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598X
  • E-ISSN2982-6292
박진호(한성대학교) ; 곽승진(충남대학교) pp.5-24 https://doi.org/10.4275/KSLIS.2021.55.2.00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국립중앙도서관의 근대문학자료 서비스를 중기 및 장기적으로 링크드 데이터 기반으로 전환하여 서비스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근대문학자료 서비스를 단순히 현재의 기술적 트렌드인 링크드 데이터로 전환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외부의 다양한 데이터, 정보원과 지속적인 연결관계를 갖고 자동화된 기계처리가 가능한 고품질의 원천데이터를 만들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근대문학자료의 서비스 활성화와 유관기관과의 효율적인 데이터 연계를 해결하기 위해서 링크드 데이터를 채택한 해외의 다양한 도서관 및 서지 서비스 사례들을 먼저 검토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검토한 시사점을 기반으로 데이터 관리, 시스템관리, 이용자서비스 관점에서 근대문학자료 서비스의 개편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suggested a plan to convert the modern literary data service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into linked data-based services. This is not to simply convert the modern literary data service into linked data, which is the current technological trend. This is to create high-quality source data capable of automated machine processing with continuous connection with various external data and information sources in the long term. To this end, in order to revitalize the service of modern literature and to solve the efficient data linkage with related institutions, various overseas library and bibliographic service cases that adopted linked data were first reviewed to draw implications. In addition, based on the reviewed implications, the plan to reorganize the modern literary service in terms of data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and user service was described in detail.

김성원(충남대학교) pp.25-50 https://doi.org/10.4275/KSLIS.2021.55.2.025
초록보기
초록

범용의 문헌분류체계는 모든 주제분야를 포괄한다. 전체적인 분류체계는 문헌정보학 전문가가 구성하더라도, 개별 주제영역의 분류항목 구성과 전개는 해당 주제영역의 그것을 참고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전체 주제를 포괄하는 문헌분류체계가 각 주제분야에서 개발한 분류체계의 단순한 모음이 아닌 실용적인 분류체계가 되기 위해서는 각 항목에 배정되는 문헌량의 다과를 반영한 항목 설정과 세분이 필요하다. 분류항목의 설정에 있어 문헌량의 다과에서 항목 설정의 타당성과 근거를 찾는 것을 문헌적 근거(literary warrant)라 부른다. 본고에서는 한국십진분류법(KDC)에 전개된 각각의 분류항목에 어느 정도의 정보자원이 배정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개정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General-purpose classification scheme encompasses all subject areas, While the whole classification scheme is constructed by library studies experts, structure and preparation of each specific subject area’s classification should be referenced to that specific subject. In order for the whole system to be practical and useful classification scheme, not just a simple collection of each subject area’s scheme, it is necessary to set the rule for properly distributing the amount of classification items, and the collections assigned to these items. The rule to set the distribution of items based on the amount of document collections is called ‘literary warrant’. This study examines actual status of assignment of each classification items to information resources, as a result of application of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and then suggests a way to improve these practices.

노영희(건국대학교) pp.51-90 https://doi.org/10.4275/KSLIS.2021.55.2.051
초록보기
초록

인재는 국가, 사회, 조직, 개인의 효율적 목표달성과 성과창출을 위하여 필요한 가치와 능력 또는 이를 가진 사람으로, 국가 및 기업의 성공 또는 성과를 발생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사람이며, 사서는 전문성을 갖춘 도서관계와 지식문화기반 국가사회를 이룩할 인재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서의 인재상을 도출하기 위해 도서관계를 포함하여 사회 각 분야에서 제시된 인재상, 역량, 사서의 역할, 사서직무개발, PEST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1차적으로 11개의 인재상을 도출하고, FGI 과정을 거쳐 4개의 인재상 유형을 도출하였으며, 이용자 및 사서, 학생 등을 대상으로 검증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에서는 최종적으로 창의융합형 인재, 인성형 인재, 전문형 인재, 소통형 인재 등 4개의 사서 인재상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alent is a person who has the values and skills necessary to achieve effective goals and performance of the nation, society, organization, and individuals, or those who play a key role in generating the success or performance of the nation and companies. It can be said that it is a talented person who will achieve a well-equipped library world and a knowledge-based national society. In this study, in order to derive the talent image of the librarian, the talent image, competency, role of the librarian, librarian job development, PEST analysis, etc. suggested in various fields of society including the library world were performed. First, 11 human resources were derived, and 4 types of human resources were derived through the FGI process, and a verification process was conducted for users, librarians, and students. Finally, in this study, four librarian talents were proposed: creative convergence type talent, personality type talent, professional type talent, and communication type talent.

김성덕(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안유리(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박지홍(연세대학교) pp.91-110 https://doi.org/10.4275/KSLIS.2021.55.2.09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주요 뉴스기사를 활용하여 코로나19에 직면한 한국 국회의 의정활동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고, 코로나19 장기화 국면에서 한국 국회의 정책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코로나 19 관련 뉴스기사를 수집하고 기사의 인물 및 핵심어 정보를 활용하여 동시출현 기반 국회의원 네트워크, 내용 기반 국회의원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토픽모델링 기법을 활용한 주제별 키워드 중심 국회의원 네트워크 구성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국회의원 의정활동 네트워크에서 더불어민주당 소속 국회의원들은 코로나19와 관련하여 재난지원금 및 국가 재정, 의료 복지, 국난, 민생법안 등 폭넓은 주제와 관련성을 갖는 반면, 나머지 정당의 국회의원들과 관련성이 높은 주제는 국가 재정과 관련된 안건들로 제한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해당 네트워크의 모든 중심성 지표에서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대표 의원들이 주요한 영향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여러 정당 소속 국회의원 간 소통의 기회를 늘려 코로나19 관련 다양한 안건에 대한 협력이 도모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양당의 대표 국회의원들의 적극적인 역할 수행이 필요하다는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In the face of the prolonged Covid-19, this study conducted a network analysis to propose the policy direction for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to go forward. Using COVID-19 news articles, various types of networks were created and analyzed for the parliamentary activities of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related to Covid-19. Specifically, we utilize the co-occurrence and keyword information to generate two types of parliamentary networks: co-occurrence-based network and content-based network. In addition, a topic keyword-driven parliamentary network was constructed by using topic model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lawmakers in the ruling party had a wide range of topics regarding Covid-19, while lawmakers from other political parties had a limited number of issues covered. Next, a few representative legislators were identified as influential actors in most of the centrality indicator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cooperation on diverse agendas related to Covid-19 should be promoted between lawmakers from various political parties. And representative legislators from both major parties should play a crucial role as intermediaries to increase communication between them.

권나현(명지대학교) ; 최영옥(The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 김선애(경성대학교) ; 김신영(경일대학교) pp.111-130 https://doi.org/10.4275/KSLIS.2021.55.2.1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최근 공공도서관 성과평가의 국제적 동향과 해외 성과평가 실무 동향을 조사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문헌조사를 통해 성과평가에서 현재 주류적으로 적용되는 이론모델로 논리모델을 검토하는 한편 해외 공공도서관 성과평가 실제를 미국 동부 세 지역의 공공도서관을 직접 방문하여 심층면담을 수행함으로써 사례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2010년 전후부터 국제 도서관계의 성과평가는 도서관이 지역주민의 삶과 지역사회에 미치는 실제적 영향력을 측정하는 경향이 주류를 이루며 이를 실질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노력이 계속되어 온 것으로 파악된다. 측정방법에 대한 국제 가이드라인과 함께 국가 차원의 성과지표 개발 노력 역시 활발하다. 개별 공공도서관들도 그 지역의 발전계획에 따라 전략목표를 수립하고 도서관 성과도 그에 따라 측정하는 경향이 뚜렷했다. 기존의 단순 산출지표를 넘어 장기적으로 지역주민 삶과 지역발전을 위해 어떤 변화를 만들었는지 그 영향력을 측정하는 성과지표가 강조되고 있었다. 그러나 성과평가 실무에서 활용되는 영향지표는 여전히 미흡하여 풀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ternational trends in performance evaluation of public libraries. We examined major theoretical models for performance evaluation and its measurement guidelines and tools in the literature. We also conducted case studies to investigate actual practices in major regional public library systems in the United States. In-depth interviews with library staff were conducted in three large U.S. public library systems along with analyses of both internal and public docum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inform that the most noticeable trend of performance evaluation was to assess the impact of public library in the lives of citizens and the society. Guidelines and methods to measure intangible impact were developed in both international and national levels. These efforts were also found at the local library levels. While the outcome and impact measures were found to be direct reflections of strategic goals of the library systems, actual impact measures have yet to be refined in actual library practices.

조정연(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p.131-146 https://doi.org/10.4275/KSLIS.2021.55.2.13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권장도서의 학교 간 중복 여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권장도서가 실제 대출로 이어지는 정도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이러한 분석 자료는 권장도서가 활용되고 있는 근거를 기반으로 권장도서가 갖는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이다. 연구 방법으로 18개 초등학교의 권장도서 목록과 그중 13개 초등학교의 대출데이터를 수집하여 학교별 비교 분석을 통해 기초 통계자료를 도출해냈다. 분석 결과 권장도서 목록의 학교별 유사도는 낮게 나타났으며 권장도서는 전체 대출량에 영향을 주었다. 학년별 대출 빈도의 차이를 보였고 모든 학교에서 저학년의 대출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초등학교 도서관에서 권장도서 활용 정도의 기초 근거자료가 될 것이다.

Abstract

In this study, overlapping recommended books in different schools were positively analyzed and the extent to which the recommended books leading to actual loan was statistically analyze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s of recommended books by analyzing the data and extracting the proofs. For the method of research, eighteen elementary schools’ recommended book lists and thirteen elementary schools’ loan data were collected and compared by schools, by grades in a basic statistical analysis method. The result shows that recommended books similarity was low and recommended books affected the total volume of lend books. Loan frequency by grades showed the difference and in every school, lower grades had high loan frequency.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applied as basic data for applying recommended books in school libraries.

신주은(중앙대학교) ; 김성희(중앙대학교) pp.147-178 https://doi.org/10.4275/KSLIS.2021.55.2.14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내 오픈액세스 분야의 지적구조 분석을 위해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시행하였다. KCI와 RISS를 통해 수집한 국내 오픈액세스 관련 연구물 124편의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했으며, 제목과 초록에서 총 1,157개의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선정된 키워드를 대상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시행하여 3개 영역과 20개 세부 군집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패스파인더 네트워크를 통해 키워드들의 지적 관계를 시각화하였으며, 가중 네트워크를 위한 중심성 분석을 통해 핵심 키워드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5개의 군집을 도출하고, 다차원 축적 지도상에 표시함으로써 키워드 간의 상관관계에 따른 지적구조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국내 오픈액세스 분야의 지적구조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며, 앞으로 국내 오픈액세스 연구의 방향성을 예측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In this study, co-word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the domestic open access area. Through KCI and RISS, 124 research articles related to open access in Korea were selected for analysis, and a total of 1,157 keywords were extracted from the title and abstract. Network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selected keywords. As a result, 3 domains and 20 clusters were extracted, and intellectual relations among keywords from open access area were visualized through PFnet. The centrality analysis of weighted networks was used to identify the core keywords in this area. Finally, 5 clusters from cluster analysis were displayed on a multidimensional scaling map, and the intellectual structure was proposed ba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keyword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visually identify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redicting the future direction of open access research in Korea.

송지애(대진대학교) pp.179-200 https://doi.org/10.4275/KSLIS.2021.55.2.17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의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자유학기제 독서동아리와 연계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운영에 관한 사례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블렌디드 기반의 학교도서관 운영에 대한 연구모형을 설계하였으며, 자유학기제 연계 프로그램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학교도서관 독서동아리 활동에 대해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연구모형의 관련변인에 대한 안정성, 일관성 및 예측가능성 신뢰도 검증의 모든 영역에서 신뢰수준을 만족하였다. 둘째, 블렌디드 활동과 진로탐색 및 진로설계 활동의 상관관계분석에서 유의한 관계가 검증되었다. 셋째, 블렌디드 러닝의 활동과 진로탐색 및 진로설계 활동 영역에서 비대면 활동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이 나타나, 자유학기제 독서동아리 연계 프로그램은 비대면 활동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학교도서관 독서동아리 지원의 지자체 연계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학교도서관의 블렌디드 러닝에 관한 운영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cases of management focusing on a reading club using the blended learning at school library and the relevant programs of the free semester system. Therefore, the study has designed a research model for the blended-based management of school libraries, and cases of activities of reading clubs at school libraries for participants in programs linked with the free semester system have been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confidence level was satisfied in all areas of stability, consistency, predictability and verification on confidence level for related variables of the research model. Second, a meaningful relation has been verified i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blended activities and activities of the career search and the career design. Third, as a meaningful static effect has been shown in the contact-free activities in the areas of activities of the blended learning and activities of the career search and the career design, it was verified that programs linked with reading clubs of the free semester system have higher positive effects in the contact-free activities. Last but not least, programs related to local governments to support reading clubs at school libraries have been presented, and management of the blended learning at school libraries has been suggested.

임성관(경기대학교) pp.201-225 https://doi.org/10.4275/KSLIS.2021.55.2.2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사서교육전공 학생들의 석사과정 중 학습경험이 어떤 의미와 본질을 지녔는지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K대학교 석사과정을 졸업한지 2년 이내인 전공생 12명을 대상으로 도입 질문, 소개 질문, 주요 질문, 마무리 질문의 4가지 종류로 정한 개방형 질문 방식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한 뒤 답변 내용을 분석하여, 석사과정에서의 학습경험에 대해 9개의 주제, 35개의 범주, 104개의 개념을 도출하였다. 각 영역별 주요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석사과정 진학 동기는 임용고시 응시를 위한 조건인 사서교사 자격 취득을 위해서가 가장 많았으며, 학습경험에 대한 만족도는 10점 만점 중 평균 7.66점이었다. 또한 석사과정 동안 가장 불만족스러웠던 부분은 학교도서관 운영과 사서교사 임용고시에 도움 되지 않는 교과목과 수업 내용이었기 때문에, 향후 발전을 위해서는 반드시 개선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learning experiences of K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educational school librarianship.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n open-ended question-based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for 12 major students who had graduated from K University’s master’s degree course within two years.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answers, 9 themes, 35 categories, and 104 concepts were derived from the learning experience in the master’s course. Looking at the main analysis results for each area, the motive for entering the master’s course was to acquire a librarian teacher qualification, which is a condition in applying for the employment examination. The Satisfaction with the learning experience was an average of 7.66 out of 10 points. In addition, the most dissatisfied parts during the master’s course was the contents of the subjects and classes that were not helpful in the operation of the school library and the employment examination for librarian teachers, therefore the response was that improvement is necessary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librarian master’s degree curriculum.

이지연(연세대학교) ; 이연희(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227-261 https://doi.org/10.4275/KSLIS.2021.55.2.22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 평가 실태를 분석하여 학교도서관 평가의 발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으려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교육부, 교육청 및 문화체육관광부를 중심으로 수행되는 학교도서관 관련 조사, 컨설팅 및 평가를 메타평가를 활용하여 분석하고,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각 기관의 평가 중복, 국가의 학교도서관 발전계획의 반영 미비, 공모형 평가로 인한 참여율 저조, 교육 평가지표 미비 등의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학교도서관 운영평가의 개선방안은 법률에 평가 주체의 역할 명시, 국가의 도서관 발전계획의 반영, 기관 간 평가 네트워크 구축, 사례 공유 시스템 운영, 교육청의 조사 및 컨설팅과 전국 도서관 운영 평가의 연계 방안 마련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school library assessment and generate discussion points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s of the assessment. Surveys, consulting, and evaluations related to school libraries conducted by the Office of Educ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were analyzed using meta-evalu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chool librarians. The analysis revealed problems such as duplication of evaluation by various institutions, no reflection of the national school library development plan, low participation rate due to voluntary nature of the assessment, and lack of the educational evaluation index. The solution to the problem was a school libraries’ operation evaluation improvement plan. The plan included the legal evaluation agent specification, the national school library development plan incorporation, inter-agency evaluation network & the case sharing system establishment, and the Office of Education’s investigation and consulting cooperation.

김용환(청주대학교) pp.263-287 https://doi.org/10.4275/KSLIS.2021.55.2.263
초록보기
초록

한국사회의 불평등과 관련된 연구는 다양한 영역에서 산발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이 연구에서는 불평등 관련 연구 동향을 한국학술지인용색인을 통해 수집한 논문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초 통계 분석, 단어 동시 출현 분석, 주 경로 분석을 통해 통합적으로 분석하였다. 기초 통계 분석을 통해 핵심저자, 저널, 논문을 파악할 수 있었다. 동시출현 분석을 통해 소득불평등, 교육불평등, 복지불평등, 불평등 정책이 핵심 주제로 확인되었다. 주 경로 분석을 통해 2004년 이후의 불평등 연구 흐름은 두 가지로 나타났다. 하나는 경제적 불평등에 관한 연구이고, 다른 하나는 건강 불평등 및 사회 구조적 불평등과 관련된 연구로 나타났다.

Abstract

Researches on inequality in Korean society has been sporadically conducted in various areas. In this study, research trend related to inequality was analyzed through basic statistical analysis, co-occurrence analysis, and main path analysis using articles related to inequality from Korea citation index. In basic statistical analysis, key authors, journals, and articles are identified. In co-occurrence analysis, income inequality, educational inequality, welfare inequality, and policy on inequality were identified as main topics. Main path analysis showed two research trends after 2004. One was research trend on economic inequality, and the other was on health inequality and social structural inequality.

나경식(건국대학교) ; 정용선(동신대학교) ; 양창우(Valdosta State University Library and Information Studies) pp.289-324 https://doi.org/10.4275/KSLIS.2021.55.2.289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is study reports on early adolescents’ health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that investigated cognitive, affective, and physical aspects of behaviors as they experienced to find information on their needs of health information seeking. In spite of the current widespread internet health information use by adolescents, little research exists to illuminate how they are engaged in cognitive, affective, and physical information behaviors in information search process.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informed by Kuhlthau’s information search process. Forty adolescents from S city in South Korea participated in the project. Findings report thoughts, feelings, and actions aspects of information search process. This study expects to extend our knowledge of the adolescents’ health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of Kuhlthau’s information search process.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