용분석, Graduate Assistant, Job Stress, Emotional Labor, Content Analysi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women graduate assistants. In-depth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from 12 female graduate assistants from 3 colleges.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a content analysis, and the results were classified by 4 domains(‘negative features of work environment for women graduate assistants in college’, ‘job stress associated with the nature of students and women’, ‘impact of assistants’ work experience on their lives’, ‘attempted coping skills against job stress’)and 23 categories with 123 meaning contents emerged under these domains. The 23 categories included ‘school employees yet academically dependent with professors’, ‘easily exposed to insults but have to endure’, ‘increased negative interpersonal beliefs and interpersonal anxiety’, ‘emotional suppression’ and so on.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re presented.

keywords
여자 대학원생 조교, 직무스트레스, 감정노동, 내용분석, Graduate Assistant, Job Stress, Emotional Labor, Content Analysis

참고문헌

1.

강태경 (2018). 대학의 변화와 하나의 직종으로서 대학원생. 진보평론, 1(76), 202-214.

2.

고보경, 정현주, 전재균 (2013). 항공사 승무원의 감정노동과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와의 관계에서 감정소진의 매개효과. 관광레저연구, 25(8), 337-353.

3.

곽묘묘, 오현성, 이강수 (2017).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개발연구, 20(2), 135-159.

4.

교육통계서비스 (2015). 2015 고등교육기관 직위별 교원수.

5.

김경희 (2009). 성별화된 저임금 돌봄노동의 재생산 과정 연구. 아시아여성연구, 48(2), 147-184.

6.

김민선, 양지웅, 연규진 (2016). 이공계 여성 대학원생의 진로선택과 대학원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1), 191-216.

7.

김민섭 (2017). 대학은 정의로운 공간인가? 인물과 사상, 1(230), 128-141.

8.

김민섭 (2018). 대학원생도 노동자다. 인물과 사상, 1(241), 139-153.

9.

김상구 (2009). 공공부문의 감정노동. 지방정부연구, 13(1), 51-70.

10.

김성재, 김후자, 이경자, 이선옥 (2000). 포커스그룹 연구방법. 서울: 현문사.

11.

김세리, 김건 (2010). 외식산업 종사원의 감정노동, 소진, 고객지향성의 관계. 관광연구저널, 24(1). 119-136.

12.

김송이 (2012). 돌봄서비스 노동자들의 노동 경험 연구. 여성연구, 103-136.

13.

김용수 (2012). 스포츠센터 종사자들의 감정노동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및 직무소진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7(1), 127-144.

14.

동아닷컴 영상뉴스 (2015). 제자에 인분 먹이는 등 상상 초월 가혹 행위… ‘인분 교수’ 구속. http://studio.donga.com/3/all/20150715/1397528/1에서 검색

15.

박순용, 김아람 (2017). 공대 대학원생의 대학원 생활 및 진로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역량개발학습연구, 12(2), 109-137.

16.

서강대 대학원총학생회 (2017). 서강대학교 대학원생 권리장전. http://home.sogang.ac.kr/sites/sggradsa/testmenu5/_layouts/List_LAYOUTS/List2010/DispFormaspx?List=02b05b7e-f7b1-4c2f-94d7-f8e56001a5b5&ID=274&page=&lst=-1에서 검색.

17.

세계일보 (2018). 女 앵커 안경 착용, ‘용기 있는 도전’. http://www.segye.com/newsView/20180504005066에서 검색.

18.

손승영 (2005). 고학력 전문직 여성의 노동 경험과 딜레마. 한국여성학, 21(3), 67-97.

19.

손승연 (2014). 여대생 아르바이트 경험의 젠더 특수성과 성차별적 관행. 담론 201, 17(2), 95-121.

20.

손인서, 김승섭 (2015). 한국의 차별경험과 건강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보건사회연구, 35(1), 26-57.

21.

어도선 (2014). 사회적 병리에 대한 근본적인 치유 대책은 있는 것인가? 라깡과 현대정신분석, 16(2), 139-148.

22.

여성동아 (2007). 미 하버드대 첫 여성 총장 드루 길핀 파우스트 교수. http://woman.donga.com/List/3/all/12/137065/1에서 검색.

23.

연합뉴스 (2017). 인권사각지대 없도록 서강대 권리장전 선포.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6/15/0200000000AKR20170615109100004.HTML.에서 검색.

24.

유예인 (2016). 사립대학 직업형 학과행정조교의 직무동기와 직무 만족도 연구. 석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25.

윤아랑, 정남운 (2011). 상담자 소진, 개관.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2), 231-256.

26.

윤제복 (1985). 대학교육과 조교제도 운영. 한국대학교 교육협의회, 48-53.

27.

이동수, 김지혜, 한우상, 우종민, 강동우, 고영건, 연병길, 김이영 (1992). 직무스트레스 평가를 위한 측정도구 개발 및 표준화 연구(Ⅰ). 신경정신의학, 38(5), 1026-1037.

28.

이동훈, 이춘희, 신지영, 강민수, 전지열, 이화정, 김미정 (2017). 세월호 재난으로 자녀를 잃은 부모의 내적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심리정서, 신체, 인지, 행동적 차원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9(2), 255-291.

29.

이병훈, 이상호 (2011). 서비스노동 유형별 직무스트레스의 발생매커니즘에 관한 연구. 산업관계연구, 21(1), 65-93.

30.

이인규, 최천규, 성낙진, 이우창, 이종태, 허은주, 최윤주, 박미진 (2015). 대학원생 연구환경에 대한 실태조사: 2015년도 인권상황실태조사 연구용역보고서. 한국교육연구소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31.

이정은 (2010). 호텔종사원의 감정노동이 감정부조화, 직무소진, 직무태도 간의 영향 관계. 관광연구, 25(2), 253-269.

32.

이주일 (2003). 조직 장면에서의 분노, 불안, 우울 정서-정서 간 유발 상황과 대처방식의 차이 및 정서의 조절과 심리적 안녕, 직무효과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6(3), 19-58.

33.

이태형 (1992). 대학원생 조교, 교원인가 사환인가. 월간말, 150-153.

34.

정기은 (2012). 대학조교 직무 만족도와 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순천향대학교.

35.

정성수, 오범호, 엄문영, 김훈호, 우한솔, 문명현 (2017). 국립대학 비 학생조교의 처우 경험에 대한 분석. 교육정치학연구, 24(4), 1-22.

36.

조성란 (2016). 미국 대학원생 연구 환경과 인권 실태. 세미나 자료.

37.

최순영 (2005). 조교를 아시나요. 대학실태 분석보고서. 서울, 최순영 국회의원실.

38.

최정임, 전순영 (2014). 감정노동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원의 매개효과 연구. 기업경영연구, 21(3), 71-91.

39.

카이스트 인권윤리센터 (2014). 대학원생 권리장전. 2018. https://humanrights.kaist.ac.kr/pages/sub/sub06022 에서 검색.

40.

카이스트 일반대학원 총학생회 (2017). 카이스트 연구환경 실태 조사. https://infogram.com/2017-1hnq41q1x0rk63z에서 검색.

41.

Ashforth, B. E., & Humphrey, R. H. (1993). Emotional labor in service roles: The influence of ident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8(1), 88-115.

42.

Brotheridge, C. M., & Lee, R. T. (2002). Testing a conservation of resources model of the dynamics of emotional labor.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7(1), 57-67.

43.

Cooper, C. L., & Marshall, J. (1978). Understanding Executive Stress. NJ: Springer.

44.

Dormann, C., & Zapf, D. (2001). Job satisfaction: A meta‐analysis of stabilitie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2(5), 483-504.

45.

Dormann, C., & Zapf, D. (2004). Customer-related social stressors and burnout.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9(1), 61-82.

46.

Grandey, A. A. (2000). Emotional regulation in the workplace: A new way to conceptualize emotional labor.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5(1), 95-110.

47.

Hochschild, A. R. (1979). Emotion work. Feeling Rules and Social Structure, 85(3), 551-575.

48.

Hochschild, A. R. (1983).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Twentieth Anniversary Edition, With a New Afterward,” CA: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9.

Karatepe, O. M., Haktanir, M., & Yorganci, I. (2010). The impacts of core self-evaluations on customer-related social stressors and emotional exhaustion. The Service Industries Journal, 30(9), 1565-1579.

50.

KBS NEWS. (2015) “제자가 노예 왜곡된 갑을 관계,” 시사진단.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113358에서 검색.

51.

Kramarae, C. (2006). Muted group theory. In E. Griffin, (Eds.) A First Look at Communication Theory (6th ed.) (pp. 499-506). New York, NY: McGraw-Hill.

52.

Krippendorff, K. (2004).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Inc.

53.

Kruml, S. M., & Geddes, D. (2000). Exploring the dimensions of emotional labor: The heart of Hochschild’s work.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14(1), 8-49.

54.

Lazarus, R. S. (1966). Psychological Stress and The Coping Process. New York, NY: McGraw-Hill.

55.

Locke, E. A. (1976).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In E. A. Locke, & M. D. Dunnette, (Eds.)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pp. 1297-1349). Chicago, IL: Rand McNally College Publishing Company.

56.

Merriam, S. (1995). What can you tell from an N of 1?: Issues of validity and reliability in qualitative research. PAACE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4, 50-60.

57.

Morris, J. A., & Feldman, D. C. (1996).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1(4), 986-1010.

58.

Myers, I. B., McCaulley, M. H., Quenk, N. L., & Hammer, A. L. (1998). MBTI manual: A guide to the development and use of the Myers-Briggs Type Indicator (Vol. 3).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59.

NEW YORK TIMES (2003). Yale's Labor Troubles Deepen as Thousands Go on Strike. https://www.nytimes.com/2003/03/04/nyregion/에서 검색

60.

Osipow, S. H., & Spokane, A. R. (1992). Occupational Stress Inventory. Odessa: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PAR).

61.

Pandey S. C., & Patnaik, S. (2014). Establishing reliability and validity in qualitative inquiry: A critical examination. Journal of Development and Management Studies, 12(1), 5743-5753.

62.

Parker, D. F., & DeCotiis, T. A. (1983). Organizational determinants of job stres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32(2), 160-177.

63.

Rhoades, G., & Rhoades, R. A. (2003). The public disclosure of U.S. graduate employee union: Social movement identities, ideologies, and strategies. The Review of Higher Education, 26(2), 163-186.

64.

Roe, A. (1957). Early determinants of vocational choic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3), 212.

65.

Singh, P, Zinni, D. M., & Maclennan, A. F. (2006). Graduate student unions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Labor Research, 27(1), 55-73.

66.

Strauss, A., & Corbin, J.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Newbury Park, CA: Sage.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