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정연경(이화여자대학교) ; 최윤경(이화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5-26 https://doi.org/10.4275/KSLIS.2009.43.1.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KDC 4판을 중심으로 국내 어린이도서관의 어린이 자료 분류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 국내 51개 어린이도서관의 KDC 적용 현황 조사와 부모 및 어린이 이용자의 요구 분석을 실시하였다. 국내 현황과 이용자 요구 분석 결과를 토대로 KDC 개선 방안을 분류체계 부문과 배가 부문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우선, 분류체계 부문에서는 특정 기호에 집중되는 주제를 분산시키고, 어린이 자료의 다양한 유형과 특성, 다양한 어린이 문학 장르를 KDC 상에 반영해야 한다. 또한 학제적 주제에 대하여 상세한 주기 및 분류지침을 제공해야 한다. 배가 부문에서는 첫째, 이용자 친화적인 청구기호 구성과 배열 방법을 도입하고, 둘째, 이용자의 다양한 관심 분야를 반영한 컬렉션 구성과 어린이와 부모를 대상으로 이용교육을 실시하도록 제언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classification focused on KDC 4th edition for children's materials. For the study, literature study, KDC application and user survey in 51 libraries for children were performed. Based on the results, classification for children's materials is proposed to improve in two ways: classification system itself and arrangement in the shelf. First of all, it is required to scatter the subjects that are centered on specific numbers and to allow various types, characteristics and literature genre of children's materials to be classified in KDC. KDC also should provide specific notes and classification guidelines for interdisciplinary subjects. In the shelf arrangement, it is proposed to consider the introduction of user-friendly call number and arrangement principles by ages or titles. In the end, it is necessary to compose various collections that represent users' needs, and the user education program is needed.

남태우(중앙대학교) pp.27-56 https://doi.org/10.4275/KSLIS.2009.43.1.027
초록보기
초록

이 논문은 DDC의 주류설정에 대한 논리성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어떤 분류법이든 군집화와 순차화가 선행된다. 주류설정은 군집화과정이다. 군집화 과정속에서 2차적으로 순차화가 고려되는 것이다. 따라서 분류법에서 군집화는 분류표를 구성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그렇기 때문에 주류설정에서 논리성이 강하게 요구되는데 DDC에서 각 주류는 특수도서관 개념에서 출발하였기 때문에 논리성은 약하다. 그러나 역사적 사실을 통해 주류설정의 논리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n the main classes of DDC. The DDC is a general classification system which aims to classify documents of all kinds falling in any knowledge domain. At best, the order of the main classes represents a mix of Baconian and Hegelian philosophy adulterated by the practical exigencies of organization a collection of books. Each of the main classes have been subdivided further into what are technically known as divisions. This division of knowledge into the nine main classes mirrors the educational consensus of the late nineteen-century Western academic world. The DDC thus scatters subjects by discipline, and the subjects are subordinated to discipline. The DDC has been criticised for its rigidity of division by ten at every step of its division. Division by the decimal classification has been likened to the Procrustean bed.

곽동철(청주대학교) ; 심경(아이리스닷넷) ; 윤정옥(청주대학교) pp.57-86 https://doi.org/10.4275/KSLIS.2009.43.1.057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국립중앙도서관 분관 건립의 논리적, 법적 근거 및 지금까지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된 분관 건립(안)을 분석하고, 우리나라 현황에 보다 적합한 분관 건립을 위해 지향할 바를 제시하는 것이다. 국립중앙도서관 분관을 “또 다른 대규모 공공도서관”과 동일시하거나 “지역균형”이라는 단순한 지역안배 차원의 논리에 기반하여 건립해서는 안 되며, 국가차원의 기록문화유산 보존 및 지식강국화를 달성하기 위해 국가대표도서관으로서의 역할 재정립 및 국가 전체의 도서관 체제 발전을 위한 선도적 역할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그 지향점으로는 첫째, 국립중앙도서관 정체성 확립 및 기능의 강화, 둘째, 국립중앙도서관의 직접적 대국민 서비스 강화, 셋째, 국립중앙도서관의 지식격차 해소 기능 분담 및 특성화를 담당할 것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logical and legal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new branch libraries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NLK) and then to propose the strategic direction of planning the branch(es) as an appropriate model for the future delivery of NLK services. In this research, it is emphasized that the branch(es) of the NLK should not be perceived as “another large public library,” but rather be planned to help consolidate and expand the basic roles of the NLK and reinforce its identity as a national library. In addition, it is recommended that the branch(es) should be located outside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o facilitate the services to the larger public, and some programs and activities for the underprivileged and the multi-cultural families in our society as well.

김세훈(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위원) ; 심효정(한국도서관협회) pp.87-111 https://doi.org/10.4275/KSLIS.2009.43.1.08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 건립과 관련하여 각 지방자치단체 도서관 건립 절차를 살펴보고, 이러한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은 무엇이며, 이러한 문제점들을 어떻게 해소할 수 있는지를 모색하는데 있다. 특히, 지방자치단체가 도서관 건립시 부딪히는 어려움을 경감시켜 줄 수 있는 방식 가운데 하나로 ‘도서관 건립 컨설팅’이라는 방식을 검토해 본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도서관 건립 및 운영계획 수립 과정을 분석하고 도서관 건립․운영계획 수립과 관련한 컨설팅 서비스 수요 분석, 도서관 건립지원과 관련된 국내외 사례, 도서관 건립․운영 지원을 위한 컨설팅 체계 구축 방안 등을 모색해 보았다.

Abstract

In order to fortify a professional approach in the construction of libraries, this study investigates library establishment procedures and examines problems which are raised in them. In so doing, it points to the necessities of professional consideration and engagement in the library construction and underlines a role of central government to support the process. As a way of supporting library construction, it suggests a consulting system which can provide practical support to those who are involved in the library establishment process.

정진한(영진전문대학) pp.113-133 https://doi.org/10.4275/KSLIS.2009.43.1.113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대학도서관 이용자 특성과 연계한 전자책 대출기록 분석하여, 대학도서관 전자책서비스의 낮은 이용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전자책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의 분석방법으로 기초분석은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사용하였으며, 성별과 전공분야별로 평가항목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t-test, ANOVA, 교차분석(χ²) 및 상관관계를 사용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suggests a scheme to activate an e-book service through the analysis on the cause of low usage of the services in academic libraries. The data analysis of e-book circulation records was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preparing the scheme.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for basic data analysis. Also, t-test, ANOVA, non-parametric chi-square,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reatment groups divided by gender and major.

한윤옥(경기대학교) ; 조미아(경기대학교) ; 김수경(University of North Carolina-Chapel Hill) pp.135-160 https://doi.org/10.4275/KSLIS.2009.43.1.13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도서관의 다문화서비스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외국도서관과 우리나라의 다문화서비스 현황을 조사하였다. 외국도서관의 다문화서비스 현황은 다문화주의 모델, 동화주의 모델, 배제주의 모델로 구분하여 다문화 가정 대상 교육프로그램과 도서관 서비스 사례를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도서관의 다문화서비스 현황은 공공도서관의 다문화 프로그램 담당 사서, 다문화프로그램 강사, 다문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이주민들과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다문화 가정 프로그램의 문제점 및 요구사항을 분석하였다.

Abstract

The study aims at understanding current states and problems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 libraries. The study examined multicultural services in Korean libraries as well as overseas. The study analyzed library services and education problems of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 multicultural model, assimilationist model, and differential exclusionary model. The study surveyed multi-cultural services librarians and educators as well as immigrants and children who have participated in multicultural problems, and finally analyzed problems and requirements of programs for multicultural families.

이순옥(회덕중학교) ; 장우권(전남대학교) pp.161-187 https://doi.org/10.4275/KSLIS.2009.43.1.161
초록보기
초록

오늘날은 자신에게 필요한 지식정보를 적절하게 취사선택하여 읽고 이것을 자기 것으로 만들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되는 지식정보화 사회이다. 정보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은 창의적․비판적 사고와 자기주도적 학습을 바탕으로 한 독서지도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 학생들의 독서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자아개념의 긍정적인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주제중심 독서지도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독서 전과 독서 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주제중심 독서지도는 학생들의 독서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케 하였으며, 자아개념 형성과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력 향상에 기여하였다.

Abstract

Today's society demands that Individuals need to acquire skills to select information they need, read critically that have been gathered and use them for their advantage. The ability to actively respond to information can be cultivated through reading which facilitates creative, critical thinking, and self-initiated learning. This research presents results from a study in which subject-centered approach to reading guidance was applied to elicit positive changes in reading attitudes and to contribute to the elevation of self-concept among adolescents. Using survey questionnaire, we compared the changes in reading attitude before and after treatment. The results indicate that subject-centered reading instruction brought positive changes in reading attitud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contributed positively to the formation of self-concept and the improved student initiated learning.

이은철(성균관대학교) ; 이상복(대진대학교) ; 오삼균(성균관대학교) ; 박옥남(성균관대학교) pp.189-214 https://doi.org/10.4275/KSLIS.2009.43.1.18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서비스의 정보자원으로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이용자의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서비스에 대한 요구사항과 국내외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서비스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국내 정기간행물 기사색인의 방향성으로 이용자에게 심리스(seamless)한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제시하며 이를 위해 협력 기반 기사색인 구축, 공유, 검색 시스템의 마련, 표준 메타데이터 구축, 전거파일 구축, 이용자 참여형 서비스 구축, 패싯 기반 다각적 정보탐색 기능 제공, 식별체계 구축 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study acknowledges the values of periodical indexing as information resources. The study identified periodicals users' needs of article indexing services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s. The study also conducted a comparative study of periodicals indexing services of libraries and databases in Korea and the US. The study argues for the need of seamless services for users of periodical articles indexing services. The study also recommends the elements needed for improving the current service, which includes establishing a collaborative indexing system, adopting a metadata standard, implementing authority files, incorporating social web services, offering diverse ways of information discovery based on facet approach, and stabilizing identification systems.

박소연(덕성여자대학교) pp.215-234 https://doi.org/10.4275/KSLIS.2009.43.1.215
초록보기
초록

디렉토리 서비스는 인터넷 초창기부터 존재해 왔던 포털들의 대표적 서비스이며, 웹 상의 정보들 중 선별된 사이트들을 주제별로 조직하여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검색 포털들인 네이버, 다음, 야후, 엠파스의 디렉토리 서비스와 Open Directory를 커버리지, 카테고리 생성 기준, 사이트 선택 및 등록 기준, 계층 구조 설계, 최신성과 명확성, 카테고리 및 사이트 배열순서, 분류 체계의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디렉토리 서비스의 개선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용자가 우수한 디렉토리 서비스 선택 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erform an evaluation of directory services provided by major Korean search portals: Naver, Daum, Yahoo-Korea, and Empas. A directory service of Open Directory is also compared. These directory services are evaluated in terms of the coverage, category creation criteria, site selection criteria, breadth and depth of hierarchy, clarity and currency of category names, order of category listing, and overall classification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implemented for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portal's directory services. Users can refer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choosing directory services from search portals.

오동근(계명대학교) ; 윤병호(한국기업평가원) ; 여지숙(계명대학교) ; 김주래(한국기업평가원) ; 박상후(계명대학교) ; 마을순(국회도서관) pp.235-250 https://doi.org/10.4275/KSLIS.2009.43.1.23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국회도서관 이용자인 입법관련 종사자와 일반 이용자를 대상으로 국회도서관의 공공기관 및 정부정보 서비스에 대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이용행태 및 만족도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공기관 및 정부정보의 이용 및 필요성은 입법관련 종사자가 일반 이용자에 비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전체적으로 국회도서관의 공공기관 및 정부정보 서비스를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공공기관 및 정부정보를 통합하여 검색․제공할 포털사이트에 대한 필요성 역시 비교적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analysed the user behaviors and satisfaction for the government information service of Nation Assembly Library of Korea, based on the questionnaires from users including the legislative employees and other library users. The results showed that legislative employees used the services more often and have more needs for the services than other users. Most legislative employees and other library users evaluated that the services should be improved and that it would be desirable to develop a portal system and services providing the integrated search and offering government information as one stop service.

최영임(천안두정고등학교 사서교사) ; 한복희(충남대학교) pp.251-270 https://doi.org/10.4275/KSLIS.2009.43.1.25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독서 동기 유발 매체인 학습만화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도서 및 비도서 자료와 학습만화를 연계하여 독서지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충남 천안의 3개 중학교, 6개 반 학생 18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독서의 동기 유발요인을 분석하였다. 학습만화와 연계한 도서 및 비도서 목록을 이용한 효율적인 독서지도 방안을 제시하여 청소년들의 올바른 독서 문화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effective reading guidance using studying cartoons for the reading motivation. We conducted a survey at 3 junior high schools in Chung-Nam province, consisting of 182 students in 6 classes in an attempt to analyze what motivates reading. We propose strategies that can encourage students to read using cartoons, books, and multimedia guides.

장우권(전남대학교) pp.271-292 https://doi.org/10.4275/KSLIS.2009.43.1.271
초록보기
초록

공공도서관은 공중의 정보이용, 문화활동, 독서활동 및 평생교육을 증진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전국적인 네트워크를 갖추고 지역사회의 고유성을 반영하는 개별 지역문화기관이다. 이에 공공도서관은 지역과 함께 하는 살아있는 유기체로서 해당지역의 특성과 요구를 적극 반영하는 개성 있는 도서관체계를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역할과 기능적 측면에서 지역민의 중요한 지식정보센터로서 다양한 지식정보와 문화프로그램, 지역문화콘텐츠 제공을 위해 각 지역에 산재되어 있는 지역문화콘텐츠의 관리 현황을 살펴보고 공공도서관에서 그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The public library strives to foster information use by the public, cultural activities, reading, and life-long education. Public libraries are firmly rooted in local societies providing services that reflect the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those local communities, while at the same time are structured in a coherent nation-wide network. This study examines practices of managing local cultural contents and proposes ways in which public libraries, as central information hubs in local communities, can provide diverse knowledge information and cultural programs, and local culture contents.

심원식(성균관대학교) pp.293-311 https://doi.org/10.4275/KSLIS.2009.43.1.29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도서관의 전자자료 확충을 위해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전자자료 구입비를 기준으로 한국의 대학도서관과 미국의 대학도서관을 비교하였다. 또한 국내 상위 대학도서관 세 곳과 해외 비교 대학 도서관(미국 6, 캐나다 1, 호주 1, 그리고 중국 1개 기관)의 전자자료 확보 수준을 구체적으로 비교하였다. 우리나라 상위 대학 도서관은 해외 경쟁 대학 도서관과 비교해 주요 전자학술지의 구독 수준에서는 더 우위에 있으나 다양한 참고정보원 웹DB 구독 면에서는 매우 저조한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전체적으로 국내 도서관은 전자학술지 패키지 위주의 구매를 한 반면 해외 비교 대학도서관은 세부 주제 분야의 웹DB를 다수 구독하고 있다. 향후 국가라이선싱 프로그램의 확대를 통해 국내 대학 도서관의 전자학술자원을 확충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esent comparative analysis of electronic information purchase in Korean university libraries relative to university libraries overseas. An overall comparison is made between libraries in Korea and in the U.S. in terms of their budget for electronic information. In addition, we compared the lists of web databases in service among three top-tier Korean universities and nine foreign universities(6 in the U.S., 1 in Canada, 1 in Australia, and 1 in China). The findings show that Korean universities tend to subscribe heavily to electronic journals packages than competing libraries overseas. However, in terms of providing subject-based reference databases, our libraries are far behind even mediocre institutions in these countries. We propose a number of recommendations to strengthen national licensing of electronic scholarly materials as a way to enhance access to electronic information through university libraries.

이용구(피츠버그대학) pp.313-332 https://doi.org/10.4275/KSLIS.2009.43.1.313
초록보기
초록

교차언어 문서 범주화(CLTC)는 다른 언어로 된 학습집단을 이용하여 문헌을 자동 분류할 수 있다. 이 연구는 KTSET으로부터 CLTC에 적합한 실험문헌집단을 추출하고, 기계 번역기를 이용하여 가능한 여러 CLTC 방법의 분류 성능을 비교하였다. 분류기는 SVM 분류기를 이용하였다. 실험 결과, CLTC 중에 다국어 학습방법이 가장 좋은 분류 성능을 보였으며, 학습집단 번역방법, 검증집단 번역방법 순으로 분류 성능이 낮아졌다. 하지만 학습집단 번역방법이 기계번역 측면에서 효율적이며, 일반적인 환경에 쉽게 적용할 수 있고, 비교적 분류 성능이 좋아 CLTC 방법 중에서 가장 높은 이용 가능성을 보였다. 한편 CLTC에서 기계번역을 이용하였을 때 번역과정에서 발생하는 자질축소나 주제적 특성이 없는 자질로의 번역으로 인해 성능 저하를 가져왔다.

Abstract

Cross-language text categorization(CLTC) can classify documents automatically using training set from other language. In this study, collections appropriated for CLTC were extracted from KTSET. Classification performance of various CLTC methods were compared by SVM classifier using machine transl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in the order of poly-lingual training method, training-set translation and test-set translation. However, training-set translation could be regarded as the most useful method among CLTC, because it was efficient for machine translation and easily adapted to general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low performance was shown to be due to the feature reduction or features with no subject characteristics, which occurred in the process of machine translation of CLTC.

안인자(동원대학교) ; 노동조(상명대학교) ; 노영희(건국대학교) ; 김성진(인하공업전문대학 비서과) pp.333-361 https://doi.org/10.4275/KSLIS.2009.43.1.333
초록보기
초록

주제전문사서 교육의 목적은 전문화, 특성화된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사서의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사서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며, 교육과정은 담당 사서가 주제전문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게 하는 성취 중심의 교육과정이어야 한다. 본 연구는 주제전문사서의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교육과정을 도출하는 과정 및 결과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 결과 6개의 교육코스와 15개의 교과목을 제안하는데 6개 코스는 ‘정보원개발’, ‘정보봉사’, ‘도서관마케팅’, ‘이용자교육’, ‘주제연구’, ‘도서관경영 및 일반’이다.

Abstract

Aims of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education is an improvement of their professionalism which could reinforce librarians' ability to achieve their speciality. The curriculum should be competency based one which could gain knowledge and skills to accomplish subject librarian services. The study aims to suggest competency based curriculum that is needed for specialist librarian's work. The study proposes six educational courses and fifteen subjects. Six courses are as followings: resource development, information services, library marketing, user education, subject research, and library administration.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