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윤정옥(청주대학교) pp.5-28 https://doi.org/10.4275/KSLIS.2009.43.2.00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인문학자들의 전자정보원 이용행태를 포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대학도서관들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스물다섯 개 대학 소속 인문학 분야 교수 중 799명을 표본으로 확정한 후, 2007년 11월부터 2008년 1월 사이 우편 서베이를 실시하여, 모두 132개의 분석 가능한 설문을 수집하였다. 응답자들은 대체로 연구와 교육에 균등한 시간을 배분하며, 주로 단독연구를 수행하는 독자적 연구자들이다. 이들은 지난 일 년 간 수행한 연구를 위해 어느 정도 전자자원을 이용하였고, 대학도서관 전자 컬렉션을 정보원으로 사용하였으며, 대부분 텍스트형태의 전자자원에 의존하였다. 이들이 정기적으로 이용하는 전자정보원은 학술논문 입수 정보원을 제외하고는 개별 연구자마다 상이하여 분산되어 있었다. 인문학자들은 전자정보원의 접근과 이용편이성 등을 높이 평가하였으나, 내용의 제한 및 품질 등 문제점을 지적하였으며, 대체로 자신의 전자정보원 이용 및 검색 능력 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여기에서는 대학도서관은 인문학자들을 위해 (1) 대학도서관 웹사이트의 주요한 내․외부 전자자원의 관문 역할 수행, (2) 진정한 전자자원의 관문으로서 단일경로 접근 및 통합검색 방법 제공, 및 (3) 도서관 내외부 전자자원 활용을 위한 “맞춤형” 이용교육 강화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e of the electronic information resources of humanities scholars in Korea and propose the planning of academic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to serve their needs. To collect data, a postal survey was conducted during the period of November 2007 through January 2008. Out of 799 humanities scholars sampled from 25 universities, 132 responded with a completion rate of 16%.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majority of humanities scholars distribute their time equally between research and education, and conduct independent research. Secondly, they use, to a certain degree, electronic information resources largely in text format, and depend upon the electronic collection of their academic libraries. Thirdly, with the exception of a couple of sources of electronic journal resources, the electronic resources that these humanities scholars regularly use vary so widely that none could be considered to be a common resource. Fourthly, they value the convenience of accessing and using electronic resources, but worry about the quality and scope of the contents. It is suggested that academic libraries (1) become the gateway for the electronic information that is available both inside and outside the library, (2) provide integrated search feature for and a ‘single sign on’ access to electronic resources, and (3) plan customized user education for specific subject fields in the humanities.

윤희윤(대구대학교) pp.29-51 https://doi.org/10.4275/KSLIS.2009.43.2.029
초록보기
초록

최근에 중앙정부의 행정안전부와 문화체육관광부, 광역자치단체인 경기도는 공공도서관의 정책 및 경영실태를 평가하였다. 그러나 이들 평가는 단순한 투입-산출척도에서 더 광범위한 사회경제적 가치를 추계하기 위한 성과평가로 진화하는 국제적 동향에 부합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주목하여 본 논문은 최근 경영평가의 동향과 한계를 분석하고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가 공공도서관의 사회경제적 가치(영향과 편익)를 산출하기 위한 바람직한 지향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Recently, the policies and management of public libraries have been evaluated by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Gyeonggi Province in Korea. However, these evaluations do not meet the international trends where simple input-output measures are being overtaken by outcomes calculating broad socio-economic values. Taking these facts into consideration, the main goal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limitations of the recent library evaluation cases and to suggest some desirable directions for the evaluation of the socio-economic values (i.e., impact and benefits) of public libraries.

홍현진(전남대학교) ; 강미희(전남대학교) ; 정미봉(전남대학교) ; 정대근(전남대학교) pp.53-90 https://doi.org/10.4275/KSLIS.2009.43.2.053
초록보기
초록

어린이도서관의 프로그램 개발과 운용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전국의 어린이도서관 80개 기관을 설문조사하였으며, 응답이 회수된 55개 기관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이들 기관의 이용현황 및 주요 이용자 층, 장서 및 예산 현황, 프로그램 유형, 이용대상, 운영기간, 홍보, 평가, 프로그램 성공요인 및 실패요인 등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였다. 이와 함께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어린이도서관 중 서울, 경인, 인천, 부산, 충북, 전남, 제주 등 지역별로 규모가 큰 21개 어린이도서관을 방문하여, 이들 기관의 프로그램 유형, 프로그램 운용현황, 공간구성, 관련기관과의 연계 및 협력, 자원봉사자 활용 등에 관한 사항을 직접면담을 통해 파악하였다. 또한 미국, 프랑스, 영국, 싱가포르, 일본, 중국 등 해외 6개국의 총 29개 기관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여, 직접 방문을 통한 개개 도서관의 프로그램 실제사례와 운용현황 등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80 children's libraries in an effort to suggest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children's library programs. A survey was conducted on 80 children's libraries in the nation, and the answer sheets from 55 libraries were gathered and analyzed to find out the extent of use, the major users, the book collections, budgets, the types of programs, the target audience of the programs, the terms of the programs, publicity, evaluation and factors determining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programs. In addition, 21 large children's libraries located in Seoul, Gyeongin, Incheon, Busan, North Chungcheong Province, South Jeolla Province and Jeju Island were visited, and the management were interviewed in order to decipher the types and management of the programs, their spatial construction, tie-ups or collaborations with relevant organizations and the utilization of volunteers. Finally, 29 foreign organizations were selected from six foreign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France, the United Kingdom, Singapore, Japan and China, and the cases and states of their programs' management were checked through personal interviews.

한윤옥(경기대학교) ; 김수경(University of North Carolina-Chapel Hill) ; 조미아(경기대학교) pp.91-122 https://doi.org/10.4275/KSLIS.2009.43.2.09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도서관의 다문화 서비스 및 프로그램의 지원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다문화 가정을 위한 도서관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도서관의 다문화서비스 프로그램 개발방안에 대해서는 범국가적인 추진체계 하에서 도서관의 특색에 맞는 서비스 프로그램 개발 원리와 방향을 제시하였다. 현재 국내에서 운영되고 있는 도서관의 다문화서비스 프로그램을 유형별로 살펴보고, 운영 사례를 예시로 제시하여 향후 도서관의 다문화 서비스 운영 방안을 모색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Abstract

The study aims at presenting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strategies of programs and services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 libraries. The study proposed the principles and directions for the multicultural services which fit into certain types of libraries. The study also stated that principles and directions of these services should be adopted under a national initiative framework. The study examined multicultural services in domestic libraries. The study analyzed them by patterns, and described service programs that were exemplary. The study intended to aid in finding the appropriate management strategies for muticultural services in Korean libraries in the future.

남재우(중앙대학교) ; 김성희(중앙대학교) pp.123-146 https://doi.org/10.4275/KSLIS.2009.43.2.12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Web2.0 기술에 대해 살펴본 후 기록정보서비스 개선을 위한 Web2.0의 유용성에 대해 조사․분석하였다. 조사결과 다양한 Web2.0 기술 중에서 유용성이 가장 높은 기술로는 Open API로 나타났으며 이어서 RSS, Ajax, 소셜네트워크, 위키의 순으로 유용성이 평가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미래의 기록정보서비스를 개선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usefulness of Web 2.0 techniques for improving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As a result, Web 2.0 was found to be useful for information service in National Archives of Korea(NAK). The results show that Open API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and RSS is the second-most useful factor for information services.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a framework for developing Web 2.0-based information services in the NAK.

이혜영(한국과학기술원) ; 곽승진(충남대학교) pp.147-169 https://doi.org/10.4275/KSLIS.2009.43.2.14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의 지식정보의 관문이자 지식정보의 발전소․충전소로써 다문화지식정보서비스 구축을 위한 협력망 구축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지적인 단일기관, 도서관의 한정된 자원과 노력을 ‘협력’이란 방법으로 실현하기 위해 현재 운영 중인 온라인 다문화지식정보원을 수집․조사․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문화관련 온라인 정보원은 395개 기관에서 422개 정보원을 제공하고 있으며, 국내외 모두 공공기관보다는 민간단체에서 운영하는 온라인 정보원이 월등히 많았다. 온라인 정보원은 내용별로 교육정보가 24.5%로 가장 많았고, 문화 18.4%, 인권 12.7%, 생활 8.9% 순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관련 온라인 정보원을 기반으로, 국가도서관 중심의 동아시아 국립도서관, 주한대사관과 문화원들과의 연계 및 국내 다문화관련 단체들과 자료를 공유하고 활용하는 협력망을 제안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truct a cooperation network for multicultural information services. It is suggested that a network for multicultural information helps those who limited information resources. Following investigation of the related information resources-422 online sites in 395 groups-it was found that the activity of non-public groups is higher than that of public groups and that all related groups offer various information services to multicultural people: education (24.5%), culture (18.4%), human rights (12.7%), general life (8.9%), and etc. The paper suggests the sharing of the information of internal related groups and collaboration with th embassies and cultural centers of East Asian country in order to construct a multicultural information service.

육근해(한국점자도서관) pp.171-192 https://doi.org/10.4275/KSLIS.2009.43.2.171
초록보기
초록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출판된 큰글자도서는 저시력자를 위한 교재가 전부였다. 하지만 최근 독서문화진흥법에서 노령화에 인해 독서자료를 이용할 수 없는 사람들도 독서장애인이라고 정의한만큼 향후 노인을 위한 큰글자도서가 더 많이 보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노인용 큰글자도서 개발을 위한 적정문자를 밝히고자 80명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조사연구 하였다. 연구 목적으로 문자 모양과, 문자 크기, 문자의 행간, 도서의 판형 등에 대한 선호도를 명확하게 밝히는 것으로서 연구방법은 설문조사와 참여관찰 등을 통한 질적연구를 동시에 수행하였다.

Abstract

To date, large print books have been published in Korea only for partially-sighted persons. However, as a recent explanation in the Reading Culture Promotion Act indicates, people who cannot use reading materials due to old age are now also considered to be reading-handicapped. This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ng the proper characteristics for the improvement of print publication for elderly people using data from a survey of 80 elderly persons. This study identified elderly people's preferences on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large format books such as font style, character size, line width, and page layout, derived from both quant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곽동철(청주대학교) ; 심경(아이리스닷넷) ; 윤정옥(청주대학교) pp.193-213 https://doi.org/10.4275/KSLIS.2009.43.2.193
초록보기
초록

21세기 지식정보사회에서 도서관 및 정보환경의 급격한 변화를 수용하고, 이용자의 정보요구와 행태 변화를 적절히 반영한 도서관 전문 인력의 전문성 강화 및 소양 계발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사회적 흐름과 인식을 기반으로 사서자격 제도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행 우리나라 사서자격제도 관련 설문조사 및 분석을 통해 그 쟁점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향후 바람직한 사서자격 제도의 개선 방안을 도출하여 중․장기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During the 21st century, the rapid changes in libraries and the information environment require the reassessment of the education and certification of library and information professionals in order to enhance their competen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icit and propose preliminary models in order to improve the librarian certification system in Korea. In doing so, the perceptions among librarians and users were surveyed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methodolog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analyses, a mid- and a long-term plans for improving the overall library certification system have been proposed.

박성우(전남대학교) ; 장우권(전남대학교) pp.215-231 https://doi.org/10.4275/KSLIS.2009.43.2.21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사회자본의 이해를 통해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영향과 사회자본과의 관련성을 이론적으로 검토하여 공공도서관의 사회자본 형태와 범위를 유추하였다. 도서관의 사회적 영향은 개인 및 공동체의 상호작용을 통해 얻어지는 성과물로써 사회의 생산성을 담보하는 사회자본의 효과와 동일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또한 공공도서관이 사회자본을 창출하는 메커니즘을 도식화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사회자본의 관점으로 공공도서관을 평가하여 향후 공공도서관 정책에 효율적인 정책수립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게 될 것이다.

Abstract

This research attempt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public library on our society and its relationship with social capital. For this research, a theoretical approach to the relationship was required. This approach enabled the research to analyze the type and range of the social capital being studied. In addition, this research emphasized that the social influence of public libraries was equivalent to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ba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 and community. The research outlined the mechanism by which public libraries create social capital. Finally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expected to help to develop an effective policy for public libraries.

김영석(명지대학교) pp.233-251 https://doi.org/10.4275/KSLIS.2009.43.2.233
초록보기
초록

영국은 산업혁명을 통하여 다른 나라들 보다 일찍 정치․경제․사회적으로 발전하였고, 시민들의 생활이 여유로워지면서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발생하자, 1850년에 세계 최초로 국가차원의 도서관(및 박물관)법을 제정하여 세금으로 공공도서관을 건립하고, 무료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현재도 영국의 공공도서관 운영 및 서비스는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다른 개발도상국과 비교해서 발전되어 있고, 모범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영국의 중앙 및 지방정부가 공공도서관 운영 및 서비스를 어떻게 발전시켜 왔고, 현재는 어떻게 운영하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Abstract

Following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United Kingdom achieved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earlier than other countries. The British people, who gained free time, wanted to have library services. Thus, the central government established the Public Libraries and Museums Act in 1850, which was the first in the world. The local government began to establish public libraries using tax income and provided free library services. At present, the operation and services of British public libraries have been developed and are exemplary, compared to South Korea and other developing countries. Thus, this study examined how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n the U.K. developed their public library operations and services, and how they operate public libraries.

구연배(서해대학 아동복지과) pp.253-275 https://doi.org/10.4275/KSLIS.2009.43.2.25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조기퇴직으로 인하여 우울증이나 무기력증을 앓고 있는 사람들에게 임상 독서치료를 실시하여, 자신의 처지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임으로써 우울의 강도를 약화시키고, 나아가 적극적인 자세로 새로운 삶을 살아가도록 돕는데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군산 지역에 거주하며 S대학 도서관에 출입하는 자로써, 45세부터 56세까지의 조기퇴직자 중 1:1 대면 조사를 실시하여 15명을 선정하였으며, 독서치료 장소로는 S대학 도서관 회의실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A. T. Beck의 우울척도(BDI)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사전사후 통계분석이 수행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if bibliotherapy is effective for the retirees suffering from depression and enervation caused by early retirement in order to help them to accept their situations positively, lessen their illnesses and actively live new lives. The study used 15 people and executed 1:1 interview investigation among early retired employees from 45-years old to 56-years old. They were all inhabitants of the Kunsan area and visited the S University library, and used the S University library conference room for bibliotherapy. A. T. Beck's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was used to collect the data for this research, and the before- and after-data analyses were performed.

유사라(서울여자대학교) ; 이혜원(서울여자대학교) ; 송인석(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p.277-298 https://doi.org/10.4275/KSLIS.2009.43.2.277
초록보기
초록

한국학술진흥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의 기 구축된 인문사회 학술용어는 각 용어 및 연구 성과물간에 성립하는 의미관계의 분석을 통해 수요에 적합한 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탐색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성과물 메타데이터의 유기적 연동이 요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연구성과물의 핵심적 개념을 표현하는 주제 색인어로 구성된 인문사회 학술용어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각 해당 연구성과물 지식구조를 표현하는 개념모델를 정의하고, 둘째, 연구성과물 간에 성립하는 의미관계 정의를 통해, 연구성과물에 대응하는 연구자 정보수요를 분석하여 이에 맞춘 정보 탐색서비스 모델을 설계하였다. 셋째, 학술용어 온톨로지 및 연구성과물 데이터베이스의 유기적 연계통합 운영을 위한 기술적이고 관리적 체계 수립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In order to utilize the operational metadata retrieval system which is based on the semantic association between the research outcomes of the Korean Research Memory (KRM), the systematic integration of the metadata of the research outcomes with the term data registry (DR) was required. This study presents the ontology which can be used effectively to support the KRM. It includes the concept modeling of the knowledge structure of research outcomes, information retrieval service modeling that applies an analytical approach to researchers' needs in conjunction with the term DR, and also some technical and administrative suggestions for future system management.

구중억(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이응봉(충남대학교) pp.299-328 https://doi.org/10.4275/KSLIS.2009.43.2.299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In this study, the present condition of 8 Open APIs for books, such as Naver, Daum, Aladdin, Amazon, Google, KERIS, LibraryThing, and OCLC,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addition, the bibliographic records of 167 samples of visible ‘light & paraphotic’ (DDC 535) classifications were selected from the bibliographic records of the library of C university,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Open APIs were compared and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12 Open API application models, which were judged to be useful in expanding the function of the access point of the bibliographic records and enhancing the library catalog using Open API, were experimentally implemented. Various methods of augmenting access points of biblio- graphic records and expanded library catalogue were investigated using the unique identifier described in the KORMARC fields of 001, 010, 012, 020, 035, 246, 505, 520, 850, 856 for the integrated format for bibliographic data, and Open API. Finally, using Open API for the brief display and detailed display screen as a result of search of the OPAC of the sample bibliographic records, the devices for the expanding library catalog were implemented as examples.

표순희(이화여자대학교) ; 차성종(도서관정보정책기획단) pp.329-350 https://doi.org/10.4275/KSLIS.2009.43.2.32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09년도 공공도서관 평가에 포함시킬 이용자 평가에 활용하기 위한 공공도서관 이용자 만족도 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용자 만족도 지표 개발을 통해 도서관 운영중심의 정량적 지표에서 오는 불균형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 및 지표 개발 사례를 토대로 이용자 만족도 지표 항목을 개발하였고 사전조사를 통해 지표의 신뢰성, 타당성, 중복성이 분석되었다. 특히, 사전조사는 기존 공공도서관 운영지표를 적용 받는 운영 주체 및 규모별로 분류된 10개 집단의 도서관에서 각각 선정하여 수행함으로써 개발된 지표의 적용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최종 분석결과 이용자 만족도 지표는 장서, 직원, 시설, 프로그램, 온라인 서비스, 정보 제공 정도의 영역에서 10개 항목이 선정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indicators of user satisfaction for Korean public library evaluation. This is an attempt to overcome the inequality of indicators, which mainly consist of inputs and outputs. User satisfaction indicators are constru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the prepared indicators are tested through a user survey of public libraries. Notably, the test is focused on the applicability of indicators for public libraries with a variety characteristics such as scale and operation organiz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a total of 10 indicators.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