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598X
  • E-ISSN2982-6292

道 광역대표도서관 건립계획에 관한 一考-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Planning of Widely Representative Library Building in Jeollabuk-do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06, v.40 no.2, pp.59-78
배순자 (전주대학교)
김병재 (익산시립도서관)

초록

전북지역의 광역 대표도서관 건립계획의 일환으로 수행된 본 연구에서는 그 건립의 필요성과 도서관 3대 요소인 시설, 자료, 인력에 대한 기준과 근거를 제시하고 이에 따른 도 대표도서관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의 진행은 기존의 광역 대표도서관 사례를 분석하고, 관련 기준의 검토와 전북도의 환경적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하였으며, 대표도서관의 모델은 위치, 시설 및 업무조직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keywords
광역대표도서관, 도서관건축, 지역공공도서관Widely Representative Library, Library Building, Regional Public Library, 광역대표도서관, 도서관건축, 지역공공도서관Widely Representative Library, Library Building, Regional Public Librar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n recommendation for planning of widely representative library building in Jeollabuk-do based on the standards of three library components; facilities, materials and personnel. For research, the methodology of analysis of literature and case study on already established representative libraries was conducted. And the analysis on regional current circumstance to obtain standards of the representative library was conducted. As a results of this study a model of widely representative library building is presented regards on location, facilities and organization.

keywords
광역대표도서관, 도서관건축, 지역공공도서관Widely Representative Library, Library Building, Regional Public Library, 광역대표도서관, 도서관건축, 지역공공도서관Widely Representative Library, Library Building, Regional Public Library

참고문헌

1.

(2002.) 강서구립도서관 타당성 조사. ,

2.

(1994.) 지방화 시대에 있어 공공도서관 행정체계의 재조직 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행정대학원.

3.

(2004) 광역대표도서관의 역할과 기능. ,

4.

(2004) 지역공공도서관을 활용한 농촌지역의 지역정보화에 대한 전략적 구상. ,

5.

(2000.) 공공도서관 행정체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배재대학교 국제통상대학원.

6.

(2004.) 전북통계연보. ,

7.

(2003) 21세기 도서관 정보센터 건축에 관한 연구. ,

8.

(최정태.1994.“도서관건축설비기구) ” 도서관정보관리편람.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9.

(2005) 도시개발변화에 따른 공공도서관 신축부지에 관한 연구. ,

10.

한국도서관협회. 1992. 공공도서관 표준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

11.

(2003.) 한국도서관기준. , 서울 동협회.

12.

(2001.) 정보ㆍ문화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 홍익대학교 대학원.

13.

(2001.) 지역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 변화에 관한 연구. , 전남대학교 대학원.

14.

(1988.) Creative Planning of Special Library Facilities. New York, Haworth Press.

15.

Russell J. 1945. Pointers for Public Library Building Planners. Chicago,

16.

(1996.) Planning and Design of Library Buildings., Architectural Press.

17.

UNESCO Bulletin or Li- braries,

18.

Joseph L. 1958. The Effective Loca- tion of Buildings Univ. of Illinois Graduate School of Library Science.,

19.

문화관광부.” 2005, <http://www.mct.go.kr> [cited 2005.10.20].,

20.

자치정보.” 2005, <http://www.jachi.co.kr> [cited 2005.10.20].,

21.

전라북도.” 2005, <http://www.provin.jeonbuk.kr> [cited 2005.11.30].,

22.

통계청.” 2005, <http://www.nso.go.kr> [cited 2005.10.20].,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