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현장의 직무 분석을 통한 직종별 핵심 직무와 직무별 전문성의 정도, 그리고 조직체계상 도서관 유형별 해당 직무를 도출해내고자 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인력구조 개선의 정책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직무분석에 대한 조사는 경기도 공공도서관에 근무하는 사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루어졌으며, 설문조사는 중견급 이상의 공공도서관 사서 49명이 참여하였다. 도서관 과업의 21.1%는 직무의 중요성이 매우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전체 과업의 69.6%는 높은 전문성을 요하는 과업으로 인식되었고, 도서관 과업의 73.1%가 사서직에 의하여 수행되어야 하는 직무로 인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re tasks, degree of professionalism on tasks, and job importance recognized by the library staff through job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take advantage of political materials about the staffing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of public libraries in South Korea. Survey to target 49 librarians of public libraries in Gyeonggi Province was performed to job analysis. The 21.1% of library tasks was confirmed to be a high job importance, and the 69.6% of entire tasks had the high professionalism. And library staff members recognized that 73.1% of library tasks should be performed by librarians.
본 연구에서는 안전행정부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지침을 기반으로 국내 도서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접근성을 평가한 후, 평가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고자 시각장애인과 비장애인이 교차로 접근성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체 텍스트 제공은 21개 도서관(31%)만이 제공하고 있으며, 메인화면, 자료검색, 정보안내 등 모든 영역에서 대체 텍스트를 제공하는 도서관은 1개관뿐이다. 둘째, 국내 도서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텍스트 위주의 콘텐츠가 대부분이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지침에서 권고 또는 준수 기준으로 제시하는 자막, 수화 등의 제공, 깜박거림의 사용제한, 배경음 사용금지 등은 연관성이 떨어졌다. 셋째, 장애인 이용자가 도서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고자 할 때 필요한 대체 텍스트 제공, 초첨 이동, 운영체계 접근성 기능 지원, 누르기 동작 지원, 컨트롤 간 충분한 간격 유지, 알림 기능은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넷째, 장애인들이 도서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도서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기준 개발 등의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This research evaluates the accessibility of the mobile applications for the South Korean libraries based on the accessibility guideline from the Ministry of Security and Public Administration. In order to enhance the credibility of the evaluation, this current research covers both the accessibility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accessibility for the people without disabilities. The research found four main results. First, we found that only 21 libraries (31%) provide alternative texts. Out of the 21 libraries, only one provide alternative texts across all sections of the mobile applications, including the main page, data search, information assistance, etc. Second, most of the mobile applications provide contents in texts, and the subtitles, sign language, blinking and background music provided as required or recommended standard by the guideline lack correlation. Third, alternative texts, focus movement, accessibility of operating system, button motion control, spacing between control and alarm functions must follow the standard guideline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to use the mobile applications. Fourth, follow-up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ccessibility standard for library mobile application is necessary in order to enable people with disabilities to freely use the library mobile applications.
이 연구는 심리 및 신체적으로 성장단계에 있는 초등학교 6학년 어린이를 대상으로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을 적용한 독서지도를 실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을 적용한 독서지도의 심리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의 품성 및 인성발달을 위하여 필요한 심리요인들로서 자기격려, 자기효능감, 사회성을 본 실험연구의 검사도구로 채택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을 적용한 독서수업을 실행하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2개 학급을 편의모집하여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은 남학생 14명, 여학생 11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자기격려, 자기효능감, 사회성 척도를 사용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발달정도를 측정하였다. 또 실험집단에는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을 적용한 독서지도를 실험 처치하여 결과를 공분산분석(Anova)을 통하여 통제집단과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실험집단에서 자기격려, 자기효능감, 사회성 모두 향상되었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reading guidance program that applied the Enneagram of Personality to a group of 6th 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three variables with the highest correlation—self-encouragement, self-efficacy and sociality—were selected as the assessment tools for the present experimental study. Based on a group of 6th year elementary students as participants, the reading guidance instructions were given applying the Enneagram of Personality, an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those instructions,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assigned to either an experimental or a control group.
본 연구는 PBL을 적용한 사서교사와 중국어 교과교사 협력으로 이루어진 수업의 사례를 분석하고 학교도서관에서 PBL에 의한 협력 수업을 운영할 때 바람직한 수업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의도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인문계 S고등학교 도서관에서 이루어진 PBL 문제 제시 방법, 차시별 수업 내용, 학생 결과물의 사례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PBL 수업에 참여했던 고등학교 2학년 학생 101명을 대상으로 교과 흥미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 결과, PBL에 참여한 후에 학생들의 학습관련 성취욕, 학습 실행력, 흥미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d cases of collaborative classes between a teacher librarian and Chinese language teacher by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PBL) and intended to propose a desirable direction for class in operating collaborative classes of PBL.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methods to raise problems by BPL at the library of S High School, class content by each round of class, and cases of students’ achievements were presented. In addition, statistical analysis of interest in subjects on 101 students in their sophomore year who had participated in PBL clas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 students’ learning-related desire to accomplish, executive ability of learning, and interest were significantly improved.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어린이 대상 독서프로그램의 효과를 정성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독서프로그램의 성과 측정 영역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3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사업에 참여하는 도서관의 독서프로그램어린이들, 프로그램 담당자들과 면담 및 관찰을 하였고 독서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프로그램에 참가한 어린이들은 대체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며 독서프로그램의 효과 측정 영역이 책 읽기와 책에 대한 태도, 도서관과 사서에 대한 인식, 독서프로그램의 참여도, 소리 내어 읽는 능력, 이야기를 듣고 이해하는 능력, 공격성, 자신의 감정 표현 능력, 발표력, 집중력, 잠재력으로 나타났다. 또한 독서프로그램의 효과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사서의 적극적인 노력, 지역아동센터의 환경, 학년 구성, 강사의 수업 구성 방식, 독서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책의 선정, 독서프로그램 참가 어린이의 독서능력 및 독서에 대한 관심, 자유시간의 제공 여부를 들 수 있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public library reading programs for children in qualitative way and to apply the outcomes to identify areas to measure the success of library reading program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2013 Reading Books with Libraries’ program and adults who were in charge of managing the program. Observations on the program were also conducted. The findings indicate that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2013 Reading Books with Libraries’ program positively changed in various aspects. Selected areas to measure the success of library reading programs include: reading behavior; attitude to books; awareness of libraries and librarians; participation of library reading programs; the ability to read aloud; the ability to comprehend stories by listening; aggression; the ability to express one’s own feelings; speech ability; concentration power; and undiscovered potential. The elements that affect the success or failure of library reading programs include: librarian’s enthusiasm on running the reading program; environmental condition of the community child care center; age differences between child participants; running style of the instructor’s program; selection of books; child participants’ reading abilities and interests in reading; available time for free voluntary reading.
도서관은 지역사회의 지적요구에 부응하고 정보제공, 문화향유, 평생교육 제공 등의 역할을 하는 사회적 기반 시설로서 그 중요성과 역할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 그러나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한정된 재원으로 다양화․고급화된 도서관 이용자의 요구 및 새로이 부여받은 도서관의 역할 수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핵심인프라 확충과 운영의 내실화를 위한 재원확보의 한 방안으로 도서관 기부문화 정착을 제안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도서관에의 기업기부사례를 조사․분석함으로써 기업의 기부목적, 기부내용, 기부대상, 기부캠페인 여부, 건립 및 리모델링된 도서관 수, 그리고 기업기부로 인해 도서관이 얻은 효과 등을 밝혔다. 본 연구결과는 이후 도서관이 기부기업을 유치하는데 있어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Library is a social institution that satisfies the intellectual needs of the community and provides information, cultural enjoyment, and continuing education to the community. However, it is true that a library may face with difficulties in satisfying the diverse and advanced needs of its users and performing its newly acquired roles because of the limited financial resources of state and local government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the introduction of corporate donations as one of the options for library funding, both for expansion of critical library infrastructure and for the internal stability of library operations. To this end, this study determined corporate donation goals, donation targets, campaign donations, the number of libraries being built and renovated, and the effects on libraries that obtained corporate donation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known corporate donation ca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by libraries hoping to attract corporate donations.
이 연구는 대구광역시 공공도서관의 겨울방학 프로그램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그 이용행태를 분석하고, 프로그램의 서비스품질에 대한 지각, 이용자 만족도, 충성도에 관련된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의 8개 공공도서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겨울방학 프로그램에 참여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배포하여 회수한 444부의 설문지 중 300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겨울방학 프로그램 참여자는 도서관을 방문할 때 가족과 방문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고, 겨울방학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된 경로도 부모님을 통해 참여하게 된 경우가 많았다. 겨울방학 프로그램의 이용자들은 어린이도서관의 다른 서비스이용자는 물론 공공도서관의 일반 성인이용자들에 비해 서비스품질에 대한 지각과 만족도, 충성도의 거의 모든 측면에서 그 값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품질과 만족도, 충성도에 대한 구조방정식모형의 분석에서는, 서비스품질의 3개요인인 프로그램 내용/강사, 지원/서비스, 프로그램 시설 요인은 전반적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만족도와, 서비스품질 요인 중 지원/서비스 요인이 충성도에 직접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d the general user behaviors and the perceptions on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loyalty of the users of the special winter vacation programs at the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Among the 444 collected questionnaires from the participants in the programs at 8 public libraries in the City, a total of 300 were analyzed for the study. As results, many participants have visited the libraries with their family members, and have applied the programs through the helps from their parents. They rated higher the service quality, the satisfaction, and the loyalty than other child users of the children’s services as well as the adult participants of the cultural programs and of the public libraries. In the analy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on the service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all of the service quality factors of special winter vacation programs, namely program contents and instructors, staff supports and services, and facilities and equipment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user satisfaction. Staff supports and services factor of the service quality has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loyalty along with the overall satisfaction, but program contents and instructors factor and facilities and equipments factor have no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loyalty.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층의 온라인 정보활동이 삶의 만족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온라인 정보활동은 크게 ‘정보활용수준’, ‘정보활용시간’, ‘정보기기활용수준’으로 범주화하고, 삶의 만족감은 행복감, 건강상태, 경제상태를 포함하여 측정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한 490부의 응답지 중 불성실한 응답지를 제외한 총 341부를 SPSS 19(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와 Amos 통하여 연구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고령층의 온라인 정보활용 수준과 온라인 정보활용 시간은 각각 정보기기활용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보기기를 활용하는 수준이 높을수록 자신의 삶의 만족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온라인 정보활용 수준과 온라인 정보활용 시간은 그들의 삶의 만족감에는 직접적인 영향은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online information activities of older adults and their life satisfaction. Online information activities were categorized into ‘information use ability’, ‘information use time’, and ‘information device use ability’, and the life satisfaction included such as ‘feeling of happiness’, ‘physical condition’, and ‘economical condition’. A total of valid 341 responses were examined and analyzed to test the research model using SPSS 19 and Amos. It found that the online information use ability and the online information use time had a positive effect to the information device use ability; it showed that the higher the information device use ability the higher their life satisfaction. However, the online information use ability and the online information use time had no effect to the older adults’ life satisfaction in this study.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십진분류법의 디지털 관련 항목명의 확장 전개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첫째, 듀이십진분류법과 한국십진분류법의 디지털 관련 항목명이 전개되어 온 과정을 분석하였다. 둘째, 미국의회도서관 주제명표목표와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의 디지털 관련 주제를 분석하였다. 셋째, 듀이십진분류법 제23판과 미국의회도서관 주제명표목표에 전개된 디지털 관련 분류 항목명을 비교 분석하고, 한국십진분류법 제6판 본표에 전개된 분류항목명과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십진분류법 제6판에 전개된 디지털 관련 항목명이 12개 항목으로 디지털 관련 자료의 합리적인 분류가 어려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KDC의 디지털과 관련된 항목명을 포함주기와 분류지시주기에 추가하거나 새로운 분류항목으로 확장 전개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expansion of headings for digital trends of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first analyzed the change process of classification items related to digital resources in DDC and KDC. Second, subject names related to digital in LCSH and Korean National Library Subject Heading were analyzed. Third, comparisons between the items related to digital of DDC 23rd with LCSH and KDC with Korean National Library Subject Heading were conducted. The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was identified that KDC 6th edition faces with difficulties in reasonable classification because item names related to digital of KDC 6th edition have 11 items. Therefore, the item related to digital has to be expanded to new classification item name and has to add include notes and class here notes in KDC.
본 연구는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 정보광장 이용자를 대상으로 이용자만족도 설문조사를 통하여, 현재 정보광장의 서비스가 이용자의 만족도를 얼마나 성취하고 있는가를 분석하고, 도서관의 공간별 이용행태를 분석하였다. 이용자만족도는 정보광장 11개 공간/시설에 대해 이용자들이 지각하는 전반적인 만족도를 측정할 수 있게 하였으며, 각 공간별 이용자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정보광장 개관 이후 실시된 이용자만족도와 현재 이용자 만족도의 점수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정보광장에 대한 이용자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개관 이래 큰 변화 없이 지속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정보광장의 공간 중 ‘디지털열람실’의 만족도 점수가 83.8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UCC 스튜디오’의 만족도가 70.8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user satisfaction and information behavior of information commons in the National Digital Library (NDL) of Korea through survey method. It analyzed service quality factors that affect the overall user satisfaction, and users’ informa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physical spaces/facilities in the information commons. User satisfaction factors were developed to measure library satisfaction in all aspects of the eleven physical spaces/facilities of information commons service, and information behavior on eleven physical spaces/facilities in information commons were explored by users’ character. According to survey findings, overall level of user satisfaction was maintained highly since the beginning of NDL. In particular, the facility of ‘Productivity Computer Cluster’ was ranked highest as 83.8 and the ‘UCC Studio’ was ranked lowest as 70.8 among the eleven facilities in information commons.
본 연구는 해외의 공공도서관 기반 건강정보서비스 사례를 조사하여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건강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5개의 웹사이트를 조사하였고, 총 15개의 콘텐츠를 추출할 수 있었다. 국내 공공도서관의 건강정보서비스 도입을 위해 각 콘텐츠의 유용성을 분석한 결과, 모든 콘텐츠가 보통 이상으로 유용하게 조사되었으며, 이 중 핵심적으로 작용하는 콘텐츠는 ‘질병, 투약, 건강관리 정보’, ‘건강강좌, 무료검진 정보’, ‘암 관련 정보’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contents of websites which provide health information service. The study reviewed 5 websites and selected 15 sample contents among them. Based on the case model that extracted the contents from the websites, this research analyzed the usefulness of the contents. As a result, the usefulness of all the contents are rated above the average. Among the contents, The active core contents include ‘information for librarians’, ‘information bout cancer’, ‘health related database’, and ‘multi-lingual health information’.
중국 명대에 간행된 『석씨원류』는 우리나라에서 불암사와 선운사에서 2회 간행되었다. 그런데 불암사판은 간기가 분명하여 판각 연대를 정확하게 알 수 있으나, 이에 비해 선운사판은 간기에 간행사찰만 명시되어 그 판각 시기에 문제가 있었다. 그리하여 이 연구에서는 선운사의 사적기와 국립도서관 소장본 등 관련 자료를 검토한 결과, 종래 통용되고 있는 1648년이 아니라 1710년에 판각되었다는 새로운 사실을 밝혀냈다.
Seokssiwonryu originally published in China’s Ming Dynasty was published twice in our country. While the engraved period of Bulamsa Temple version was clearly known from its obvious colophon indication, that of Seonunsa Temple version was not clearly identified with its colophon mentioning only its publishing temple.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relevant data such as Seonunsa Temple’s history of its records and collection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as a result found a new fact that it had been engraved in 1710 not in 1649 as previously known.
문화지체 현상을 겪고 있는 G시에서 지역사회의 문화지체 현상을 극복하고, 지역이기주의를 벗어나는 방안으로 독서문화프로그램과 콘텐츠를 개발하고 운영하는 정책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독서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지역공동체 의식분석과 독서문화 콘텐츠 요구사항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는 공공도서관이 지역사회 소통의 장으로서의 역할이 강화된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G시 시민의 공동체 의식 및 요구사항 분석, 공동체의식 관련 독서콘텐츠 요구사항을 분석하였다. 도출된 요구 주제로는 경제부문 주제로 실업, 빈곤, 고령화, 주택문제 순이며, 환경부문에는 환경오염, 에너지, 인권부문에는 장애인, 다문화, 교육부문에는 학교폭력, 사교육, 참교육순이다. 이에 준하여 도서와 영상자료 목록과 초록 221건, 독서문화프로그램 4개가 개발 제시되었다.
Public policies in regard to developing reading culture programs and the contents, and in running public libraries have been used to overcome existing social issues such as regional self-centeredness and cultural lagging. It means that public libraries are playing an important role to encourage communications within local communiti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herefore to analyze the concept of local community, and develop reading culture and contents to reinforce the concept. This research also targeted to analyze the required contents in reading culture. Through the case study of “G” city, the research analyzed their citizenship and sense of local community and the requests. As a result, the requited subjects were for economics, unemployment, poverty, aging, and housing order. For the subjects of environment were environment pollution and energy order. For the subjects of human rights, disabilities, and multi-cultural were requested. For the subject of education, school violence, tutoring, and truly teaching were requested. Based on the requirements, 221 items of reading lists, DVD clips, and abstracts are developed as well as 4 programs of reading culture.
연구개발 과정에서 산출되는 다양한 연구기록물의 효율적인 관리 및 활용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최근 들어 많이 진행되고 있다. 그 중 연구기록물의 유형 분석 및 구조화 방안에 대한 연구는 효율적인 지식전수체계를 위하여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기록물 통합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연구기록물의 특성을 반영한 효율적인 기록물 구조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첫째, 원자력기술 연구개발 과정에서 생산되는 광범위한 연구기록물의 유형을 분석하고 체계화하였다. 둘째, 연구기록물의 이용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활용성 측면에서의 보다 효율적인 콘텐츠 구조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연구기록물을 통합적이고 유기적으로 연계시키고자 전체 기록물을 TOC(Table of Contents)에 기반 하에 데이터 연계, 검색 및 활용이 가능하도록 구조화를 시도하였다.
Many researches have been processing on research records management and way of service for efficient usage of various records from R&D process. Especially, a study on type analysis and structured method of research records is very important for efficient knowledge transfer system. This study, as a basic study for integrated research record management system, is about how to structuralize records efficiently reflecting features of research records. First, analysis and systematization of broad records type made from atomic energy technology R&D process were conducted. Second, efficient methods for contents structuralization in terms of usage to maximize usage of research records were studied. This research tried to structuralize all records based on TOC enable to link, search and use of data for reflecting of integrated and systematic structure which is a feature of research record.
본 연구의 목적은 이용자가 공공도서관을 통해 받는 혜택이 무엇이며 얼마나 누리고 있는가를 설명하기 위함이다. 주로 국외 문헌을 통해 밝혀진 공공도서관의 혜택을 국내 도서관 이용자의 시각에서 재조명하고 해석하며 혜택의 수혜 정도를 도서관 이용자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S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도서관 이용으로 인해 얻는 혜택과 그 수준을 측정하였다. 개방형 질문지를 통해 자유롭게 기술된 이용자의 응답을 키워드로 추출하여 혜택의 유형과 내용을 파악하였고 향유지표를 기반으로 한 13개 혜택 항목을 통해 혜택의 수준을 파악하였다. S도서관 이용자들은 도서관 이용으로 독서, 경제적 이익, 개인적인 충족, 위안, 평안, 만족감 순으로 혜택을 인식하였다. 향유결과지표를 통해 본 이용자의 혜택 수준은 더 많은 독서(4.31)와 경제적 이익(4.14)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혜택은 성별과 학력별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연령대와 직업별로는 혜택의 수준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가족간의 유대, 아이의 독서, 문화를 즐김, 업무능력의 향상과 같은 혜택이 연령대별로 차이가 나타났고 경제적 이득에 대한 혜택은 주부와 취업준비생과 같은 비경제활동 인구가 가장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benefits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While many studies had focused on measuring the economic value,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how do user benefits from public library service and how are these benefits associated with major demographic factors.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two question formats, which is open-ended and 5 Likert scale on ‘enjoyment indicators’ in earlier studies. Total 313 responses data were collected in S public library in Seoul. As a result, respondents most frequently perceived benefits from library services is reading, saving the money and relaxation. Also, user’s benefits level had measured based on the ‘enjoyment indicator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pondents perceived benefits from library for reading (4.31) and saving the money (4.14). The results show the public libraries’ benefits differ in age and careers in ‘family relations’, ‘reading of children’, ‘cultural life’, ‘career improvement’, and ‘saving the money’.
본 연구는 그림책 서평의 발전적 토대를 마련하고 서평의 생산자로 사서의 전문영역을 확장하는데 기여하고자 국내 정기간행물에 나타난 그림책 서평을 내용 분석하였다. 문헌연구와 델파이 기법을 통하여 바람직한 그림책 서평의 기준을 제시하고, 국내 서평매체에서 그림책 서평기준에 맞는 서평을 기술하였는지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고 향후 그림책 서평의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림책 서평의 분석 결과 그림책 서평의 바람직한 기준에 맞는 우수한 서평이 더 생산되어야 하며, 기술적 서술보다 평가적 서술의 내용이 많아져야 한다. 또한 매체별로 서평자의 직업에 따른 서평의 내용이 달라지므로 서평자의 문학과 미술에 관한 전문지식이 필요하다. 서평의 분량이 길수록 서평기준에 맞는 우수한 서평이 생산되므로 일정분량이상의 서평이 필요하며, 서평 작성자로서 사서의 역할이 더욱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the picture book reviews shown in Korean periodicals were analyzed to provide the developmental foundation for picture book reviews and expand the professional area of librarians as the producers of book review. Through the literature research and the Delphi Technique the desirable standard of book reviews was suggested, the contents in domestic book review mediums were analyzed for the rightness of describing based on the standard of the book review and henceforward the way of development was suggested. The result from analysis of book review showed that the outstanding book reviews should be more produced based on the desirable standard of book review and the evaluative statements should be developed more than the descriptive statements. Depending on the mediums the contents of the book review were different by the book reviewers’ occupations, so the book reviewers should develop their professional knowledges in literature and art. Because the longer book review made the outstanding book review with the rightness of the desirable standard of book review, the certain quantity of book review should be needed and the role of librarians as the book reviewers should be further extended.
본 연구는 구조적 정의에 의한 학술 용어 사전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해 학술용어의 의미관계 형성에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찾아내고 이러한 요인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7년부터 2011년 사이에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에 등재된 학술논문에서 학술논문 주제어를 추출하여 이를 대상으로 주제복합성, 언어 네트워크 특성, 출현빈도, 출현패턴을 분석하고 구축된 STNet의 의미관계 형성정도인 용어의 의미적 연결관계 노드의 수와 유형의 수와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았다. 가설 검증을 통해 구조적 학술용어사전의 구축에 있어 의미관계 형성정도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매개 중심성, 출현빈도, 구조적 공백성의 효과크기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용어의 중요성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출현빈도를 통한 방법 외에도 연결정도 중심성, 근접 중심성, 매개 중심성, 위세 중심성과 같은 측정방법에 따라서도 판단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주제복합성은 직접적으로 의미관계 형성정도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용어의 근접 중심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크게 4가지의 요인을 고려하여 용어를 선정할 경우 의미관계 형성정도는 높아질 수 있는 것으로 파악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금까지 용어를 선정하는 프로세스의 주된 방법론인 용어의 출현빈도를 활용하는 방법 이외에도 용어 네트워크상에서의 용어의 위치나 주제복합성 같은 방법론을 적용하여 용어를 선정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전문용어 사전을 구축할 때 용어의 네트워크에서의 매개 중심성, 출현빈도, 구조적 공백성의 효과크기, 용어의 주제복합성을 면밀히 판단하여 다각도로 용어를 선정할 경우 전문용어 사전의 질적인 향상과 완성도가 높아질 것을 기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factors to affect on the formation of semantic relation from terminology and what is to be affected by these factors to build the database scheme of terminology dictionary by a structural definition. In this research, 826,905 keywords of 88,874 social science articles and 985,580 keywords of 125,046 humanities science articles in the KCI journals from 2007 to 2011 were collected. From collected data, subject complexity, structural hole, term frequency, occurrence pattern and an effect between the number of nodes and the number of patterns which were derived from the semantic relation of linked terms of established ‘STNet’ System were analyzed. The summarized results from analyzed data and network patterns are as follows. Betweenness Centrality, term frequency, and effective size affect the numbers of semantic relation node. Among these factors, betweenness centrality was the most effective and effective size. But term frequency was the least effective. Betweenness Centrality, term frequency, and effective size affect the numbers of semantic relation type. Term frequency is the most effective. Therefore, when building a terminology dictionary, factors of betweenness centrality, term frequency, effective size, and complexity of subject are needed to select term. As a result, these factors can be expec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erminology dictionary.
This pilot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mental demand on a Web searcher’s thoughts, emotions, efforts, and performance in Web searches in order to address whether or not there is any difference between searchers exposed to mental demand manipulation and searchers not exposed.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via think-aloud protocol (TAP) with a dual-task in experiments and interviews with 10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the searcher’s thoughts, relevance judgment was found to be hindered by mental demand. For the searcher’s emotions, the experimental group was more frustrated than the control group. With respect to the searcher’s efforts, searchers for the experimental group with mental demand manipulation were more likely to spend more time, make fewer queries, and visit fewer pages but work harder to find more relevant information that they needed. Lastly, with regard to the searcher’s performance, it is likely that performance was highly dependent upon the completion of the search tasks for both groups. The NASA-TLX six components and cognitive load scores of searchers did not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utcome. The findings support the use of a dual-task methodology as a promising approach for the assessment of cognitive load induced by complex Web searches.
도서관 관리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조직의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관리자가 어떠한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보이느냐에 따라 조직의 구성원들을 독려하거나 조직을 운영하는 방식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도서관 관리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직원의 직무성과와 역할갈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경영조직으로서의 도서관과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개념적 배경을 바탕으로, 도서관 관리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 직무성과 그리고 역할갈등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설문조사법을 이용하여 서울시에 소재한 8개 공공도서관에 근무하는 사서 127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된 설문내용은 SPSS 20 통계패키지를 이용한 통계분석으로 처리하여 각 변인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도서관 관리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직원의 직무성과와 역할갈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토론을 전개하였다.
The library manager’s communication ability can influence organizational management because the types and ways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is carried out can be determined by the manager’s communication ability. In that,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library manager’s communication ability on job performance and role-conflict of the library staff. To do so, on top of the conceptual framework of communication and the library as an organization, this study builds theoretical underpinnings on the library manager’s communication ability, job performance and role-conflict of the library staff. Using a questionnaire survey method, this study surveys 127 library staff from 8 public libraries in Seoul, statistically analyzes the response through the SPSS20 statistical package,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and among the variables. Based on the analysis, a discussion on the influence of the library manager’s communication ability on job performance and role-conflict of the library staff follo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