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송기호(공주대학교) pp.5-27 https://doi.org/10.4275/KSLIS.2019.53.2.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처리모형을 이용하여 중학교 사회 1 교과서 수록 매체를 분석하고, 사서 교사가 협동수업에서 제공할 수 있는 교육 정보서비스 내용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하에서 개발된 8종의 사회 1 교과서에 포함된 총 1,089개의 탐구 과제를 분석하였다. 투입 요소로서의 매체는 매체의 유형으로 분석하고, 매체의 처리 요소로서의 특징은 인지행동 유형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매체의 산출 요소 측면은 다중지능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탐구 과제 해결 과정에서 투입되는 매체는 사진과 삽화 중심의 시각자료와 일반적인 읽기 자료가 주류를 이루었다. 처리 방법은 구조화를 통한 분석과 추론을 통한 이해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산출 방법은 말하기와 쓰기 중심의 언어지능 요소를 활용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사서 교사가 사회과 탐구 활동을 위하여 제공할 수 있는 교육 정보서비스를 정보처리 단계별로 교육과정 지도 제작, 탐구 절차와 탐구 기술의 지도 그리고 다중지능별 교수․학습전략과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학습지 개발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 of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1 textbooks with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and to suggest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s of teacher librarians under a collaborative Instruction. For this purpose, 1,089 inquiry tasks embedded in 8 types of textbooks for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developed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The media as an input element was analyzed by the type and the characteristic as a processing element was analyzed by the cognitive behavior types. And the aspect of the output factor of the media utilized the multiple intelligenc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edia in the inquiry task solving process mainly consisted of visual media based on photographs and illustrations and general reading materials. The processing method of media is understanding through analysis and inference through structuring. And the output utilized speaking and writing of the language intelligence. Based on the results, it is shown that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s that teacher librarians could provide for inquiry activities are composed of developing curriculum map, teaching inquiry processing and skills, and designing work sheets with graphic organizer and multiple intelligences under the information processing steps.

윤희윤(대구대학교) ; 김경희(대구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29-48 https://doi.org/10.4275/KSLIS.2019.53.2.029
초록보기
초록

자유학기제는 초등학교 진로인식, 중학교 진로탐색, 고등학교 진로설계를 연계한 교육정책으로서 중학교 진로교육 활성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제도가 2016년에 전면 시행됨에 따라 공공도서관도 자유학기제 기반의 프로그램을 개설․제공하여 왔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을 분석한 후 지역발전에 대한 기여도를 논증했다. 그 결과, 진로․직업탐색, 진로탐방․체험, 정보해득력 제고 프로그램은 지역의 지식문화, 독서문화, 학습문화, 생활문화, 여가문화에 기여했다. 다만, 진로․직업탐색 중 강연․전시와 직업체험, 정보해득력 제고가 여가문화 및 지역경제에 기여하는 바는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모든 공공도서관은 지식생태계 구조, 디지털 정보격차, 인문치유, 사회환경 문제, 미래 직업상 등에 관한 프로그램을 추가하고 정보해득력 프로그램을 필수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bstract

The free learning semester system focuses on the activation of career edu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s an educational policy that links career recognition in elementary school, career search in middle school, and career planning in high school. This system was fully implemented in 2016 and public libraries also provided various programs. This study analyzed the free learning semester system programs of public libraries in Busan city and demonstrated the contribution of local development. As a result, career and job search, career exploration and experience, and information literacy enhancement programs contributed to local knowledge culture, reading culture, learning culture, living culture and leisure culture. However, contribution of reading exhibitions, job experience, information literacy enhancement to the leisure culture and local economy were limited.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all libraries should add programs related to knowledge ecosystem structure, digital information gap, human healing, social environment issues, future job prospects, and provide information literacy programs.

이병기(공주대학교) pp.49-68 https://doi.org/10.4275/KSLIS.2019.53.2.049
초록보기
초록

초․중등학교에 있어서 교육과정은 교육의 핵심이다. 교육과정은 교육의 목적과 목표, 교육내용, 교육자료 및 교수-학습 방법을 규정한 종합적인 교육계획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많은 국가에서는 초․중등학교 교육을 위한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을 마련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은 10차례에 걸쳐 개정한 바 있으며, 현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적용하고 있다. 한편, 한국도서관협회에서는 2007년에 초․중등학교의 정보활용교육을 위해서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이 교육과정은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인 ‘2007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하고 있어서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구조와 내용체계와는 차이가 있다.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구조와 내용체계에 맞추어 개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과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한 후에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육과정의 개정 방향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curriculum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is at the heart of the education. In education, a curriculum is broadly defined as the comprehensive plan consisting of educational goal and objectives, instructional content, material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Many countries has national level curricula i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such as the Korea. Korean national curriculum has been revised 10 times. Currently, ‘2015 revised curriculum’ is applied in korea.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library association developed called a ‘Library and information life’ curriculum for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in 2007. However, this curriculum is based on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o it differs from the system and contents structure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ince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applying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Library and information life’ curriculum should be revise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of revising the ‘Library and information life’ curriculum after comparing and analyzing ‘2015 revised curriculum’ and ‘Library and information life’ curriculum.

윤혜영(중부대학교) pp.69-90 https://doi.org/10.4275/KSLIS.2019.53.2.06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전지역을 중심으로 24개 공공도서관의 일반현황과 행정체계를 분석함으로써 공공도서관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발전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첫째, 대전지역 공공도서관의 시설, 인력, 장서, 예산 현황을 살펴보고, 「제3차 도서관발전 종합계획(2019-2023)」, 「도서관법」과 「한국도서관기준」에서 제시하는 기준과 비교하였다. 둘째, 공공도서관 행정조직의 체계와 주요 특징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대전지역 공공도서관의 발전을 위해 공공도서관의 지속적 확충, 사서직원 충원, 장서 확충, 노인 대상 서비스 강화, 예산 증액, 정책담당 전담부서 신설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about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24 public librarie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to suggest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public library system in Daejeon. For this purpose, first, this study investigates facilities, human resources, collection, and budget in public librarie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compares to the standards in 「The Third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2019-2023)」, 「The library Act」 and 「Korean Library Standards」. Secondly, this study analyzes administrative organization system. Finally, suggested are both strategies and methods for continuous construction of new public libraries, librarian recruit, collection increase, better service for older adults, budget increase, organization exclusively responsible for library policy.

노영희(건국대학교) ; 노지윤(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91-116 https://doi.org/10.4275/KSLIS.2019.53.2.09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폐교의 성공적인 도서관 활용을 위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되는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폐교 운영 및 관리 현황, 향후 폐교 활용 방향, 그리고 도서관의 폐교 활용 등에 대한 요구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실제 폐교 발생지역의 주민들은 향후 폐교 활용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도서관을 새로 신축하는 것보다 폐교를 리모델링하는 것이 비용 측면에서 경제적이라는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는 점에서 지역 내 도서관 수가 부족할 때 또는 지역주민들이 폐교를 도서관으로 리모델링하는 것을 희망할 때 폐교의 도서관으로서의 활용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폐교 활용 및 운영에 대한 인식은 보통 수준에 머물러 있어, 폐교 운영 및 관리의 장애요인을 그룹핑하여 홍보적․운영적․물리적 측면 순으로 폐교 운영과 재활용 활성화 방향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폐교 시설의 활용 유형에 있어서도 문화시설에 대한 현황과 지역주민의 요구가 맞아들고 있고, 폐교가 해당 지역을 기준으로 비교적 접근이 용이한 곳에 위치해 있다는 점에서 이를 중심으로 생활 밀착형․친화경 공간으로서 충분히 사용 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함과 동시에 도서관 또한 지역주민들의 기초적인 문화시설 공간으로서 기존의 공공도서관과는 다른 복합문화공간, 전시관을 활용한 도서관, 친환경 도서관 등을 추구함으로써 해당 지역의 요구를 충족․보완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a demand analysis for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closed schools, the direction of future use of closed schools, and the utilization of closed schools, among local residents expected to play a key role in the successful use of closed libraries. According to the study, residents in areas where schools actually occur may actively consider the use of closed schools when they are lacking in the number of libraries in the region or when they hope to remodel their schools as libraries, given that they are positive about future use of closed schools and that remodeling them is more economical in terms of cost than building new libraries. The current awareness of the use and operation of closed schools remains at a normal level, so it is deemed necessary to improve the direction of the promotion, operation and recycling of closed schools in the order of promotion, operation and physical aspects by grouping obstacles to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closed schools. In addition,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facilities and the demands of local residents are met in terms of the types of use of closed school facilities, and it means that closed schools can be used in a relatively easy-to-access location based on their location, while libraries can be used as a space for cultural facilitie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public libraries, exhibition halls, and eco-friendly libraries.

강봉숙(대구 다사고등학교) ; 정영미(동의대학교) pp.117-137 https://doi.org/10.4275/KSLIS.2019.53.2.11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 메이커 교육의 실험적 운영 사례를 공유하여 학교도서관 메이커 교육의 길잡이를 제공하고 관련 활동을 확산하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해 대구 S 고등학교 도서관에서 실험적으로 이루어진 학교도서관 메이커 교육 사례를 설명하고 그 의의를 양적, 질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학생 이용자가 가진 학교도서관 메이커 교육의 이미지와 역량 함양 효능감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기존 학교도서관 교육에 대한 인식과 비교하였다. 추가로 메이커 교육 경험 여부와 학년별 변인 등에 따라 메이커 교육 인식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학교도서관 메이커 교육에 대한 인식이 기존의 학교도서관 교육 프로그램보다 긍정적으로 나타나지는 않았다. 하지만 학교도서관 메이커 교육을 경험한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과 비교하여 기존의 학교도서관 교육과 메이커 교육 모두에서 긍정적 이미지와 역량 함양 효능감에 대한 높은 수준의 인식을 지닌 것으로 나타난 것은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도서관 메이커 교육이 학교도서관 교육에 대한 전반적 이미지를 개선하고 역량 함양 효능감 인식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가 학교도서관 메이커 교육의 확산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uide the design and operation of maker education programs in school library and to spread them by sharing the maker education program case. For this purpose, we explained the case of maker education of Daegu S high school library and analyzed its significance in terms of users i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way. In order to analyze the user’s perception of the image and self-efficacy of capacity building of school library maker education, we compared it with the perception of existing school library education programs. In addition, we analyzed whether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maker education according to the grade of the student and the experience of the maker education. The perception of school library maker education was not more positive than the existing school library education program. However, it is noteworthy that students who experienced school library maker education showed a positive image and high level of perception of the self-efficacy of capacity building in both existing school library education and manufacturing education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These results suggest that school library maker education can improve the overall image of school library education and raise perception of the self-efficacy of capacity building.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activate school library maker education.

이승길(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139-157 https://doi.org/10.4275/KSLIS.2019.53.2.13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진흥기본계획과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주요 연계점으로 학교도서관이 교육공동체에 협력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기본계획과 종합계획 사이에서 18개의 연계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연계점에서는 관종별 도서관이 교육공동체에 협력해야 하며, 학교도서관이 통로 역할을 해야 한다는 내용을 강조하고 있었다. 학교도서관의 교육공동체 협력 방안으로 관종별 도서관 전문성 강화, 학교도서관 교육과정 설정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ink between the School Library Development Plan and the Library Advancement Plan. And to find ways to strengthen the educational community cooperation. As a result of the research, we found 18 connections between the School Library Development Plan and the Library Advancement Plan. In particular, all types of libraries should participate in the Educational Community Cooperation. And emphasized that the school library should act as a gateway.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operation of education community, the library specialization of each kind of library and the establishment of curriculum of school library were suggested.

김진묵(강남대학교) pp.159-178 https://doi.org/10.4275/KSLIS.2019.53.2.15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포털 뉴스를 통해 보도된 특정 국가(체코)에 대한 기사 내용을 기간별로 분석해봄으로써 우리나라와 체코와의 분야별 관계 변화 추이를 고찰해 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국내 포털 사이트 중 하나인 네이버 뉴스 검색을 통해 1990년부터 2019년 3월 31일 현재까지 체코에 관하여 보도된 뉴스 기사를 분석하였다. 1990년부터 5년 단위로 6개의 기간을 설정하여 각 기간별로 200개씩의 체코에 관한 뉴스 기사 총 1,200건을 4개 분야(정치, 경제, 사회 및 문화, 교육)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회 및 문화 분야 기사 건수의 비중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부 주제의 변화 범위 또한 가장 광범위하게 이루어 졌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에서는 양국 간의 보다 긴밀한 관계 구축을 위한 분야별 협력 증진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 in the change of relation between countries (Czech and Korea) through analysis of portal new articl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we analyzed news articles about Czech from 1990 to March 31st, 2019. We divided it into 6 periods by every 5 years, reviewed 200 news articles for each period totaling 1,200 news articles, and categorized them into 4 categories by subject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and education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e subject of society and culture represented the largest proportion of all news articles. We also found that the range of changes in the sub-categories of society and culture occurred most extensively. We concluded the paper with several suggestions that could promote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Czech.

최윤수(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최성필(경기대학교) pp.179-199 https://doi.org/10.4275/KSLIS.2019.53.2.17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특허 문헌 분류에 가장 적합한 방법론을 발견하기 위하여 다양한 자질 추출 방법과 기계학습 및 딥러닝 모델을 살펴보고 실험을 통해 최적의 성능을 제공하는 방법론을 분석하는데 있다. 자질 추출 방법으로는 전통적인 BoW 방법과 분산표현 방식인 워드 임베딩 벡터를 비교 실험하고, 문헌 집합 구축 방식으로는 형태소 분석과 멀티그램을 이용하는 방식을 비교 검토하였다. 또한 전통적인 기계학습 모델과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분류 성능을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분산표현 방법과 형태소 분석을 이용한 자질추출 방법을 기반으로 딥러닝 모델을 적용하였을 경우에 분류 성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섹션, 클래스, 서브클래스 분류 실험에서 전통적인 기계학습 방법에 비해 각각 5.71%, 18.84%, 21.53% 우수한 분류 성능을 보여주었다.

Abstract

In this paper, we propose optimal methodologies for classifying patent literature by examining various feature extraction methods,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models, and provide optimal performance through experiments. We compared the traditional BoW method and a distributed representation method (word embedding vector) as a feature extraction, and compared the morphological analysis and multi gram as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document collection. In addition, classification performance was verified using traditional machine learning model and deep learning model.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best performance is achieved when we apply the deep learning model with distributed representation and morphological analysis based feature extraction. In Section, Class and Subclass classification experiments, We improved the performance by 5.71%, 18.84% and 21.53%, respectively, compared with traditional classification methods.

김남곤(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정성윤(한국건설기술연구원) pp.201-221 https://doi.org/10.4275/KSLIS.2019.53.2.201
초록보기
초록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건설기술자의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해 건설기술정보시스템을 통해 건설기술관련 원문 자료와 정보를 서비스하고 있다. 본 연구는 건설기술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자료와 정보 서비스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정보서비스 품질이 갖는 금전적 가치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DBDC형 CVM을 적용하기 위한 설문모형을 설계하였다. 300명의 건설기술정보시스템의 회원을 대상으로 현재의 정보서비스 품질 평가와 정보서비스 품질을 높이는데 최대로 지불할 의사가 있는 금액을 질의하였다. 조사된 설문결과의 기초통계량을 가지고서 종속변수와 설명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종속변수에 영향을 주는 설명변수들의 통계적 유의성을 살펴보았다. 로짓 모형을 이용하여 정보서비스 품질에 대해 개별응답자들의 지불할 의사가 있는 금전적 가치를 추정하였다. 선행 연구에서는 주로 정보서비스의 사용가치를 측정한 것에 비해 본 연구는 정보서비스 품질을 중심으로 하여 가치를 측정한 것이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Abstract

The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provides the documents and information on the construction technology through the Construction Technology Digital Library System to enhance th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of the construction engine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monetary value of information service quality in order to improve the documents and information service quality provided by this system.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model was designed to apply the DBDC- CVM. We surveyed the members of 300 this systems for the amount of information that they are willing to pay to maximize the quality of information servic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explanatory variables was analyzed with the basic statistics of the survey results. The independent variables affecting the dependent variabl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logit model is used to estimate the monetary value of individual respondents who are willing to pay for information service quality. In previous research, we measured the use value of information service.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shows that the measurement of value based on information service quality is different from previous research.

예상준(한국한의학연구원) ; 장호(한국한의학연구원) ; 김선태(전북대학교) pp.223-246 https://doi.org/10.4275/KSLIS.2019.53.2.22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의학 연구 데이터 관리 및 공유를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를 설계하고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 생산되는 연구 데이터를 대상으로 요소검증을 수행하였다. TTAK.K0-10.0976 표준과 DataCite 메타데이터 스키마,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국가 연구 데이터플랫폼 스키마를 대상으로 메타데이터 요소를 도출하였다. 최상위 요소로서 Identifier를 포함한 27개 요소가 도출되었으며, 필수요소 29개, 권고요소 13개, 선택요소 31개를 도출하였다. 한의학 관련 분야별 전문가 6인을 대상으로 도출요소에 대한 필요성 정도를 조사하였으며, 추가적인 메타데이터 요소를 제안 받아 검토하였다. 한의학 연구 데이터 주제 분류를 제안하였으며, 최종 제안하는 메타데이터 요소로 현재 운영 중인 시스템의 메타데이터 수용여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한국한의학연구원에 구축되는 데이터 리포지터리에 아이템과 파일을 기술하기 위한 메타데이터 스키마로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This research makes the metadata element design for Korean medicine research data management and re-use. Derived metadata elements are verified in research data of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TTAK.K0-10.0976 Standard, DataCite metadata Schema and National Research Data Platform of KISTI were analyzed to derive the metadata elements. Including Identifier, 27 elements were derived as top-level elements with 29 mandatory elements, 13 recommended elements and 31 optional elements. The degree of elements’ necessity and new metadata elements were investigated and suggested in the survey by six domain experts in korean medicine field. In this study subject classification for the korean medicine research data are suggested. The final version of metadata schema was tested and verified by comparing with the legacy metadata fields. The research results can be used to describe the Korean medicine research data: items and files.

박진호((주) 리스트) pp.247-266 https://doi.org/10.4275/KSLIS.2019.53.2.24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새로운 지식정보자원으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데이터셋을 관리․서비스하기 위해 W3C 표준인 DCAT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DCAT을 구성하는 8개의 클래스 중 핵심 클래스 4가지를 중심으로 클래스와 속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디지털도서관에서 DCAT을 기반으로 다양한 데이터셋을 관리․서비스할 수 있는 시스템을 모델링하여 제시하였다. 이 시스템은 원천데이터, 데이터셋 관리, 링크드 데이터 연결, 이용자 서비스로 구분하여 구성하였으며 특히 데이터셋관리에서는 DCAT 매핑 기능을 제시하여 다양한 데이터셋 서비스와 상호운용성 확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W3C standard, DCAT, to manage and service dataset that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as new knowledge information resources. To do this, we first analyzed the class and properties of the four core classes of DCAT. In addition, I modeled and presented a system that can manage and service various data sets based on DCAT in digital library. The system is divided into source data, data set management, linked data connection, and user service. Especially, the DCAT mapping function is suggested in dataset management. This feature can ensure interoperability of various datasets.

진나영(중앙대학교) pp.267-294 https://doi.org/10.4275/KSLIS.2019.53.2.26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1948년에 발행된 생물학자 조복성의 저작인 『곤충이야기』와 『곤충기』를 대상으로 형태 및 체제, 내용 분석을 통해 두 저작의 특징과 구성 및 내용에 대해 심도 있게 살펴보았다. 을유문화사의 병설단체인 아협에서 발행한 『곤충이야기』는 A5판의 국판(菊版), 을유문화사에서 발행한 『곤충기』는 A6판 문고판으로 출간되었다. 또한 『곤충이야기』는 앞표지-표제지-머리말-차례-본문-판권기-광고-뒤표지로, 『곤충기』는 앞표지-표제지-목차-서언-본문-판권기-을유문고 발간사(發刊辭)-광고-뒤표지의 체제로 구성되었다. 두 저작의 내용을 통해 주요 독자층은 『곤충이야기』의 경우 어린이 및 소학생, 『곤충기』는 대학생 및 청년으로 밝혀졌다. 또한 『곤충이야기』에서는 65종 곤충을 조복성이 설정한 11개의 류(類), 『곤충기』는 약 56종의 곤충에 대해 9개의 류(類)의 분류체계에 따라 설명했다. 두 저작에 수록된 곤충의 수와 분류체계의 명칭은 서로 달랐으나 『곤충이야기』의 분류체계 대부분이 『곤충기』의 것에 수용됨을 확인했다.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analysis on forms and contents of Story of Insects (Gonchung Iyagi) and About Insects (Gonchung-gi), writings of biologist Jo Bok-seong published in 1948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two books and compare them. Story of Insects was made in the form of front cover-title page-foreword-table of contents-main text-copyright clause-advertisement-back cover, with the book size being A5 format. Contents of the book were divided into nine group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65 species insects, to describe their characteristics. While, About Insects was made in the form of cover-title page-foreword-table of contents-main text-copyright clause-publication message of Eulyoo Mungo-advertisement-back cover, with the book size of A6 format. Contents of the book were divided into the author’s own 11 group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56 species insects, to describe their characteristics. About Insects being Eulyoo Publishing Co. and Story of Insects being Association of Joseon Children’s Culture (abbreviated as Ahyeop) - sister company of Eulyoo Publishing Co. - but with the same basis.

한미경(경기대학교) pp.295-312 https://doi.org/10.4275/KSLIS.2019.53.2.295
초록보기
초록

이 논고는 『사고전서총목제요』 문헌 출처의 분류와 종류의 조사 및 분석을 목적으로 진행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고전서총목제요』 문헌 출처의 분류를 크게 국가본, 지방본, 개인본과 관원본 및 사회유통본의 5종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내부본과 칙찬본 등은 국가본으로 분류하고 각 지방과 지역의 각성채진본을 지방본으로 분류하였다. 셋째, 家藏本으로 명명하여 구별이 명확하지 않았던 개인본과 관원본은 전자는 省名과 장서가의 이름으로 조합된 경우, 후자는 관직명과 성명으로 조합한 경우로 분류하였다. 넷째, 사회유통본은 당시 사회에서 유통되던 통행본 외에 구입본을 포함하였다. 다섯째, 『사고전서』에 채록된 문헌은 전국적 규모이며, 문헌수는 지방본, 국가본, 개인본, 관원본, 사회유통본의 순으로 많음을 밝혔다. 여섯째, 1) 관원본의 관직명, 2) 개인본 중의 상호명, 3) 방각본 대신 통행본 명칭을 취하고 있는 점을 통해 『사고전서총목제요』 문헌 출처 명명에 다소 명분을 중시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view to investigating and analyzing classification and types of literature sources of Sikuquanshuzongmutiyao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iterature sources of Sikuquanshuzongmutiyao were classified mainly into five types including national version, provincial version, individual version, public official version, and societal distribution version. Second, court and Emperor’s version was classified as national version, while literatures collected from state and province were classified as provincial version. Third, each of individual version and public official version, which were not clearly differentiated from each other due to their being named private version, were distinctively and separately classified. They were classified into individual version if associated by province name and book owners’ names and into public official version if associated by public post names and public official’s name. Fourth, societal distribution version included distributed and purchased versions in the society of those days. Fifth, in terms of the number of literature listed in all descriptions of Sikuquanshu, provincial version, national version, individual version, public official version, and societal distribution version were more found in the descending order. Sixth, it was found out that causes are being a little more stressed in the description of reference names of Sikuquanshuzongmutiyao through 1) public post names on public official version, 2) company names on private version, and 3) names of societal distribution version instead of sales version.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