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정동열(이화여자대학교) pp.5-2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사회 전반적인 환경변화와 대학교육정책의 변화로 야기되어 온 사서자격제도를 중심으로 그 현황과 문제점 제기, 선행연구와 외국의 사례분석, 국내 학계와 도서관 현장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적합한 여러 가지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사서자격제도에 대한 개선 방안을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하여 내부 전문성 강화 모형, 전공이수 최소학점제 모형, 자격시험제도 모형, 전문대학원 모형을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네 가지 모형을 중심으로 앞으로 학계와 도서관 현장에서 더욱 깊이 있는 연구와 논의를 통하여 보다 적합한 새로운 모형의 사서자격제도 개발이 요구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lternative credential system of librarian in Korea. For this purpose, the study analyzes various aspects of credential system in order to find out characteristics, strengths, and weaknesse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are drawn from current situations and problems analysis, critical literature review, case study of six countries, and questionnaire survey analysis. Four different kinds of model are suggested. Those are ‘Internal Competency Model’, ‘Minimum Credits Model’, ‘Licence Examination Model’, ‘Graduate School Model’. This study also suggests further research to develop more adequate credential system of librarian in Korea.

윤희윤(대구대학교) pp.31-54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도서관법」 개정에 따른 정책 환경의 변화를 공공도서관의 현주소와 연계․분석한 다음에 공통의 현안과 과제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의 수정․보완, 도서관 행정체계의 정비, 지방 도서관․정보정책시스템의 제도화, 직무분석과 사서직제의 개선, 인프라 확충과 각종 기준의 개정, 경영평가 및 통계시스템의 표준화, 도서관 유관기관과의 연계성 강화를 정책적 과제로 설정하고 추진방향과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se correlation between the new library act and policy tasks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In order to attain this objective, author set seven policy tasks, that is, amendment and complement of master plan for library development, unification of public library administrative system, institutionalization of local public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job analysis and improvement of library personnel system, infrastructure expansion and revision of various legal standards, standardization of management evaluation and statistical system, and strong connection between public library and related cultural institutions. And author suggested the alternatives to drive and improve of these policy tasks.

김영신(한남대학교) pp.55-79
초록보기
초록

노령화 사회로의 빠른 이행 중에 있는 우리나라는 노령자들의 정보소외가 심각한 경제사회적인 문제가 되었다. 정보운영능력(information literacy)을 경계로 생성되는 정보격차 문제는 국가적 차원에서 접근해야 할 문제이며, 정보배포의 인프라를 이미 갖추고 있는 공공도서관이 가장 효율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노령자들의 공공도서관에 대한 인식, 정보요구, 선호정보원, 희망교육주제 등을 비교적 건강하고 활동적인 노령자들이 다니는 노인복지관 교육프로그램 수강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파악하였다. 데이터 분석 결과 공공도서관에 대한 인식수준은 매우 낮았으며 연령대에 따라 선호 프로그램 유형이 다른 것이 확인되었다. 데이터 분석 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Abstract

As Korea enters into an aging society, the problem of information literacy against senior citizens is becoming a socioeconomic issue in Korea. Since most of the public libraries in Korea are already equipped with infrastructures for information dissemination, they may be able to solve this problem most effectively among public organizations. In this study in order to investigate senior citizen's general understanding of public library, cognizance of the programs for them, their information request levels, preferred content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etc., 176 participants in educational programs at two senior citizens' welfare center were interviewed and surveyed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surveyed data has shown that the senior citizen's general understanding of public library was very poor and that those under 75 years old preferred educational programs and those over 75 preferred recreational ones. Recommendations were mad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노영희(건국대학교) ; 권재현(한국교육개발원) pp.81-11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06년도 학교도서관 활성화 사업에 의해 지원받은 학교들을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함과 동시에 활성화 사업 추진 과정에서 나타난 학교 현장의 애로 사항 및 문제점 등을 조사분석하고 있다. 또한 2005년에 사업지원을 받은 학교도 위와 같은 설문조사에 포함시킴으로써 사업 시행 후 1년이 지난 학교도서관의 활성화 사업성과를 측정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이론적인 배경을 기반으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도출한 후 그 만족도는 어느 정도 높게 나타나는지를 밝혀내고 있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hallenges faced by the schools participating in the 2006 School Library Revitalization Project so as to incorporate them in the next year's plan, which is the last year of the phase one of the project, as well as in designing the phase two. By doing so, it seeks to contribute to enhancing effectiveness of the School Library Revitalization Project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MOEHRD), the Republic of Korea. The second segment of the research consists of the public survey in 1,281 project schools(2005) and 1,098 project schools(2006) to assess overall performance of the project. The target group is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of school inspectors, principals, teachers, school librarians, and students.

김유승(중앙대학교) pp.111-133
초록보기
초록

인터넷 상의 불법 유해 정보의 존재는 규제 당국뿐만 아니라 공공도서관과 학교를 비롯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공공정보자원에서 큰 고민거리가 되어온 지 오래다. 특히 현대 정보사회에서 정보자원의 조직과 정보의 공개, 제공 및 이용서비스를 주 임무로 하고 있는 공공도서관의 경우 도서관 이용자들에 대한 인터넷 서비스의 제공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인터넷 정보를 둘러싼 규제 환경의 변화는 공공도서관 서비스 전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1990년대 중반부터 본격화된 인터넷 정보에 대한 규제는 인터넷의 고유한 매체특성으로 인하여 법제도적 규제와 함께 기술적 규제 방식이 적극적으로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기술적 규제 방식 또한 각 나라마다 매우 다양한 모습으로 발전하여 왔고, 더욱이 도서관 등과 같은 공공정보자원에서의 기술 규제는 표현의 자유와 알권리, 정보접근원의 침해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이 글은 인터넷 규제와 표현의 자유에 대한 이론적 논의들로 시작하여, 인터넷에 대한 기술적 규제 방식으로 폭넓게 활용되고 있는 필터링 소프트웨어의 기술적 측면을 살피고, 인터넷 필터링을 중심으로 한 각국의 규제 양상을 비교 분석한다. 이를 통해 공공정보자원에서의 인터넷 필터링을 둘러싼 문제들에 대해 비판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Abstract

Illegal and harmful information on the Internet have been a great concern not only for regulatory authorities, but also all the public institutes, such as public libraries and schools, that provide Internet access service. In particular, for public librarie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organizing, open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resources in the information society, providing Internet access service are indispensible. Therefore, any changes of Internet content regulatory system may have direct effects on services of public libraries. Due to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et, content regulation on the Internet has made a best use of various regulatory methods, ranging from governmental regulation to self-regulation and technical regulatory methods. However, nation by nation, technical regulatory methods on the Internet have been developed in quite different ways. Applying them on public library has been strongly criticised for violating freedom of expression and rights of access to information. This article begins with a theoretical discussion about free speech rights and regulation on Internet. Then it examines filtering software which is one of the most popular technical regulatory methods based on both technical and socio-humanities' prospects and analyses several governments' regulatory approaches to Internet filtering. As a conclusion, issues concerning Internet filtering at public institutes are critically apprised.

김규환(중앙대학교) ; 남영준(중앙대학교) pp.135-159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대학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대학도서관의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서비스 품질 영향요인과 이런 서비스 품질과 이용자 만족도가 이용자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고, C대학도서관 학생이용자 266명의 설문데이터를 바탕으로 측정변인간의 영향관계를 다중회귀분석과 경로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e-서비스 품질과 컨텐츠 품질, 도서관직원 품질이 만족도에 영향요인으로 나타났고, 학부생은 공간/환경 품질과 컨텐츠 품질이, 대학원생은 e-서비스 품질과 도서관직원 품질이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충성도의 경우는 이용자 만족도와 e-서비스 품질이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e-서비스 품질의 경우 이용자 만족도와 충성도에 광범위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sual relationships of the service quality, the satisfaction of the users, and the loyalty of the users on the academic libraries. The study develops a model and a hypothesis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es, and testifies through multiple regressions and path analysis using questionnaires from 266 academic library users(undergraduat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in the C Universit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the following: the service qualities of e-service, contents, and librarians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satisfaction of the users--undergraduate students on the qualities of library space/environment and contents, and graduate students on the qualities of e-service and librarian. The satisfaction of the users and the quality of e-service are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loyalty of the users. The quality of e-service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influence both the satisfaction and the loyalty of the users in academic libraries.

이승채(전북대학교) pp.161-18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사람들이 반복적으로 읽은 책들이 무엇이고 남녀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그 책들이 가장 기억에 남는 책들과 얼마나 일치하는지, 그리고 반복독서와 기타의 독서습관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등을 밝히는 것이다.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그들의 반복독서 경험에 관하여 조사하고 해당 데이터를 통계 처리하여 분석한 결과 밝혀진 중요한 사실들은 다음과 같다. 1) 대부분의 학생들이 2회 이상의 반복독서 경험을 가지고 있다. 2) 도서를 반복하여 읽는 경우에 반복 횟수는 2회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3회가 많았으며 반복독서 횟수별 비율이 남녀간에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3) 가장 기억에 남는 도서를 반복하여 다독한 학생들의 비율은 전체에서 절반 가량이다. 4) 2회 이상 다독한 독자들이 가장 많이 읽은 도서는 <삼국지>와 <어린왕자>이고 이어서 <다빈치코드>, <연금술사>, <가시고기> 및 <나의 라임오렌지나무>, <해리포터> 등의 순이다. 5) 다독자수 및 반복독서 횟수를 감안하여 선호도를 평가한 결과 가장 선호하는 도서는 <삼국지>였고 이어서 <어린왕자>, <다빈치코드>, <나의 라임오렌지 나무>, <모리와 함께한 화요일>, <해리포터>, <그리스 로마 신화>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6) 남학생들이 반복적으로 독서하는 남성취향도서는 대부분 투사들의 이야기를 다룬 내용들인데 반하여 여학생들이 반복적으로 독서하는 여성취향도서는 대개 잔잔한 감동과 교훈을 주는 책들이다. 7) 남학생들의 반복독서 대상도서는 반복독서량의 절반 이상이 <삼국지>에 집중되어 있는데 반하여 여학생들의 반복독서 대상은 상대적으로 많은 도서에 분산되어 있다.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sort of books people read repeatedly, what are the different pre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how much the repeatedly-read books are related to the most memorable books and how the repeatedly-read books are connected to reading habits. A questionnaire was provided to college students and their repeated reading experiences were searched.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are summarized: 1) Most college students have experienced repeated reading more than twice. 2) The number of colleg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repeated reading twice is the highest and next, those who have read repeatedly 3 times. Also, the number of times of repeated reading tends to be similar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3) The books which many students read repeatedly more than twice are : a) Romance of 3 Kingdoms b) Little Prince c) Da Vinci Code d) Alchemist e) Chinese nine spine stickle back f) Meu Pe de Larania Lima g) Harry Potter. 4) About half of the students have read the most memorable books many times. 5) The importance of books was evaluated on the basis of the number of repeated readers and the number of readings. The order of the important books is Three Romans of 3 kingdoms, Little Prince, Da Vinci Code, Meu Pe de Larania Lima, Tuesdays with Morrie, Harry Potter, and The Myth of Greece and Rome. 6) The preferred books by male college students are mostly the stories of fighters while female likes books that contain deep emotion and morality. More than half of the males' repeated reading was Romance of 3 Kingdoms while the preferred books of females are distributed widely.

이응봉(충남대학교) pp.181-202
초록보기
초록

학술도서관은 현재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볼 때, 학술도서관은 학생, 교수, 연구자 그리고 지역사회 구성원들에게 있어서 정보를 습득하기 위한 자연스러운 목적지였다. 학술도서관은 전세계의 가치있는 정보를 수집하는 중개자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출판된 정보의 레파지토리로서의 역할을 수행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학술도서관 웹사이트의 구축 방향과 학술도서관 디지털정보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Web 2.0 기술을 활용한 최신의 Library 2.0 관련 기술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학술도서관이 추구하여야 할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중에서 최근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웹을 통한 강의 및 연구활동 지원서비스에 대하여 사례를 들어 분석함으로써 학술도서관 디지털정보서비스의 향후 전망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Academic libraries are at a turning point. Historically academic libraries were the natural destination for students, faculty, and researchers seeking information. These users came to the library by default. Academic libraries served as the repository for published information as well as the intermediary for acquiring material from the outside world. In this study, suggested are directions of academic library websites construction and current techniques related library 2.0 that could be applied digital information system of academic libraries. And discussed the recent status, problems and future directions of scholarly information service through websites supporting lecture and research project activities for faculties in Korean university libraries.

곽철완(강남대학교) pp.203-21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역대표도서관의 서비스 방향을 고려하기 위해 미국의 주 도서관의 서비스 내용을 분석하였다. 통계자료와 주 도서관 웹 페이지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미국 주 도서관은 주마다 차이가 많이 있지만 핵심 기능은 지역 도서관에 대해 예산, 서비스, 교육 등을 지원하는 것이었다. 지역주민에 대한 직접적인 서비스는 지역의 공공도서관에 비해 그 규모는 작지만 주 단위의 역사 및 정보를 수집 및 제공하며, 동시에 장애인을 위한 서비스를 담당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미국 사례를 비추어볼 때, 우리나라 지역대표도서관은 지역의 공공도서관을 지원하며 공공도서관과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또한 지역대표도서관은 각 지역 특성에 맞는 형태로 운영되어야 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te library services in the United States in order to consider what services are needed for regional libraries in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library statistics and library web pages. The analyses particularly focused on examining the residental service and library service of state libraries. The analyses revealed that the state libraries provide funds, services, and training to local libraries, but the service levels are varied among states. State libraries provide state historical information and genealogy information to residential users, and focus on the information needs for handicapped people. Based upon the analysis of U. S. state libraries, Korea regional libraries would provide services different from local public libraries. Also, regional libraries would be operated based up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이나니(이화여자대학교) ; 이미화(이화여자대학교) ; 차미경(이화여자대학교) ; 정연경(이화여자대학교) pp.219-23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대표적인 과학기술정보센터인 KISTI와 JST의 과학기술정보를 공유활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도서관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디지털도서관의 개념, 구성 요소를 포함한 프레임웍과 기술 요소를 살펴보았으며, 협력 기반 디지털도서관의 사례를 조사분석하여 최근 디지털도서관 협력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제안된 디지털도서관 모형은 단계적으로 협력의 범위를 확장하는 모형으로, 대상 자원의 협력 및 공유 가능성에 따라 데이터의 직접 교환과 분산검색을 병행하며 메타데이터로부터 원문으로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방안이 포함되어 있다. 제안된 모형은 다른 분야나 타 기관과의 협력에서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was to build a collaborative digital library model between KISTI and JST for sharing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created in Korea and Japan. For this study, digital library framework, it's main concepts and widely-used digital library technologies were investigated. And also, best practices of collaborative digital library were surveyed to characterize collaborative digital library trends. Collaborative Sci-Tech digital library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in real environment and expanded into other institutions and/or subject areas.

김선애(경성대학교) pp.237-256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비영리 조직의 상대적 효율성을 측정하는 평가모형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는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 DEA)을 활용하여 서울 및 6대 광역시의 102개 공공도서관의 효율성을 비교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4개의 투입변수와 4개의 산출변수를 선정하였으며 산출극대화 모형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서울시 및 6대 광역시의 102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DEA의 효율치를 산출하였을 뿐만아니라 도서관별 준거집단 분석을 통하여 비효율적인 도서관의 잠재적인 개선가능치를 제시하였으며, 비효율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도서관별로 효율치에 상당한 차이를 보였으며, 지역별 그리고 운영주체별 효율치 비교에서 효율치의 최고 격차는 각각 10.2%와 18.2%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how it measures the efficiency of library units. DEA is a useful nonparametric method to evaluate the relative efficiency of a set of decision making units(DMUs) with multiple inputs and outputs. This study evaluated 102 different public libraries utilizing 4 inputs and 4 outputs focussing on the year 2005. For inefficient libraries, the study analysed the potential improvement and the source of inefficiency comparing the peer group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efficiency of public libraries varies in different localities and forms of operation.

이혜영(한국과학기술원) ; 곽승진(충남대학교) pp.257-27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지구 관측자료 공유 및 효율적 활용을 위한 통합 메타데이터를 설계하는 것이다. 최근 정부 간 조직으로 구축된 GEO(Group on Earth Observations)는 지구전반에 걸쳐 지속적으로 관측되는 자료를 활용하여 인류의 이익을 최대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세계적 흐름에 따라 국내에서 관측되는 지구 관측자료 즉, 재해, 보건의료, 에너지자원, 기후, 수자원, 기상, 생태계/생물다양성, 농업, 산림, 해양, 우주, 국토공간정보 등 12개 분야의 관측자료를 통합 및 활용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이 반드시 필요하다. 현재 지구관측자료는 관측분야별로 개별적인 메타데이터를 관리하고 있을 뿐 메타데이터를 통합관리하지 못하고 있다. 국내 지구 관측자료의 관측분야와 관측요소별 다양하고 상이한 메타데이터로 인한 통합메타데이터의 설계 어려움을 메타-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the metadata for sharing and efficiently using the informations of Earth Observations in Korea. Recently the GEO(Group on Earth Observations) has been starting to manage all nation's informations in a way that benefits the environment as well as humanity by taking a pulse of the plants. For that reason, we have to construct the infra-system to manage and integrate the 12 social benefit areas in Korea; disaster, health, energy, climate, water, biodiversity, agriculture, forest, ocean, space information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GIS). But these informations have only been managed with varied metadatas in each area of observation, and then it is difficult to integrate varied informations. In this study, we solve the problem with meta-metadata.

김상호(대구대학교) pp.277-28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독서진흥과 관련한 서울국제도서전의 문제점을 지적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독서진흥에 관한 우리나라의 법률과 문화정책, 주요 국제도서전의 성격을 분석하였다. 국제도서전은 국가간 저작권의 교역을 촉진하는 사업이다. 정부의 독서진흥정책은 출판이 아닌 도서관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독서정책당국이나 서울국제도서전 조직위원회는 독서진흥과 국제도서전이 밀접한 관계를 가진 것처럼 일을 추진해왔다. 이는 독서와 출판 산업의 어느 부분에서도 이롭지 않다.

Abstract

International book fairs are business enterprise to promote and facilitate international trade of copyright. National reading improvement policies, on the other hand, are supposed to be made to maximize the role of national and regional libraries, not just to boost publication industry. However, Korean government authorities of the reading improvement policies and the Organizing Committee of the Seoul International Book Fair have mapped out and, in effect, carried out their plans as if reading improvement policies are closely related to hosting international book fairs. It is important to realize that hosting book fair has pecuniary motives while making policies for reading improvement must be geared toward the betterment of the general public by reading. In this respect, this study has attempted to point out the problems of the Seoul International Book Fair that are regarded as to relate to reading improvement.

이정연(나사렛대학교) ; 김정민(대진대학교) ; 최석두(한성대학교) ; 김이겸(광주대학교) pp.291-316
초록보기
초록

기초학문자료의 특성인 복잡한 관계의 개념구조, 자료유형 및 자료간의 의미적 상관관계 등을 표현할 수 있는 기초학문자료 메타데이터 모형을 설계하였다. 설계된 메타데이터 모형의 정당성 및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제 구축된 자료의 분석을 토대로 실제적인 메타데이터 구성요소를 제시하였다. 메타데이터의 키워드 기반검색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확장된 시소러스를 설계하였으며 도메인 온톨로지를 구축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또한 철학 종교학 분야의 주제분류 중심의 확장시소러스를 설계하고 토픽맵 기반 시스템으로 구현하여 주제 중심의 메타데이터검색이 가능함을 보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metadata model for describing different kinds of concepts, properties, and semantic relationships of result materials of researches. We examine our metadata model to evaluate correctness and efficiency of the model through contents analysis of a constructed database. From the results of examination, we suggest more effective structure of metadata schema. Domain ontology could constructed by the enlarged thesaurus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keyword search, therefore we design a philosophy and religion ontology based on subject classification to improve information retrieval and implement it using XML/Topic Maps to improve retrieval functionality of our database.

장덕현(부산대학교) pp.317-334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노년층의 일상적 정보세계를 그리고자 한 조사연구이다. 자료는 연구대상의 생애사에 대한 기초적인 설문조사와 면담 및 사례 관찰을 통하여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노년층의 일상 속에서 정보와 관련된 기본적인 양상과 노년계층의 정보화를 저해하는 요인을 파악하여 분석하고 이를 정보화정책에 연계할 수 있는 모티브를 찾고자 하였다. 궁극적으로 이를 통하여 지역의 유관 기관을 중심으로 하는 공공 정보서비스의 확대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1) 일상적 관심사의 유형과 대처 방식, (2) 정보화의 계기와 현재 정보화 수준, (3)일상의 영위를 위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얻기 위하여 그들이 이용하는 매체의 유형과 특성 등의 범주를 다루었다.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portray the everyday lives of senior citizens in Busan metro area in terms of the information use and behaviors. Employing basic qualitative data collection tools such as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the study attempts to illustrate information needs and behaviors of the aged population in their everyday lives. This paper specifically focuses on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need and information-related behavior of the aged; types of everyday concerns and ways to cope with such concerns; information literacy levels and motives to get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channels of everyday information seeking and information gathering. The role that interpersonal sources play in their everyday lives has been emphasized. Some suggestions to enhance the levels of information literacy of the aged were added as conclusions.

이재윤(경기대학교) pp.335-357
초록보기
초록

다차원척도법(MDS)은 지적 구조의 시각화를 위해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MDS는 지적 구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데 있어서 세부 구조의 표현력이 취약하다는 약점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상관계수 행렬의 가공 방식과 MDS 알고리즘을 조합한 여섯 가지 MDS 지도 작성 방식을 파악한 다음, 실제 지적 구조 데이터에 적용하여 비교해보았다. 실험 결과에서 가장 나쁜 방식으로 파악된 것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식으로서, 상관계수행렬로부터 유클리드 거리를 산출한 후 ALSCAL 알고리즘으로 MDS 지도를 작성하는 방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가장 좋은 방식은 상관계수를 z점수로 표준화하여 유클리드 거리를 산출한 후 PROXSCAL 알고리즘를 사용하는 방식이었다. 결론적으로 MDS 처리 과정을 주의깊게 구성한다면 더 구체적이고 명확한 지적 구조를 파악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Abstract

There has been many studies representing intellectual structures with multidimensional scaling(MDS). However MDS configuration is limited in representing local details and explicit structures. In this paper, we identified two components of MDS mapping approach; one is MDS algorithm and the other is preparation of data matrix. Various combinations of the two components of MDS mapping are compared through some measures of fit. It is revealed that the conventional approach composed of ALSCAL algorithm and Euclidean distance matrix calculated from Pearson's correlation matrix is the worst of the compared MDS mapping approaches. Otherwise the best approach to make MDS map is composed of PROXSCAL algorithm and z-scored Euclidean distance matrix calculated from Pearson's correlation matrix. These results suggest that we could obtain more detailed and explicit map of a knowledge domain through careful considerations on the process of MDS mapping.

이치주(국립중앙도서관) pp.359-386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으로만 발행되는 연속간행자료의 수집 및 보존에 대한 운영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공공기관, 단체, 연구기관의 전문가로 패널을 구성하여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온라인 연속간행자료 보존에 따른 운영 모형 개발에 필요한 68개 세부항목을 도출하였으며, 적합성 및 시급성을 조사분석하여 적합성 분석에 최종 선정된 57개 세부항목을 제시하였다. 온라인 연속간행자료의 수집을 위하여 RSS 기술을 이용한 콘텐츠의 자동수집방안을 제시하고, 온라인 연속간행자료에 맞는 수집 및 보존 프로세스를 설계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operation models collection and preservation of serials only distributed online. In order to identify all of the requisite items for collection and preservation of the online serials, it conducts Delphi Technique researches with panels of experts from public institutions, organizations, and research institutions. It also deduces the 68 necessary detailed items to develop the operation models for preserving the online serials, and suggests 57 detailed items selected from the compatibility analysis with the investigation and examination of compatibility and urgency. It suggests the automated collection plan of contents with the application of RSS technology of transfer protocol to provide users the updated information from the sites where the contents and data have been constantly and frequently updated. This study strives to design the collection and preservation processes suitable for the online serials.

김태경(한국도서관협회) pp.387-412
초록보기
초록

최근 도서관 이용자들을 위한 정보활용교육에 대해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이 국내외의 현실이다. 그러나 도서관에서 근무할 사서를 길러내는 우리나라의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정보활용교육을 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도록 개설된 교과는 많지 않다. 이 상황은 실제 사서들로 하여금 도서관 현장에서 정보활용교육 준비에 어려움, 교육에의 부담감, 타 업무와의 조율 등의 문제를 야기 시켜 왔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문헌정보학 학부과정에 “정보이용자교육론”을 독립된 교과목으로 개설할 것을 제안하며, 실제적으로 본보기로 삼을 수 있도록 교과과정 모형을 개발하고 이것을 실제 적용할 경우 수업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교수요목의 예를 제시하였다.

Abstract

Recently, countries have recognized the significant to instruct the information literacy to library users so that they can positively and actively use the information. However, among the course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the colleges of South Korea which educate the potential librarians, few courses have the objectives to make the students obtain the abilities to teach the information literacy in the future. Since this lack of appropriate educations is reflected on the fields of library, the librarians have many difficulties in preparing for and performing user instructions. As an alternative solution for this problem, this study suggests opening a course, information user instructions, in the curriculum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of the colleges in South Korea and concretely demonstrated the curricular model. Also the course syllabus displays when this course would open.

신동민(한양대학교) pp.413-438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의 상호이용 협력활동에 대한 이용자들의 이용 현황과 사서의 인식을 조사하여,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질문지의 조사문항은 인구 배경적 특성과 장서만족도, 상호이용 협력활동의 인지도, 이용경험 및 활용도, 개선요구사항 등으로 구성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가설검정과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용자는 자관의 장서에 대해 만족도가 50% 미만으로 낮았고, 도서관 상호이용 협력활동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다. 단, 그 서비스의 필요성에 대해 높은 비율로 동의하였다. 한편 사서는 도서관 상호이용을 위한 홍보나 안내가 부족하다는 것을 인정하고 있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ze the user’s using status and the perception of librarian gathered through a survey of university library cooperation, in order to address the problem and to suggest a solution for it. The questionnaires are consisted of population characteristics, a satisfaction of the library information material, awareness of the library cooperative activities, user’s experiences and application degree of them, and the needs for the improvement of the activities. ANOVA, t-test and chi-square test were used for examination of hypothesis in the study. In conclusion, users’ satisfaction of information materials having in their library was lower than 50% and they were not aware of library cooperative activities. However, they agreed on the need of the service with the high percentage. Librarians were aware that the lack of information materials which pointed out by users, and recognized that they have not given them enough informations as well as guidance for the library cooperation.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