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윤희윤(대구대학교) ; 오선경(대구대학교) ; 김신영(경일대학교) pp.5-26 https://doi.org/10.4275/KSLIS.2018.52.4.005
초록보기
초록

국립세종도서관은 국내 행정․정책의 요람인 정부부처 및 국책연구기관에 정책수집․집행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각종 지식정보를 수집․제공하는 정책정보 중심의 특화도서관이다. 따라서 국립세종도서관의 정체성을 확고하게 하려면 납본, 구입, 수증, 디지털 아카이빙 등 다양한 수집방식을 적용하여 국내외 고품질 정책정보를 수집하고 부존 자원화 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여러 수집방안 중에서 수증에 초점을 맞추어 정책정보의 주요 생산자이자 수요자인 국가정책정보협의회 회원기관을 대상으로 협의회 운영 및 정책정보서비스에 대한 인식도와 정책자료 대량기증 수요를 조사․분석하고 국립세종도서관 정책정보 수집력 강화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Sejong is a subject branch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which is centered on policy information for governments and related research institutes. Therefore the strategic orientation of the NLKS to establish the essential identity and to enhance it’s capacity is to collect and preserve policy information both domestic and abroad. In order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the NLKS as a national conservation center of policy information, we surveyed and analyzed the perception of the operation and policy information services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Policy Information and intention of policy information bulk donations of the member institutions, which are the producers and consumers of policy information. And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ways to strengthen the policy collection ability of NLKS.

이승민(중앙대학교) pp.27-49 https://doi.org/10.4275/KSLIS.2018.52.4.02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이용을 통한 정보의 공유가 각 개인의 사회자본을 형성하고 강화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 공공도서관의 이용 빈도가 높고 공공도서관 프로그램에의 참여가 높을수록 정보공유에 대한 인식도와 공유된 정보에 대한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사람들 사이의 정보공유는 공공도서관 이용을 매개로 했을 때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각 개인의 구조적, 관계적 사회자본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공공도서관의 이용을 통한 정보공유가 인지적 사회자본의 형성에는 상대적으로 큰 역할을 수행하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공공도서관의 이용 및 정보의 공유가 개인적인 정보요구를 충족시키는데 집중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This research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f information sharing through the use of public libraries on the construction and consolidation of social capital of individuals. Through the survey targeting public library users, it was identified that the frequency of public library use and the participation of public library programs have positive effect on the recognition of information sharing and the reliability of information shared. In addition, information sharing among people became more active when public libraries mediate their information activities. This public library-mediated information sharing positively affects the construction of structural and relational social capital. In contrast, it does not have significant meaning on the construction of cognitive social capital, which means that information sharing and the use of public library relatively concentrate on satisfying personal information needs.

백지원(숭의여자대학교 문헌정보과) pp.51-69 https://doi.org/10.4275/KSLIS.2018.52.4.05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테마 컬렉션이 가지는 이용자 중심적인 분류로서의 잠재적 가능성에 주목하여 이의 기능과 특성을 분류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테마 컬렉션의 등장 배경을 도서관 자원 조직의 문제와 북 큐레이션 서비스 도입에 관한 논의를 통해 파악하였고, 도서관의 테마 컬렉션의 개념을 정의하고 목적을 밝혔다. 또한, 테마 컬렉션을 구축하고 있는 도서관들의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테마 컬렉션의 구체적인 개념과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테마 컬렉션의 분류와 범주화 특성을 분석하고 분류로서의 기능 및 특성을 다른 지식조직체계와 상대적으로 비교하였다. 또한, 테마 컬렉션의 효용과 활용성을 제시하여 향후 도서관의 이용자 중심적인 분류체계 설계에 관한 논의에 기반으로 삼고자 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tential use of the theme collection as a new classification method that reflects the interest of users in terms of classification and categorization. For this purpose, the background of the theme collection was identified based on the discussion of the library resource organization and the introduction of the curation service of bookstore. In addition, based on case analysis, which is building the theme collection, concret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heme collection are derived.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the classification and categorization characteristics of public library themes collections were analyzed, and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as a classification were compared with other categories relatively. Finally, the utility and applicability of the theme collection is presented and it is based on the discussions about the user-centered classification system design of the library in the future.

이재윤(명지대학교) pp.71-90 https://doi.org/10.4275/KSLIS.2018.52.4.071
초록보기
초록

국내 학술지 평가에서도 인용지수의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학술지 평가에 널리 활용되고 있는 학술지 인용 영향력 지수 JIF에서는 학술논문이 발행된 당해 연도에 즉시 인용된 횟수가 포함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이와 달리 통시적 영향력 지수 IMP는 논문이 발행된 당해년도의 인용 횟수를 포함하지만, 평가시기 직전년도의 논문을 평가하지 못하고 몇 해 전에 출간된 논문에 대한 평가만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지수로 총 영향력 지수 TIF와 평균 영향력 지수 MIF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지수를 KCI 데이터에 실험적으로 적용해본 결과, TIF가 당해년도의 인용을 포함하면서 연차별 안정성이 높아서 특히 국내 인문사회분야 학술지의 다면적 평가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The importance of citation measures has been increasing in the evaluation of scholarly journals and it becomes a major issue for Korean Citation Index (KCI) journals. The Journal Impact Factor (JIF), a widely used measure for academic journals, has a problematic issue that it does not include the number of citations for a paper immediately made in the year in which the cited paper was published. On the contrary, the Diachronous Impact Factor (IMP) includes the number of citations made in the published year, but IMP is a measure for papers published a few years ago, not in the last year. It does not represent the recent value of journals effectively. To overcome these problems, Total Impact Factor (TIF) and Mean Impact Factor (MIF) are proposed as new journal citation indicators. This study calculated the performance of proposed indicators experimentally on KCI data. The result shows that TIF is a promising measure for the multidimensional evaluation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journals in Korea because it has high stability by year and includes the immediate citations of the published year.

김현희(명지대학교) ; 김용호(부경대학교) pp.91-110 https://doi.org/10.4275/KSLIS.2018.52.4.09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비디오 스킴의 자동 생성을 위한 비디오 요약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이를 평가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ERP(Event Related Potentials) 기반의 주제 적합성 모형, MMR(Maximal Marginal Relevance) 기법 및 판별분석기법을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제안한 ERP/MMR 기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구성한 비디오 스킴의 품질과 유용성을 내재적 및 외재적 평가를 통해서 검증하였다. 내재적 및 외재적 평가에서 ERP/MMR 방법들의 평가 점수들은 각각 경쟁 기준으로 사용한 SBD(Shot Boundary Detection) 방법의 평가 점수 보다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높게 나왔다. 그러나 이 두 평가에서 ERP/MMR(λ=0.6) 방법의 평가 점수와 ERP/MMR(λ=1.0) 방법의 평가 점수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We proposed a video summarization algorithm based on an ERP (Event Related Potentials)-based topic relevance model, a MMR (Maximal Marginal Relevance), and discriminant analysis to generate a semantically meaningful video skim. We then conducted implicit and explicit evaluations to evaluate our proposed ERP/MMR-based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in the implicit and explicit evaluations, the average scores of the ERP / MMR methods were statistically higher than the average score of the SBD (Shot Boundary Detection) method used as a competitive baseline, respectively.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score of ERP/MMR (λ = 0.6) method and that of ERP/MMR (λ = 1.0) method in both assessments.

노영희(건국대학교) ; 안인자(동원대학교) ; 최만호(건국대학교 지식콘텐츠연구소) ; 노지윤(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p.111-135 https://doi.org/10.4275/KSLIS.2018.52.4.111
초록보기
초록

헌법재판소 도서관은 2019년 도서관 이전과 함께 국내 최고의 공법전문도서관으로서 이용자의 법률정보 접근의 편의성을 높이고, 보다 양질의 법률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헌법재판소 도서관의 비전 및 중장기 마스터플랜이 필요하다. 따라서 공법전문도서관으로서의 위상을 높이고, 변화에 대비하며 미래를 선도하는 헌법재판소 도서관으로서의 비전과 핵심가치, 목표를 도출하는 것이 우선적 과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대내외 환경 분석, 유사기관의 핵심가치 분석 등을 통하여 헌법재판소 도서관의 4대 핵심가치를 설정하고 목표를 도출하였다. 4대 핵심가치로 전문성(Expertise), 소통과 보편성(Communication & Universality), 협력(Cooperation), 혁신(Innovation)을 제시하였으며, 수립된 4대의 핵심가치가 도서관 운영, 제도, 정책에 반영될때 헌법재판소 도서관이 국내 최고의 공법전문도서관으로서 자리를 더욱 확고히 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 vision and a medium-to-long-term master plan are key factors for the Constitutional Court Library to improve users’ access to legal information and provide better legal information services as the leading public law library in Korea in 2019. For this point, it is a priority task to set a vision and goals and to identify the core values of Constitutional Court Library. In this study, the four core value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Library identifi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library’s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the analysis of the core values of similar institutions. The four core values derived from the study are Expertise, Communication & Universality, Cooperation, and Innovation, and when these values are reflected in library operation, system and policy, the Constitutional Court Library is expected to further solidify its position as the nation’s top law library.

정영미(동의대학교) ; 강봉숙(대구서부고등학교) pp.137-161 https://doi.org/10.4275/KSLIS.2018.52.4.13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메이커스페이스 운영에 대한 학교도서관 전문인력인 사서교사 및 사서의 인식과 의견에 관한 질적 분석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사서교사와 학교 사서 7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한 전화 면담을 실시하여 학교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운영 인식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통해 메이커스페이스에 대한 인지도, 메이커스페이스로의 전환과 메이커 교육의 필요성, 준비사항 및 시행의 어려움에 대한 의견을 조사할 수 있었다. 그 결과, 대체로 학교도서관 전문인력은 메이커스페이스가 도서관 서비스 확대와 이용자 요구에 부합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학교도서관이 학교 내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의 센터로 기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교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조성 및 운영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해야할 꽤 많은 사항들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학교도서관 중심의 메이커 교육 활성화를 위한 발판이 되었으면 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dentify the awareness and opinion of school librarians and teacher-librarians on the school library maker space. To do this, we used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to interview and analyzed in-depth telephone interviews of 7 school library professionals qualitatively. The recognition of makerspaces, the necessity of transforming school libraries into makerspaces and maker education, preparations and difficulties of implementation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interview. As the result of interview analysis, school library professionals recognized that school library makerspace is essential to fulfill the users needs and important to enhance the library services. Also, school library professionals felt that it is desirable for the school library to function as a center for the in-school maker education program. Other important issues of the makerspace in school library were also identified.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momentum to activate the maker education centering on the school library.

한상우(광주대학교) ; 박성재(한성대학교) pp.163-178 https://doi.org/10.4275/KSLIS.2018.52.4.16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의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로직모델을 기반으로 개발된 도서관 성과측정 프레임워크를 적용하고 사서가 직접 KOLAS에서 데이터를 반출하고 성과평가 시스템에 업로드하여 성과를 측정하고 결과를 출력할 수 있도록 시스템(LibOutcomes system)을 구축하였다. 연구 결과, 성과평가 시스템을 이용한 성과 측정은 시각적으로 결과를 확인하기에 유용하였다. 또한 웹 기반 시스템으로 구축함으로써 접근 및 이용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었고, 향후 KOLAS의 한 기능으로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outcomes evaluation system for measuring outcomes of programs provided by a public library. For the study, we constructed outcomes evaluation system(LibOutcomes system) that applied library outcome measurement framework based on the logic model and this system made librarians to measure outcome directly import data from the KOLAS and upload it. As a result, LibOutcomes system was useful for verifying outcomes as visual result. In addition, since the system was built a web-based system, it is possible to secure accessibility and ease of use. Finally, we suggested possibility to expand the system as a function of KOLAS in the future.

박성재(한성대학교) ; 한상우(광주대학교) ; 조세홍(한성대학교) pp.179-194 https://doi.org/10.4275/KSLIS.2018.52.4.17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고 그 활용가능성을 논하는 것이다. 도서관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도서관 활동에 대한 데이터, 즉 이용자의 대출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시간에 따른 변화를 담고 있는 종단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통계적인 모형으로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였다. 서울 소재 공공도서관의 2010년부터 2014년까지의 95,962명의 이용자의 대출데이터를 무조건모형, 조건모형, 혼합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대출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출량은 절편요인이 4.19, 기울기요인이 0.24의 선형성장을 보였다. 성별에 따른 차이분석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4개의 그룹으로 나누었을 때, 10세 미만의 어린이의 대출 패턴이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향후 문헌정보학 분야에서 종단연구자료를 분석할 때, 잠재성장모형이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application of the Latent Growth Model to measure the outcomes of public library. For outcome measurements, library circulation data were collected to identify longitudinal changes of library users’ reading habit. The latent growth model was applied to statistically test the changes over time. The circulation data of 95,962 users registered in some public libraries in Seoul, ranged between 2010 and 2015, were analyzed using unconditional model, conditional model, and growth mixture model which all are called the latent growth model. The results show that the intercept of the model is 4.19 and the slop is 0.24 in the linear growth model. The gender difference in two latent variables including intercept and slop was a shade difference. The result from the growth mixture model analysis, additionally indicates that the number of books checked out by children under age 10 is rapidly increased. The application of the latent growth model in library fields is expected to widely spread out for the longitudinal data analysis.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