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공간구성에 대한 기획, 디자인 및 건축에 대한 기본 지식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해, 자기설계전공 기반의 도서관공간기획전공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교육목표, 인재상, 전공역량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분석, 전문가 의견수렴, 그리고 수요자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공간기획전공에 요구되는 인재상은 공간기획인재, 디자인적사고인재, 창의적실무인재로 파악되었다. 둘째, 인재상별 전공역량은 도서관환경 분석 능력, 공간콘셉트도출 능력, 이용자 요구 분석능력, 이해관계 조정 능력, 공간구성능력, 공간디자인 이해 능력, 실무 적용 능력으로 총 7개의 역량을 도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향후 도서관공간기획전공의 교육목표, 인재상, 인재상에 부합한 전공역량을 실현할 수 있는 교과목이 개발되어야 하며, 도서관공간기획전공이 자기설계기반의 전공으로 학생들이 실패하지 않고 적응할 수 있도록 이에 대한 운영 방안이 설계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In this study, in order to foster human resources equipped with expertise in libraries and spatial organization that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libraries, planning, design, and construction, the self-designed library space planning major was developed and the education goal, human resources award, and major capabilities were presented. To this end, the relevant literature analysis, expert opinion collection, and consumer survey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erson-in-person awards required for library space planning were identified as space planning personnel, design thinking personnel, and creative working people. Second, the person-specific majors were derived with the ability to analyze the library environment, ability to express spatial concepts, ability to analyze user needs, ability to coordinate interests, ability to understand spatial design, ability to understand spatial design, and ability to apply practical applications. Based on the plan, subjects should be developed that can fulfill the educational goals of the future library space planning major, human resources award, and human resources status, and operation plans should be designed so that the library space planning major can adapt students without fail due to its own design-based major.
정책연구기관에서 생산되는 지식정보자원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연구과정의 지식정보자원, 연구결과의 지식정보자원, 연구결과 가공의 지식정보자원으로 구분하고, 13개 정책연구기관 홈페이지에서 지식정보자원의 명칭과 메타데이터 항목과 8개 유형별 특화 지식정보자원의 제공 현황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정책연구기관 홈페이지가 관련분야 지식자원관리시스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 제언으로, 동일한 연구주제에 따른 연구결과물의 종합적 검색시스템 구성, 정책정보의 지식맵 개발, 정책당국자용 연구결과물의 압축 가공, 주제 전문가 데이터베이스 구축, 영상보고서의 제작, 메타데이터 표준의 개발, 주제 분야별 통계 데이터베이스와 지표 등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Knowledge information resources produced by policy research institutes were categorized into knowledge information resources derived from research processes, knowledge information resources derived from research results, and knowledge information resources processed from research results, respectively. The names of these knowledge information resources and the metadata items were investigated on 13 policy research institute websites.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d the provision status of 8 Knowledge information resources specialized by type on the websites and confirmed that they work as knowledge resource management systems for each corresponding area.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constructing a collective search system for research results based on the same research topics, developing a knowledge map of policy information, compressing reports for policy makers, building subject expert databases, producing video reports, developing metadata standards, and creating statistical databases and indicators by subject areas.
온톨로지는 특정 분야의 특정 지식과 관련된 용어 및 용어 사이의 관계를 정의하는 복합 구조 사전이다. 국내외로 다양한 온톨로지 구축의 시도가 있었으나 대규모의 범죄 수사기록을 온톨로지로 구축하고 이를 통한 서비스를 구현한 사례는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비정형 데이터인 범죄 수사기록 문서 중 침입 절도 분야로부터 추출한 정보를 통해 온톨로지를 구축하고, 온톨로지 기반의 검색 서비스와 범행 장소 추천 서비스를 구현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검색 서비스의 성능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건 검색에 대한 정확도 측정 방법 중 하나인 Top-K 방식의 정확도 측정을 실험하였고, 실험 집합에 대하여 최대 93.52%의 정확도를 얻었다. 또한, 범행 장소 추천 서비스의 성능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 결과, 실험 데이터셋의 전체에 대해 적합한 단서 필드 조합을 얻어냈으며, F1-measure 76.19%의 성능으로 데이터베이스 내의 범행 장소 필드 정보를 교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n ontology is a complex structure dictionary that def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rms and terms related to specific knowledge in a particular field. There have been attempts to construct various ontologies in Korea and abroad, but there has not been a case in which a large scale crime investigation record is constructed as an ontology and a service is implemented through the ontology. Therefore, this paper describes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n ontology based on information extracted from instrusion theft field of unstructured data, a crime investigation document, and implementing an ontology-based search service and a crime spot recommendation service. In order to understand the performance of the search service, we have tested Top-K accuracy measurement, which is one of the accuracy measurement methods for event search, and obtained a maximum accuracy of 93.52% for the experimental data set. In addition, we have obtained a suitable clue field combination for the entire experimental data set, and we can calibrate the field location information in the database with the performance of F1-measure 76.19% Respectively.
이 연구는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6.4 지방선거) 기간 동안 트위터 정치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한 오피니언 리더 이용자들의 정치적 정보행동을 탐구하였다. 13명의 오피니언 리더 이용자를 대상으로 반구조화 심층면담을 진행하였으며, 피면담자는 이메일, 스카이프(Skype), 면대면 3가지 양식 중 가장 선호하는 방식을 선택하여 면담에 참여하였다. 면담내용은 정보세계이론의 5가지 개념(사회적 역할, 규범, 정보가치, 정보행동, 경계)을 조작화하여 만든 코드북과 근거이론을 함께 사용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오피니언 리더 이용자들은 그들이 속한 복수의 사회적 세계에서 비롯된 사회적 역할 중 특정한 역할을 선택하여 전시하고, 그에 수반된 규범에 따라 평가한 정보가치를 기준으로 정치적 정보행동(선택적 정보공유, 정보회피, 정보교환)에 참여하였으며, 다른 정보세계와 교차하는 경계에서 다양한 충돌과 협력의 상호작용을 경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South Korean citizens’ political communication and deliberation through Twitter during the 2014 General Election, focusing on influential opinion leaders’ political information behaviors. Individual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administered with 13 opinion leaders using the multiple interview modes of email interviews, Skype interview and face to face interviews. Through the analytical lens of the theory of Information Worlds, the chosen social types and social norms of opinion leaders impacted their political information behaviors, including how they assessed, shared, exchanged, or avoided information, and, in turn, created boundaries between and around their information worlds that allowed for both conflict and syner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propose to improve the features of a simple keyword search box and faceted navigations of KOLIS-NET operated by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 record group of ‘2011-2020 (776)’ under ‘Publication date’ facet, out of 3,702 records retrieved from a search of ‘김훈’, were examined.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Five facets including ‘Format’, ‘Publication date’, ‘Subject’, ‘Language’ and ‘Country’ are used to limit search results only in the first step, and multiple facets cannot be simultaneously used; (2) With ‘Publication date’ facet formed in the span of ten years, a separate publication year cannot be identified; (3) ‘Subject’ facet based on KDC limits the results only in broad subject classes without sub-facets; (4) Under ‘Format’ facet, a special format such as large print texts cannot be identified; (5) Without ‘Author’ facet, authors cannot be identified; and (6) ‘Publication date missing’, ‘Language missing’, and ‘Miscellaneous subject’ record groups cannot be clicked and displayed, a navigation to-and-fro between a brief list and bibliographic records is not smooth, etc. Therefore an application of multiple facets in all stages of limiting the search result, a construction of sub-facets for ‘Publication date’ and ‘Subject’ facets, an accurate description and coding of ‘General Material Designation’, etc. are suggested to improve KOLIS-NET’s faceted navigation.
본 연구는 도서관의 고령자서비스 가이드라인 수립에 필요한 내용과 고려사항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고령자 서비스 관련 국내 법․정책 및 국외 가이드라인과 사례를 조사 분석하고, 수도권 사서 10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고령자서비스 가이드라인에는 정보자원, 인적자원, 시설 및 설비, 서비스 및 프로그램, 홍보 및 마케팅의 영역에 따라 세부 지침을 두고, 고령자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향상하고 사서가 고령자 응대에서 느끼는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포함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requirements and considerations of guidelines for libraries serving active older adults in Korea.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examining domestic laws and policies, foreign library guidelines and service practices. Two focus group interviews were also conducted with 10 librarians of Seoul metropolitan area. The research findings were the following: Specific guidelines should be set up including sections of information resources, human resources, facilities, service & programs, and promotion & marketing. The guideline should also include not only solutions for improving digital literacy of old adults but solving librarians’ difficulties with serving old adults.
본 연구의 목적은 데이터 리터러시라는 개념에 대한 재접근을 시도하는 연구로 개념에 대한 정리와 함께 여타 다른 리터러시와의 차이점은 무엇이고, 도서관 정보서비스에 데이터 리터러시를 활용하는 이유와 방법은 무엇인가에 대한 해답을 도출하고자 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데이터 리터러시는 다른 리터러시 개념들과의 상호작용에 있어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미래사회 인류가 살아가는데 필수적인 데이터기반 문제해결능력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개념정의를 바탕으로 도서관 정보서비스에 데이터 리터러시를 적용할 때 교육 서비스와 연구지원 서비스 측면 모두에 활용을 제안하였으며 각각의 구체적 서비스안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데이터 기반 사회에 이용자에게 필요한 데이터 활용 능력을 데이터 리터러시로 규정하고 여타 다른 리터러시와의 차이점을 구분함으로써 데이터 리터러시가 왜 현대 사회에 이용자에게 필요한 데이터 활용 능력인가를 설명하고자 했으며 이를 통해 어떠한 도서관 정보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과 제안으로 마무리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pproach the concept of data literacy, to describe the differences with other literacies along with the redefined concept of data literacy. Also, it is tried to find out why and how to use data literac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Research has shown that data literacy plays a central role in interacting with other literacy concepts, and should be understood as a data-driven problem-solving ability that is essential for the future human society. Based on these concept definitions, we propose the application of data literacy to library information service in terms of education service and research support service. In this study, data literacy is defined as the ability to utilize data needed by users in a data - based society, is to explain why data literacy is the ability to utilize data for users in modern society by distinguishing differences from other literacy. This concludes with a discussion and proposal on what library information services can be implem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