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598X
  • E-ISSN2982-6292
윤희윤(대구대학교) pp.5-27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국내외 도서관의 직무사례를 분석한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도서관의 아동서비스 직무를 분석하고 표준모형을 제안한 후속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공공도서관과 아동도서관을 대상으로 직무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분석한 다음에 아동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한 표준 직무모형(중요성, 난이도, 전문성, 수행요건)을 제안하였다. 또한 표준 직무모형의 실천성을 확보하기 위한 아동사서의 전문성 제고와 자격제도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based on the preliminary research is to develop the standard job models for children's service of public and children libraries in Korea. To do so, the author surveyed and analysed the perception of library staff of current jobs for children's service using the online questionnaire. And author proposed the standard models(importance, difficulty, professionalism, and performance requirements) of library jobs for strengthening children's services. In addition, the this study suggested a plans to enhance professionalism of children's librarian and to introduce its qualification system.

이수상(부산대학교) pp.29-49
초록보기
초록

도서관 2.0은 도서관 서비스의 혁신적인 변화를 대표하는 용어이다. 2005년에 처음 용어가 사용된 이후 현재까지 관련된 연구가 많이 등장하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는 개념정의, 전체적인 현황조사, 개별 서비스의 구축사례 보고 등에 관한 것들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연구들과 달리 다음의 3가지 목적을 위해 수행되었다. 첫째, 주요한 서비스 유형들을 조사하고, 이를 3가지 범주로 구분하였다. 둘째, 각 유형들을 콘텐트, 이용자, 그리고 관리자의 관점에서 변화의 양상과 특성을 파악하였다. 셋째, 모든 유형과 관점을 포괄하는 단일의 개념모형으로 정보생태계를 제안하고 그것의 구체적인 특성을 분석하였다.

Abstract

Library 2.0 stands for the term which suggests the changes in library's services. Library 2.0, the term, was first appeared in 2005 and have studied as a meaningful model for library services. The majority was related to the definition of basic concepts, overview of best practices, and case study for individual implementation. There are three goals of this study which is distinguished from other library 2.0 studies. First, I have surveyed various types of services and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Second, I have examined the properties viewed in this light of content, user, and manager. Third, I have propose a new conceptual model of a information ecosystem which thinks the library 2.0 collectively.

구연배(서해대학) pp.51-6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서해대학에 재학 중인 40대 주부학생을 대상으로, 중년기 여성의 스트레스 감소에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미치는 효과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그 결과 첫째, 실험집단의 독서치료 전 스트레스 정도는 평균 44.5%였으며, 독서치료 후 스트레스는 34.25%로 10.25% 정도 낮아졌다. 둘째, 임상 독서치료에 참가한 내담자들 모두 독서치료가 진행될수록 정서적으로 매우 안정된 상태를 보였으며, 계속적인 독서치료를 통한 스트레스 완화와 건강한 가정생활 영위에 강한 의욕을 보여주었다.

Abstract

The research which sees in the object, fundamental data under providing should have boiled 40 housewife students who are in the process of attending in the SOHAE college attempted about the effect which the bibliotherapy program reaches in stress decrement of the middle-aged woman. The result first, before bibliotherapy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stress degree was average 44.5%, after bibliotherapy the stress 10.25% degree came to be low with 34.25%. Second, recording where the private talk people all bibliotherapy which participated to a clinical bibliotherapy seems will be advanced the condition which is stabilized emotionally very, the stress relaxation which leads the bibliotherapy which is continuous and to seem in the family life management which is healthy strong desire.

최재황(경북대학교) pp.69-8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07년 K대학교 도서관 내에 설치된 외국학술지 지원센터에서 제공하는 학술지와 원문복사서비스의 이용자 만족도를 분석하는데 있다. 학술지의 품질에 대한 분석에서는 72명, 원문복사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분석에서는 69명이 설문에 응하였다. 학술지의 품질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학술지의 최신성, 유용성, 전문성에 대한 조사를 하였고, 원문복사서비스의 품질에 대해서는 원문전달의 신속성, 원문신청절차의 용이성에 대한 조사를 하였다. K대학교 외국학술지 지원센터에서 제공하는 학술지 및 원문복사서비스의 품질에 대하여 현재 이용자들의 대부분은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user satisfaction on scholarly journals and document delivery services(DDS) at foreign journal supporting center, which is founded at K University in 2007. The number of 72 users answered the quality of scholarly journals, and 69 users answered for the DDS survey. For the scholarly journal survey, up-to-date, usability, and expertness were asked, and fastness of DDS and easiness of application procedures were asked for the DDS survey. This study reveals that overall users using or visiting foreign journal supporting center are satisfied with the quality of scholarly journals and DDS.

김영기(경성대학교) ; 이연옥(부산대학교) pp.87-10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핵심 내용은 장애인을 위한 도서관서비스의 강화를 위해 국내 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 현황 및 요구에 대한 조사분석과 국제도서관연맹(IFLA), 미국도서관협회(ALA) 등 외국기관들이 장애인을 대상으로 제정한 각종 지침과 정책 등에 대한 조사분석을 통해 국내 도서관들이 장애인서비스를 실시할 때 길잡이 역할을 할 수 있는 장애 유형별 지침과 기준의 구성요소를 도출하는 것이다. 도출된 구성요소는 도서관 내외부의 물리적 접근성 및 이동권 보장, 접근 가능 장서 구축, 서비스와 프로그램, 보조공학기기, 웹 접근성과 유니버설 디자인, 인력자원의 개발과 활용, 국내외 유관기관과의 협력 등의 일곱 가지로 유형화시켰으며, 각 요소별로 기준 및 지침에 포함되어야 할 주요 내용도 명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standards and guidelines of library service for people with disability is to provide libraries, governments and other stakeholders with a framework for developing library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y.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constituents of standards and guidelines of library service for people with disability. These constituents are developed by analysis and investigation of foreign standards and are based on many people's advice such as members of the advisory committee. Extracted constituents of standards and guidelines of library service for people with disability are as follows: physical accessibility to library building and facilities, construction of alternative formats, access to services and programs, assistance engineering devices, web accessibility and universal design, training and staff development, cooperation and networking etc. Finally, we clarified main contents of each element to be included in standard.

정미경(인화여자중학교) pp.109-146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 이용자의 요구 변화와 그에 따른 학교도서관의 역할 변화를 수용하기 위하여 학교도서관의 IC 도입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IC 개념을 응용하여 학교도서관에서의 IC 구성요소를 도출한 후 도입 모형을 제시하는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특히 학교도서관의 IC 구성요소 도출 및 IC 도입 모형 구축에 초점을 맞췄다. IC 구성요소는 물리적 요소를 학습공간, 제작공간, 커뮤니티공간, 서비스 데스크로, 인적 요소는 사서교사, 정보기술자, 학생도우미로, 서비스 요소는 정보활용교육과 협력적 통합서비스로 세분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출한 IC의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학교도서관의 IC 서비스 개념도, IC 도입모형, IC 평면도를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how to introduce the concept of Information Commons(IC) into school libraries in order to help them perform their roles required to satisfy new types of their users' demands. It intends to examine the concept of IC to draw the IC elements applicable to school libraries and propose a feasible model for them. The main objects of this study are school libraries and Information Commons. In particular, this study brings the derivation of IC elements and the construction of an IC model for school libraries into focus. This study sorted the three factors by peculiarities of school libraries. Each classification is as follows: physical elements were divided into learning space, creation space, community space, and service counters; human resources were divided into teacher-librarian, IT engineers, and student assistants; and services were divided into information literacy training and integrated, collaborative services. Based upon the derived IC constituents, it proposed a diagram that outlines the IC services concept for school libraries, an IC model and an IC floor plan for them.

곽철완(강남대학교) ; 곽동철(청주대학교) ; 노동조(상명대학교) ; 노영희(건국대학교) pp.147-170
초록보기
초록

대학도서관 평가는 대학도서관의 수준 향상을 위한 기본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통령직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에서는 2005년도에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개발된 대학평가지표를 이용하여 시범평가를 함으로써 대학도서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평가지표의 타당성과 실효성을 검증하고 향후 적용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그 결과 평가항목 및 지표부분에 있어서 시정사항이 요구되었으며, 본 연구는 시범평가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해결하고 대학도서관에 적용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평가지표 세부수정내용은 첫째, 평가분야를 7개 분야에서 재화자원과 시설자원을 ‘예산 및 시설자원’으로 통합하여 6개 분야로 줄였다. 둘째, ‘도서관경영’ 분야의 ‘이용자헌장’과 ‘기획’ 항목을 제거하고 ‘도서관 자체평가’ 항목을 추가하였으며, ‘정보자원’ 분야에서 ‘비도서 및 기타자료’ 평가항목을 추가하였다. 셋째, 재화자원 및 시설자원을 통합하여 ‘예산 및 시설’로 하였으며 평가지표는 예산항목과 도서관시설로 수정하였다. 넷째, ‘정보이용’ 분야에서 ‘장서회전율’을 ‘장서이용’에 통합시키고, ‘정보서비스’ 분야의 ‘도서관 이용율’ 항목을 ‘정보자원’ 분야로 이동시킨 후 ‘이용율’로 항목이름을 바꾸었다.

Abstract

Evaluation of an academic library is a key to its success.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Bureau of the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Korea conducted a trial evaluation on academic libraries with a university evaluation index developed by KERIS in 2005. The committee decided to review its feasibility based on the feedbacks from the academic libraries after the trial. This study aims to address the indexing issues appeared during the trial and suggest a new evaluation index tailored to academic libraries. First, the evaluation field is condensed from 7 to 6 as “financing” and “infrastructure” are integrated into “budget and infrastructure.” Secondly, both “user charter” and “planning” are removed from the “library management” field category, and “library self-assessment” is added instead. In “information resource” field, “non-books and etc.” is added. Third, evaluation categories for “budget and infrastructure” field are altered to budget-related items and library equipment. Forth, “collection turnover rate” category is incorporated into “collection usage” in “information usage” field, and “library use rate” in “information service” field is moved to “information resource” field and renamed as “use rate.”

조찬식(동덕여자대학교) pp.171-188
초록보기
초록

사회의 발전에 따른 공공도서관의 존재와 그 기능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공공도서관에서 이루어지는 문화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실태를 파악하고 그 운영을 분석하기 위하여, 첫째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이론적 중요성을 살펴보고, 현재 서울시 공공도서관에서 실시되는 문화프로그램을 웹페이지을 통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조사분석하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서울시 소재의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운영실태 조사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과 그 운영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그 목적이 있다.

Abstract

The practice and management of cultural programs of public libraries have drown social attention as the importance of the public library has been emphasized in the process of social development. In this context, this study looks into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importance on the public library's cultural programs, examines the practice of cultural programs of public libraries in Seoul from various perspectives through web-pages, and investigates the managerial aspects of them through survey of 20 public libraries in Seoul. By so doing, this study aims at enhancing our understanding on the cultural programs of public libraries.

표순희(성균관대학교) ; 정동열(이화여자대학교) pp.209-234
초록보기
초록

공공도서관이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혜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이와 같은 무형적인 도서관의 결과를 측정하기 위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다양한 접근 및 측정 방법이 요구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이용가치를 시간가치, 대체서비스 잉여가치, 도서관 서비스가치, 도서관 통합가치라는 4가지의 접근을 통해 측정하였다. 이용자의 기회비용인 시간가치로 측정한 비용 대비 가치가 11배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용자의 지불의사액을 통해 측정한 가치는 0.3의 비율로 낮게 측정되었다. 이러한 측정결과와 각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측정과정을 종합하여 가치별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ccording to increasing the benefits from public libraries, there are many studies for measuring the library value. This study presents a methodology for measuring use value of the public library in terms of time value, surplus value of alternative service, value of library service, and overall value of library. The cost-benefit ratio of the time value compared to library's annual budget is 11:1, and the cost-benefit ratio of the overall library value was measured by user's WTP is 0.3:1. This study proposed the method for measuring use value of the public library according to the process, the results of these measurments for each value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values.

김기영(연세대학교) pp.235-253
초록보기
초록

최근 문헌정보학 분야에서 고객이라는 용어가 자주 쓰이기 시작하였으나, 기존의 용어인 이용자와 그 의미가 뚜렷이 구분되지 않고 있으며, 또한 도서관 현장에서는 고객이라는 용어에 대한 거부감도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에서는 고객이라는 용어의 의미를 관련 용어와 비교하여 고찰하고, 이러한 개념이 도서관 및 정보센터의 경영에 어떠한 의의를 가지는지를 논의하였다. 도서관은 고객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경영에 마케팅관점을 적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활동은 도서관 경영 전반에 걸친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Abstract

Although use of the term ‘customer’ has been and is being increased in the area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ts concept is not clearly differentiated from the replaced term ‘user’. Moreover, there has been a tendency that librarians would have objection against using the term customer. Based on this situation, the concept of customer is examined by comparing with related terms, and its impact on library management is discussed. Libraries have adapted marketing viewpoint by applying the concept of customer to themselves, and it requires total change in the library management.

정현태(국립중앙도서관) pp.255-275
초록보기
초록

최근 어린이도서관, 작은 도서관, 기적의 도서관 등 소규모 도서관이 증가하면서, 도서관건립운영에 필요한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제공하는 도서관컨설팅시스템의 구축이 요망되고 있다. 도서관컨설팅에 대한 공공도서관 사서들의 의견을 조사한 결과, 도서관컨설팅에 대한 잠재적 수요는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서관컨설팅에 대한 사회적 경험이 부족한 우리나라의 실정에서는 도서관컨설팅서비스가 공공기관에 의해 공공서비스로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bstract

As small-scale libraries such as Children Library, Small Library, Miracle Library, have recently increased in number, it is required to establish the library consulting system in order to provide them with special knowledges and experiences necessary for library construction and operation. The result of the survey about public librarian's opinions confirms that the latent demand for library consulting is very high. In case of our country where the social experience in library consulting service is insufficient, it is desirable that the library consulting service be executed by the government offices as public service.

남영준(중앙대학교) ; 장보성(중앙대학교) ; 이수영(중앙대학교) pp.277-294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의 균형성과표(이하 BSC) 개발을 위한 성과지표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각 기관별, 연구별 학교도서관 평가지표의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내용을 이용하여, BSC 관점별 학교도서관 성과측정지표를 개발하였다. 성과측정지표는의 중요도 분석을 위해 학교도서관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계층화분석법(AHP)을 사용하였다. 이를 위한 핵심성과지표로는 전체 36가지 항목 중에서 사서교사의 배치, 이용자 요구 반영을 위한 체제 구축, 이용자 정보교육, 교수-학습 지원 설비의 적절성, 도서관 위치 적절성 등의 순으로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has proposed the balanced scorecard for the development of BSC of school library; this study has thus analyzed the forerunners of similar research on the balanced scorecard. For the hierarchial process analysis of the balanced scorecard, librarians and experts of related fields were polled using the AHP method. Some of the major categories for the balanced scorecard(36 categories total) are disposition of librarians, development of user-demand reflecting system, user education, adequacy of faculty-education aid accommodation, location of library, etc.

노동조(상명대학교) ; 장윤금(숙명여자대학교) ; 곽승진(충남대학교) pp.295-308
초록보기
초록

국립디지털도서관(NDL)이 국가대표 디지털도서관으로서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선 최신의 정보환경인 IT 및 유비쿼터스 환경을 고려한 정보서비스 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전술한 필요성에 의거하여 포커스그룹 인터뷰와 이용자 및 사서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분석을 통하여 NDL의 정보서비스 정책을 수립하였다. 또한, 수립된 정보서비스 정책의 타당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국립중앙도서관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한 중간 평가와 외부 전문가 및 자문단을 통한 1, 2차 검증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NDL 정보서비스 정책의 비전, 사명, 목적, 목표, 전략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시된 NDL의 정보서비스 정책은 초유의 연구사례로서 향후, 정보서비스 정책을 수립하고 세부지침을 마련하고자 하는 다른 디지털도서관에게도 경험적 사실과 근거를 제시하여 줄 것이다.

Abstract

For National Digital Library(NDL) to properly perform it's ideal function as a representative digital library in Korea, information service policy considering the IT and Ubiquitous environment shall be established. Information service policy of NDL was established with focus group interviews and a survey targeting the users and librarians in this study. To raise the propriety of information service policy, final draft of information service policy was proposed after the interim evaluation targeting the concerned parties of NDL and 1st & 2nd verification by external specialists and the consultation group. In this manner, vision, mission, goal, objective, strategy, etc of information service policy of NDL were proposed. Information service policy of NDL proposed in this study not only proposes the fact and base to other digital libraries that wishes to establish the information service policy and arrange detailed guidelines as a case study but also secures the direction and vision of global information service policy of NDL. Furthermore, it will contribute for NDL to build its reputation as a world renowned digital library.

이은철(성균관대학교) ; 심효정(한국도서관협회) pp.309-32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새로운 역할로 제시된 지식정보격차해소의 개념 및 현황 등을 파악하고, 공공도서관이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고찰해 보았으며, 기존의 통계 데이터를 활용해 공공도서관과 지방자치단체 재정자립도의 관계, 지식정보취약계층과 공공도서관 활용도 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이를 통해 공공도서관이 지식정보격차해소 역할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적 논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ncept and current status of resolving the gap in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vided as a new role of public libraries. We have examined what kind of role public libraries has to play, and have analyzed the relationship of financial independence of public libraries and local autonomous entities, the use of public libraries and the social class vulnerable to knowledge and information by utilizing existing statistical data. Through this, We have presented a basic point in question needed in searching for a way to strengthen the role of public libraries in resolving the gap in knowledge and information..

김갑선(성균관대학교) pp.327-37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사서의 직업사회화에 관한 총체적인 행위이론을 도출하기 위한 일차적인 연구로서 사서직의 직업사회화 경험의 의미와 경험의 구조가 무엇인지를 밝히고, 그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연구의 참여자는 학부에서 문헌정보학(도서관학)을 전공하고, 현재 서울과 경기도의 공공, 대학, 학교, 전문도서관에서 5년 이상의 정규직 경험을 가지고 있는 16명의 현직 사서 및 사서교사들이며, 개별적으로 2회의 개방적 및 반구조적인 심층면담을 하여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의 현상학적 분석 결과 연구 참여자들이 체험한 사서직의 직업 사회화 경험은 1) ‘업무 심화와 업무능력 확장을 통해 성장함’, 2) ‘조직문화에 순응함’, 3) ‘이용자와 더불어 성숙함’, 4) ‘양면적 직업의식을 가짐’, 5) ‘사서로서의 자기실현을 추구함’의 5개의 주제범주로 도출되었다. 또한 사서의 직업사회화의 총체적 의미는 사서가 상호작용적 조정과정을 통해 공유하는 이상적인 사서 상을 구체화시키고 실현해 나가는 과정으로, 현실에 적합한 전문성을 갖춘 사서 되기를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understand the meaning and structure of librarians' experience of occupational socialization. Two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ach of the sixteen participants, practiced above 5 years in libraries and selected by theoretical sampling. Colaizzi's method of phenomenological interpretation was used to arrive at themes that represent what the experience of being a librarian meant to participants. Five thematic categories emerged from the data: 1) growing through deepening work and extending ability, 2) adapting the organization culture, 3) come to maturity along with users, 3) having double consciousness of the profession, 4) seeking self-realization as a librarian. Thus, librarians' experience means to orient toward the becoming a librarian with the professional situated the practice, and is the process librarian concretizes and realizes the ideal type of librarianship in the practice through adjustable interactive-process with environments.

유경종(교육과학기술부) ; 박일종(계명대학교) pp.371-392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에서는 H공공도서관의 도서관 온라인 열람목록(OPAC) 시스템에 구축되어 있는 장서와 대출기록 및 이용자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공공도서관 운영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H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대출이 가능한 단행본 총 57,927권의서지데이타와11,871명의 이용자 데이터, 대출기록 27,145건이었다. 대출기록 분석 데이터에서 관계변수로 장서유형, 대출빈도, 대출권수와 대출횟수, 출판년도, 이용요인을 추출하여 상관계수와 비모수검증법 등의 다양한 통계적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Abstract

The books and circulation-related data in the Online Public Access Catalog System of the H-public library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this paper. The methods which may be applied to the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in a public library based on the results were also suggested here. Collected data were 57,927 bibliographic data of books, 11,871 patron data, and 27,145 circulation records. The type of collections, circulation frequencies, total number of circulated books, publication year, and use factor as relation factor from the analyzed data of circulation records were extracted. They were also analyzed, and verified by various statistical methods such as correlation coefficient, non- parametric method, etc.

송일기(중앙대학교) pp.393-420
초록보기
초록

이 글은 경주 왕룡사원의 삼존불상에서 수습된 복장유물의 전체적인 현황을 조사하고 평가한 것이다. 특히 복장유물의 조사과정에서 전적류에 대한 가치를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불복에서 발견된 《도해금강경》,《묘법연화경삼매참법》,《장수경》,《선종영가집》등은 국가문화재 보물급에 해당되는 중요한 판본으로 평가하였다.

Abstract

This article investigates and evaluates the relics settled from the center of the chest of triad Buddhist statue which is located in the temple of Wangryong in KyungJu as a whole. Especially, it focuses on the evaluation of the value of classical book in the course of research. As a result, it is revealed that classical books, such as Dohaekumgangkyung, Myobubyeonhwakyungsammae chambub, Jangsukyung, Seonjongyounggajib are as important printing much as to be national treasure.

이상복(대진대학교) ; 임채진(홍익대학교) ; 이정미(인덕대학) ; 곽동화(시립인천전문대) pp.421-44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도서관건축디자인을 위한 기존의 참고자료 및 디자인 정보가 그 이용자에게 수동적, 고정적으로 제시되어지는 문제점을 인식하고 기존의 디자인방법론을 근거로 디자인 정보를 보다 능동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모색하여 제안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는 기초적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의 달성은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고 사료된다. 즉, 건축설계자료가 디자인 해결을 위한 관계의 구조로 제시되어지기 때문에 기존의 자료보다 더 능동적으로 활용되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제안되어진 디자인 정보는 도서관을 평가하기 위한 체크리스트의 역할 뿐만 아니라 도서관 설계를 위한 규범적 디자인 정보의 역할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디자인 정보 이용자가 지역 커뮤니티 시설로서의 공공도서관의 건축과정에 자연스럽게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이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make a method that user of design information can use design information actively, after grasped a demerit that the exiting design information is passively given to user of design information for library architecture. This study with the study purpose has significations as following. Firstly, user of design information is able to use the information proposed in this study more actively than the exiting design information, because the design information in this study is proposed as the relative structures for design solution. Secondly, user of design information is able to have a participation chance for design of public library as a community facility, because the design information in this study plays not only a role in a check list for library space but also a role in normative design information for library design.

최인숙(연세대학교) pp.445-46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정보제공자로서의 전문적인 역할 수행이 요구되는 비서직을 위한 정보활용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실무중심의 정보활용 교육과정 구성방안과 교육내용 개요를 제시하였다. 비서의 정보활용교육의 필요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한 결과 학력 수준이나 비서학 전공지식 수준과는 관계가 없고 정보제공업무 과제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활용 교육요구 분석 결과 인터넷 메타검색엔진, 인터넷 전문검색엔진, 연산자 사용법, 디지털도서관 활용법, 유즈넷 이용법, 정보서비스기관 이용법, 인터넷 참고정보원, 맞춤정보서비스 이용법, 주제조사의뢰 이용법, 문헌배달서비스 이용법, 전자저널 이용법, 상용데이터베이스 이용법, 원문제공서비스 이용법, 탐색전략모델 활용법, 인터넷 일반검색엔진의 순서로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교육내용은 실무 예제 중심의 실습으로 구성할 것을 제안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aise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literacy programs for professional secretaries and to present guidelines for organizing them. While the level of projects in secretaries' information service is defined as an influencing factor to the necessity of information literacy programs, the level of scholarships or secretarial science as a major is not. An analysis on education needs of secretaries recommended that curriculum should be composed of 15 topics such as: meta search engines, special search engines, boolean operators, digital libraries, usenet, information centers, internet reference sources, SDI, topic search request, document delivery service, e-journals, commercial databases, fulltext service, search strategy and general search engines.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