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598X
  • E-ISSN2982-6292
노정란(서울여자대학교) pp.5-24
초록보기
초록

지식경영(Knowledge Management), 지적 자산, 디지털 지식자산관리 등 지식에 관한 개념은 오늘날 많은 조직에서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만 보더라도 ‘지식정보화 강국'을 표방하면서 지식경영과 기록관리를 주요시책으로 채택하고 있어 문헌정보학의 관점에서 이에 대한 이론적 기반과 Best Practice에 관한 연구가 시급하다. 그러나 지식경영을 비롯 지식에 관한 종래의 많은 연구는 경영학 분야에서 주되게 연구되었거나 문헌정보학 내에서도 지식에 관한 통합적 연구 기반은 매우 부족한 형편이어서 정보통신발달(ICTs)에 따른 지식 및 관련 시스템 간의 관련성, 협업 가능성에 관한 논의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히 지식경영과 기록관리를 중심으로 지식의 범주, 관리방법 등을 비교 연구함으로써 지식에 관한 통합관리의 발전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특히 향후 지식경영 및 기록관리체제를 도입하고자 하는 공공기관에 이론적 논거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

Abstract

The various concepts of knowledge such as Knowledge Management(KM), Intellectual assets and digital knowledge asset management are currently important issues among many organizations. To the country like Korea that has professed itself for a great power of knowledge information and adopted KM and Record and Information Management(RIM) as the country's main policy, the study on the theoretical basis and best practices of KM and RIM from the perspective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is very urgent. However, many studies on knowledge including KM were mainly done at the business administrative field, and the consolidated study basis on knowledge even in the Library & Information Sciences was quite in deficiency, furthermore any discussion on knowledge, correlation among related systems and the possibilities of cooperation as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has not been done. Therefore,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alternative plan of the consolidated management on knowledge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n the definition, main function and trend of KM & RIM. Especially, this study would be the theoretical basis to the public organizations that plan to introduce KM & RIM.

한혜영(한국교육학술정보원) pp.25-44
초록보기
초록

지식기반사회에서 대학의 연구기능 강화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연구중심대학 육성에 대한 관심이 높으나, 국내의 경우는 연구중심대학을 구분하는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연구중심대학의 핵심 지원체계로서 도서관에 대한 역할도 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 국가 경쟁력 1순위인 미국의 연구중심대학 선정 기준을 만족하는 국내 연구중심대학을 선별하고 한국과 미국 연구중심대학의 전반적인 현황 및 이들 대학도서관의 세부적인 현황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중심대학 도서관이 갖추어야 할 각종 예산, 인원, 그리고 정보자원에 관하여 국내 대학의 현황을 파악하고 추후 연구중심대학으로서 연구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지원체계 구축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대학도서관에 대한 각종 투자가 궁극적으로 대학의 연구경쟁력을 제고한다는 점을 입증하기 위한 도서관 투자와 연구논문발표 실적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중심대학 도서관으로서의 우리나라 현황을 분석한 본 연구 결과가 향후 국제적인 연구경쟁력 확보를 위한 대학도서관의 역할 정립 및 육성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하는 계기가 되기 바란다.

Abstract

Research is one of main roles of university and its importance has been emphasized gradually since a few decades ago. Yet, the objective and concrete criterion for the definition of the research university is not available in Korea. Accordingly, the role of the research university library is not established as a key system for research university. In this study the criterion for the United States research university is applied to domestic universities, thereby current status of research universities and their librarie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is analyzed comparatively. Fundamental data including budget, employees and information resources for pursuing high research competitiveness necessary for the research university library are provided based on comparative analysis of 98 research university libraries in the United States and 38 domestic research university libraries. Correlation analysis data between library investment and research publication are also provided. Finally this study can be used, hopefully, as a milestone for the establishing strategy of domestic research university libraries.

이제환(부산대학교) ; 이기명(울산남부도서관) ; 김정호(부산대학교) ; 윤유라(부산대학교) ; 이은주(부산대학교) pp.45-69
초록보기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현장 사서의 관점에서 현행 문헌정보학 교육의 문제점을 도출해 내고 바람직한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는데 있다. 논의에 필요한 데이터의 수집을 위해 공공, 대학, 전문, 그리고 학교도서관에서 근무하는 사서들을 대상으로 이메일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47명으로부터 유효 답변을 회수하였다. 수집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1) 현장 사서들은 현행 문헌정보학의 교과과정과 내용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고 있으며, 2) 그들이 생각하는 사서가 갖추어야 할 전문적인 능력은 무엇인지, 나아가, 3) 현장에서 요구하는 능력을 갖춘 사서를 양성하기 위해서 문헌정보학 교육이 담보해 내야하는 내용은 무엇인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lies in investigating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LIS education in Korea with an emphasis on the viewpoints of librarians. Also identified are the librarians' suggestions for a better LIS educational system, in particular, for the renovation of the current LIS curriculum to upgrade the competencies of future librarians. To this end, 347 librarians from public, academic, special, and school libraries were e-mail survey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to find out the specific problems and suggestions based on the types of libraries as well as the overall problems and suggestions.

조윤희(University of Northern Iowa) pp.71-88
초록보기
초록

최근 대학도서관을 둘러 싼 변화의 속도는 전통적 대학도서관의 역할과 함께 가상공간에서의 통합서비스를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도서관 환경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대학도서관은 핵심 가치를 중심으로 그 사명과 비전을 검토 할 시점에 직면해 있다. 본 연구는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등 대학도서관의 사명과 비전 선언서의 내용을 핵심 키워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선진 대학도서관의 사명과 비전 선언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핵심 가치가 무엇인가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선진 대학도서관들이 추구하고 있는 핵심 개념을 장서 및 정보자원, 서비스, 장소, 사람, 환경 및 기반시설, 커뮤니티, 모체 대학과의 관계 등으로 대별하고, 각 영역별로 그 핵심 가치를 제시하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아직 사명과 비전 선언서 수립이 일반화되지 않은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에 사명과 비전 수립을 위한 방향 제시와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Abstract

Recently, the speed of changes surrounding university libraries requires a hybrid library environment that supports integrated services, combining a virtual space with physical space of traditional libraries. Through changes, university libraries have faced the need to review their missions and visions, laying stress on the core values of university libraries. This study analyzed the central keywords in the contents of mission and vision statements of university libraries in America, England, Canada, and Australia. The research was acquired from mission and vision statements containing core values of developed university libraries. Core values are present in each area such as collection and information resources, services, place, people, environment and infrastructure, community, and parent-university relations. Ultimately, this study tried to provide the directions and the basic materials for the establishment of missions and visions for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김희정(국제백신연구소(IVI)) pp.89-104
초록보기
초록

디지털 보존 주제분야를 중심으로 지식영역 비주얼화(knowledge domain visualization)를 시도하였다. 분석을 위한 데이터는 1990년부터 2005년까지의 기간 동안의 Web of Science DB를 중심으로 총 74건의 문헌을 추출하여 활용하였다. 지식영역 비주얼화를 위하여 사용한 툴은 서지DB를 중심으로 비주얼 데이터마이닝 결과를 제공하는 Java 어플리케이션인 CiteSpace이다. 분석 결과, 디지털 보존 분야의 핵심적인 지식 영역은 최신정보기술을 중심으로 한 디지털 보존전략, 정보네트워크와 보존시스템, 전자정부와 지식관리의 세 영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article identifies an emerging research paradigm and monitors the changes in digital preservation area using CiteSpace, a Java application which supports visual exploration with knowledge discovery in bibliographic databases. 74 articles on digital preservation field covering the time period from 1990-2005 were extracted from Web of Science.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core knowledge domains in digital preservation are technical preservation strategies, information network and preservation system, knowledge management and electronic government.

최상희(대구가톨릭대학교) pp.105-118
초록보기
초록

이용자가 직접 참여하여 질의를 제공하고 응답을 하면서 공동으로 지식을 생산해내는 형태의 정보서비스는 응답된 내용이 축적되어 가면서 새로운 대용량 정보검색 분야로 성장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질의와 응답이 결합되어 있는 질의응답문서의 구조적 특성을 반영하여 질의응답문서의 효율적인 이용 방안을 도모하고자, 문서 구성요소인 질의제목, 질의설명, 응답내용을 기반으로 클러스터를 자동 생성하여 수작업 주제 범주와 비교한 후 각 구성요소의 주제 표현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응답내용 클러스터링 결과가 수작업 결과와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 응답내용이 문서의 주제를 표현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s the number of users who ask and give answers in the query-answer documents retrieval system is growing exponentially, the query-answer document become a crucial information resource, as a new type of information retrieval service. A query-answer document consists of three structural parts: a query, explanation on query, and answers chosen by users who asked the query. To identify the role of each structural part in representing the topics of documents, the three structural parts were clustered automatically and the results of several clustering tests were compared in this study.

백지원(이화여자대학교) ; 정연경(이화여자대학교) pp.119-13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현행의 용어관계가 가진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용어관계의 다양한 사례를 조사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용어관계를 체계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용어관계가 기반이 되는 분류, 시소러스, 주제명표목을 비롯하여 의미망, 온톨로지, 데이터베이스 등 기존의 여러 지식조직체계를 용어관계의 측면에서 재조명하여 그 특성 및 상호관계를 파악하였다. 또한 이들 지식조직체계에 실질적으로 나타나는 각종 용어관계의 사례와 용어관계에 대한 연구들을 광범위하게 수집하여 다양한 용어관계의 유형을 파악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다양한 용어관계를 분석하여 실재하는 용어관계의 체계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systematize the semantic relationships in knowledge organization systems(KOS). For this purpose, classification systems, thesaurus, subject headings, semantic networks, ontology, database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semantic relationships between terms. Also, various kinds of the terminological relationships not only in the current KOS but in the theoretical research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addition, six proposals were suggested for the organized system of the terminological relationships for the future uses.

윤희윤(대구대학교) pp.139-16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도서관과 출판계의 전략적 제휴방안을 모색하는 있다. 대다수 인쇄자료의 선형적 유통경로(저자-출판사-(서점)-소비자)를 감안하면 생산주체인 출판계와 제도시장인 도서관은 갈등과 반목보다 호혜정신에 입각한 전략적 제휴가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식정보(도서) 유통위기의 실체와 나비효과를 배경정보로 삼아 도서관계와 출판계의 함수관계를 해명하고, 지식문화의 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 제휴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strategic alliance between libraries and publishers in Korea. When it considers the linear distribution channel of current publications and the entity and a butterfly effect of knowledge communication crisis, the publishers as production agency and the library as consuming subject must search a strategic cooperative plan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analysed the four issues(fixed book prices, library infrastructure, book and library supply policy of government, legal deposit system) which is important.

서진원(전북대학교) pp.163-175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은 현대사회의 이상적 교육방법으로 구성주의 교수-학습이론의 의의와 특징을 밝히고 구성주의 교육방법과 교육환경이 학교도서관에 어떻게 관련을 가지는지 논하였다. 또한 구성주의 교육방법과 관련하여 우리나라 학교도서관이 개선되어야 할 점을 제시함으로서 학교교육의 문제해결에 학교도서관이 기여하는 바를 논하였다.

Abstract

I identified constructivism's teaching-learning theory as a modern ideal method of education on this paper. And I explained how school media center relate with constructivism on educational method and educational environment. I suggested what is the points of development of school media center under the educational method of constructivism. And then by doing so I strived for contribution to the solution of problems of school education in Korea.

송병호(상명대학교) pp.177-192
초록보기
초록

전통적인 종이 기록물은 그 자체로 정보이면서 동시에 매체인 특성이 있다. 그러므로 종이 기록물에 대한 보존매체는 원본이 있는 상태에서 이를 중복 저장하기 위하여 마이크로필름이나 이미지화 광디스크를 제작한 것을 말한다. 그런데 최근에 등장하고 있는 전자기록물은 실체가 없기 때문에 존재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보존매체 개념이 필요하며 그것도 기존 종이 기록물을 염두에 둔 보존매체 개념과는 달라야 한다. 보존매체는 전자기록물의 진본성, 무결성 및 가용성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제대로 된 보존매체의 필요성을 설명하였고 현행 보존매체 개념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한 원칙을 도출하였으며 그에 따른 전자기록물 보존매체의 관리방안도 제시하였다.

Abstract

Traditional paper records have two aspects such that the paper records are information, and are information media itself. The preservation media for the paper records seems to be another forms for original ones including microfilm and optical disks. On the other hand, new-coming electronic records lack the aspect of information media. To guarantee the existency of the original electronic records we need the preservation media for the electronic records, different from the media for the traditional paper records. The preservation media helps the Authenticity, integrity, and usability as well. This paper describes the need for the preservation media, identifies problems on the existing concept for them, derives the principles to resolve the problems, and suggests the management policy based on the principles.

전명숙(덕성여자대학교) pp.193-205
초록보기
초록

학교 도서관의 이용자가 영상세대의 유비퀴터스 이용자, 포스트 디지털 이용자가 되면서 학교도서관의 소장 자료도 이미지와 디지털 자료를 수집하고 보관하여 교수-학습 자료로서 이용되어야만 학교도서관이 그 기능을 다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사서들이 종이 자료를 다루는 기술은 물론 도서관의 자료를 변환하는 기술도 습득하여 중요한 자료를 변환 시킬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교사들이 교과목에 꼭 필요한 이미지나 디지털 자료를 만들 수 있도록 기술적으로 도와주어야 교수-학습자료를 충족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은 사서교사들이 사서자격증을 가지는 것은 물론 첨단 정보기술능력도 갖출 때 수행할 수 있다.

Abstract

The major role of school librarians in Korea has been providing reading guidance and library user education with paper resources. However, digital users have become more ubiquitous and demand more information with the images and digital materials. Therefore, school libraries need to collect more images and digital materials. At the same time, school librarians have to equip themselves with the ability to cope with this transformation. The qualified school librarians not only should have a teaching certificate but also know about techniques to transform various library materials into digital formats. Teachers and students could use these materials for their Web site homepages and Powerpoint presentations.

오의경() ; 장혜란(상명대학교) pp.207-231
초록보기
초록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정보리터러시 관련 교육에 대한 노출, 각종 정보원에 대한 경험, 정보 이용 관련 교수진의 조언, 개인적 배경 등을 정보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인으로, 정보리터러시 태도와 실제 능력을 종속 변인으로 추출하고,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측정도구를 고안하여 조사를 수행한 후, 관련 요인의 현황과 요인간 관계 및 영향력 정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정보리터러시의 개인별 집단별 차이, 낮은 도서관이용교육 노출과 교수진의 조언 등이 문제점으로 드러났으며, 컴퓨터와 인터넷 교육, 각종 정보원 이용 경험, 성별과 전공계열 등이 정보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입증되었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정보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사회의 인식전환, 이용교육의 실질적 변화, 고등교육기관 및 관련 협회의 유기적 협력과 노력 등이 제안되었다.

Abstract

The study is attempt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information literacy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Through literature review, exposure to related education, use experiences in information resources, advice of the faculty, individual background are considered as variables affecting information literacy attitudes and performance. A questionnaire was devised and collected data from 628 students. Then 24 hypotheses were tested statistically. Descriptive analysis shows differences in information literacy, lower exposure to library instruction, and lack of the faculty advice. Results of the hypotheses testing shows computer and internet education, use experience of the various information resources, gender and major areas of study as factors affecting information literacy. Based on the results, recommendations are suggested to improve the information literacy.

노문자(숭의여자대학) pp.233-259
초록보기
초록

책의 분실은 자연 재해에서도 발생하지만 대부분은 흔히 말하는 인재, 즉 인간의 잘못된 행위에서 비롯된다. 책을 사랑하는 것과 책을 훔치는 것 자체를 동일시하기도 하고 또 책을 훔치는 것을 인간의 원죄라고도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책을 훔치는 행위는 책의 사랑에서 기인하든, 사랑의 한계를 넘어 강렬한 소유욕에서 기인하든, 아니면 병적인 요소에 기인하든 또는 전쟁을 통한 공권력에 기인하든 불법행위임에는 틀림없다. 책 도둑의 개념을 정리하고 직업군 별로 유명한 역사적인 책 도둑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최근에 밝혀지고 있는 나치시대의 공권력을 동원한 책의 약탈, 사서인 Libri의 사례, Blumberg가 책을 훔친 규모와 방법들을 도서관 역사의 한 부분으로 다루었다.

Abstract

The loss of book happens not only from natural disaster but from mostly humans’ improper intention to acquire without proper consideration of ethnic standards. We occasionally have difficulty in differentiating between stealing and loving books since it is often called the basic instinct to possess the books. It is however absolutely illegal to take books belong to others without permission due to one’s pure love towards books, passion to possession, or innate instinct. In this study, we define the definition of book theft and classify the cases of historically well-known book theft. It then states the book plunder cases of Nazi with the abuse of public powers, Libri, and Blumberg in terms of quantity and methods as a history of library.

남영준(중앙대학교) ; 조현양(경기대학교) ; 배순자(전주대학교) pp.261-27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가차원의 인용색인데이터베이스 구축에 필요한 참고문헌 서지기술 표준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주요 서지기술 규정과 문헌정보학 분야 학술지의 규정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참고문헌에 포함될 서지요소는 크게 저자사항과 서명사항, 발행사항 등 3개의 하부요소였다. 이 서지요소에 포함될 개별요소는 모든 서지기술 규정이 모두 동일하였다. 본 표준의 기본 형태는 저자-연도 타입이었으며, Bibliography 형식도 제안하였다. 특히 전자자료의 경우, 웹상에서만 발표된 자료는 반드시 최종접근일자를 URL과 함께 수록하도록 하였다.

Abstract

This research suggests the standard reference needed for constructing the bibliographic descriptive national science citation index(KSCI). There are several types of analysis: the APA style, the MLA style, the Chicago Manual Style, and the Korean major periodical's style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core elements are author, title, and issue. We propose the Author-Date system, and Note and Bibliography form. For citation of books only available online, the URL must be included as a part of the citation along with its record of most recent access, and retrieval.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