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박성재(한성대학교) pp.5-21 https://doi.org/10.4275/KSLIS.2023.57.1.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 이용자의 도서관 내부 공간 이용행태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서관 이용률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도서관 이용자들의 스마트폰 와이파이 신호를 이용하여 도서관 내부 공간에서의 이동 패턴을 분석하였다. 서울 소재 공공도서관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와이파이 수신기를 설치하였다. 2016년 9월부터 12월까지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도서관 이용률 향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도서관 공간 중에서 한 공간만을 이용하는 이용자는 전체 중에서 27.17%로 나타났고 이들 중에서 28.69%는 1층 로비에서 도서반납만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용자들의 도서반납 편의성을 위한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또한 도서관 문화프로그램과 서가 공간의 연계성이 낮다는 점에서 도서를 연계한 프로그램의 개선이 필요하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library visitors use spaces in the library and to make suggestions for improving library use environments. Library use patterns were analyzed by tracking the users’ smartphone WiFi. A library located in Seoul, Korea was selected and detectors were installed in the library. The suggestions from the results analyzing data collected between September, 2016 and December, 2016 were as followed. 27.17% of library visitors used a space in the library. Among them, 28.69% used the lobby to return their checked-out materials. Therefore, the library is recommended to install a device in the area in which users are easy to return their items. Additionally, since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program room and book shelves was low, those programs might be improved by providing library materials related with them.

윤희윤(대구대학교) pp.23-44 https://doi.org/10.4275/KSLIS.2023.57.1.023
초록보기
초록

도서관(図書館)이란 말은 일본 메이지 중기에 서양의 library와 bibliothek를 번역한 화제한어다. 이를 한자문화권의 중국(图书馆), 대만(圖書館), 한국(도서관), 베트남(Dồ thư quán)이 수용하였다. 그렇다면 일본과 중국에서는 언제, 누가 서양 도서관을 최초로 소개하였는가. 일본의 중론은 계몽사상가 후쿠자와(福澤諭吉)의 「西洋事情, 1866」이고, 중국은 개혁사상가 양계초(梁启超)의 「时务报, 1896년」 기사를 최초로 지목하는 견해가 많다. 이에 본 연구는 양국에 서양 도서관을 소개한 근대 사전, 저서, 역서, 논문, 신문기사 등을 중심으로 ‘도서관’이란 명칭이 등장한 시기와 인물을 추적하고 논증하였다. 그 결과, 일본에서는 모도끼(本木正栄)의 「諳厄利亜語林大成, 1814」를 비롯한 여러 견문기 및 사전에서 다양한 용어로 서양 도서관을 기술하였기 때문에 1866년 후쿠자와 소개설은 오류다. 그리고 중국에서는 류정담(刘正埮)의 「汉语外来词词典, 1884」에 도서관이란 용어가 최초로 등장하므로 1896년 양계초 도입설은 사실이 아니다. 동일한 맥락에서 한국에서 도서관이란 용어가 최초로 사용된 시기, 1901년 일본홍도회 부산지회가 설립한 한국 최초의 도서관 명칭에 대한 추적과 논증이 요구된다.

Abstract

박희진(한성대학교) ; 박성재(한성대학교) pp.45-68 https://doi.org/10.4275/KSLIS.2023.57.1.04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종단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도서관 이용의 지표 중의 하나인 대출권수의 통계적 분석을 위해 잠재성장모형과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하였다.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에서 제공하는 2014년부터 2019년까지의 공공도서관 통계정보를 수집하고 846개 도서관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했다. 분석결과, 대출권수는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지만 감소세는 점차 완화되고 있었다. 다음으로 대출권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분석한 결과, 장서수와 독서프로그램 참여자수가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하여 분석된 5개의 계층들에서 사서수의 증가는 감소 계층에 비해 증가 계층에 속할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ngitudinally analyze impact factors on library use. One of library use indicators, the number of circulated books was statistically analyzed with latent growth model and growth mixture model. Library data from 2014 to 2019 were collected from the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and 846 public libraries were analyzed. As results, the number of circulated books were decreased, but it was tempered. Next, with controlling the factor affecting the dependent variable, the size of collection a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reading programs provided by public librari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Lastly, 5 classes were identified by applying the growth mixture model, and the number of librarian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rajectory class membership.

김성희(중앙대학교) ; 이현민(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기록관리학전공) pp.69-92 https://doi.org/10.4275/KSLIS.2023.57.1.06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기록관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주는 기록정보서비스 품질요인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독립변수로는 공평성, 유형성(외형성), 편리성, 응답성, 공감성을 선행연구를 통하여 도출하였으며 종속변수로는 이용자 만족도를 선정하였다. 기록관에서 기록정보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온․오프라인으로 설문을 요청하여 78부의 결과로 기술통계와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기록정보서비스 품질 요인과 이용자 만족도 간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 결과 유형성(외형성), 공감성, 편리성 순으로 이용자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록정보서비스 품질개선을 위해서는 시설 개선, 쾌적한 환경 유지, 이용자와의 공감 능력 향상, 기록관의 빠른 정보 업데이트와 검색 도구의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quality attributes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affecting user satisfaction. The independent variables in this study were equality, tangibles(appearance), convenience, responsiveness, empathy. And the dependent variable was a user satisfac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by online and offline for 78 people that used the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 we used the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correlation analysis result, the quality attributes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a user satisfaction. And a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tangibles(appearance) had a significant effect, followed by empathy and convenience. For improving on quality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it is required that improving facilities, keeping environment clean, enhancing empathy ability, updating the information of archive, reforming search tools.

최성필(경기대학교) pp.93-114 https://doi.org/10.4275/KSLIS.2023.57.1.093
초록보기
초록

정보추출은 문헌 내에 존재하는 개체명을 인식함과 동시에 이들 간의 의미적 관계까지도 식별하여 최종적으로 문헌 내에 포함된 의미적 트리플을 자동으로 추출하여 활용할 수 있으므로 문헌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과 이해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대부분의 정보추출에 대한 연구는 개체명 인식과 관계추출이 개별 연구로 각각 분리되어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 입력 문헌에 대한 정보추출의 최종 출력인 의미적 트리플 추출 성능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진료 기록 문헌에 나타나는 개체명과 그들 간의 관계를 트리플 형태로 직접 추출할 수 있는 종단형 정보추출의 2가지 모델인 파이프라인 및 결합형 모델을 구축하는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시하고 성능 비교 실험을 진행하였다. 우선 파이프라인 모델은 양방향 GRU-CRFs를 활용한 개체명 인식 모듈과 다중 인코딩 기반 관계추출 모듈로 구현되었고, 결합형 모델을 위해서는 다중 헤드 레이블링 기반의 양방향 GRU-CRFs이 적용되었다. 두 가지 시스템을 바탕으로 진료기록 문헌 내의 개체명과 관계를 모두 태깅하여 구축된 i2b2/VA 2010 데이터셋을 활용한 비교 실험에서 파이프라인 모델의 성능이 5.5%(F-measure) 더 높게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대규모 신경망 언어모델과 수작업으로 구축된 자질 정보를 활용한 최고 수준의 기존 시스템과의 비교 실험을 통해, 본 논문에서 구현한 종단형 모델의 객관적인 성능 수준을 파악할 수 있었다.

Abstract

Information extraction can facilitate the intensive analysis of documents by providing semantic triples which consist of named entities and their relations recognized in the texts. However, most of the research so far has been carried out separately for named entity recognition and relation extraction as individual studies, and as a result, the effectiv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entire information extraction systems was not performed properly. This paper introduces two models of end-to-end information extraction that can extract various entity names in clinical records and their relationships in the form of semantic triples, namely pipeline and joint models and compares their performances in depth. The pipeline model consists of an entity recognition sub-system based on bidirectional GRU-CRFs and a relation extraction module using multiple encoding scheme, whereas the joint model was implemented with a single bidirectional GRU-CRFs equipped with multi-head labeling method. In the experiments using i2b2/VA 2010, the performance of the pipeline model was 5.5% (F-measure) higher. In addition, through a comparative experiment with existing state-of-the-art systems using large-scale neural language models and manually constructed features, the objective performance level of the end-to-end models implemented in this paper could be identified properly.

김주섭(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선태(전북대학교) pp.115-137 https://doi.org/10.4275/KSLIS.2023.57.1.11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 및 연구기관의 소속 연구자를 위한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가이드를 제시하는 것이다. 해당 프로그램 가이드를 제시하기 위하여 먼저, 해외 연구데이터 관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조사 및 분석 대상 교육 프로그램은 RDMRose, RDMLA, DataONE, 캐나다 디지털 연구 연합, NNLM, 파르테노스 그리고 Coursera이다. 또한 해당 교육 프로그램의 적절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연구된 데이터 리터러시 세부 역량을 통해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데이터 리터러시 세부 역량을 대부분 충족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조사 및 분석한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종합하여 연구자를 위한 프로그램 가이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 및 기관에 소속된 연구자에게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활성화할 수 있는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guide for the development of research data management education programs for researchers affiliated with domestic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ions. In order to present the relevant program guide, first, we investigated and analyzed educational programs for overseas research data management. The educational programs studied and analyzed are RDMRose, RDMLA, DataONE, Digital Research Alliance of Canada, NNLM, PARTHENOS and Coursera. In addition, in order to confirm the appropriateness of the education program, it was reviewed through the detailed competency of data literacy researched in Korea. As a result of the review, most of the detailed competencies for data literacy were satisfied. Finally, a program guide for researchers was presented by synthesizing the research data management education programs that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develop research data management education programs that can systematically support and activate researchers belonging to universities and institutions.

이연옥(부산대학교) ; 강영아(장위행복누림도서관) pp.139-160 https://doi.org/10.4275/KSLIS.2023.57.1.13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지역사회 공론장으로서 공공도서관의 역할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공공도서관이 운영한 공론장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공론장에서 나타나는 도서관 역할의 주요 특징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데이터 수집은 서울 성북구립도서관의 공론장을 운영한 사서와의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데이터의 주제별 분석을 위해 NVivo를 사용하여 코딩하였다. 연구 결과, 공론장에서 확인된 도서관 역할의 주요 특징과 의미는 1) 지역 주민의 만남과 소통, 교류의 장, 2) 주제에 대한 정보제공과 토론을 통한 주민의 학습과 성장 지원, 3) 지역사회의 주민 참여를 확대하고 시민으로서의 역량 강화, 4) 지역 주민의 민주주의 경험을 확대, 5) 도서관에 대한 지역 주민의 인식 개선과 주민에 대한 도서관의 영향력 확대라는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도서관의 정보서비스를 통해 공론 주제에 대한 시민의 상호작용과 공론 확산이 강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도서관이 지역사회 공론장으로 개발되고 지원되기 위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research was undertaken to explore the role of the public library as a public sphere. For this,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 library’s role were examined by analyzing the public spheres operated by the public librar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ith librarians at Seongbuk Public Libraries in Seoul. Data collected were coded using NVivo for thematic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 library’s role in the public sphere were identified in the following five types; 1) A place for meeting,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of citizens, 2) Supporting citizen learning and growth through information services and discussion on the subject, 3) Expanding civic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and strengthen civic power, 4) Strengthening citizens’ experience of democracy, 5) Improving citizens’ perception of libraries and expanding the library’s influence on citizen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information services enhance citizen interaction and spread of public opinion on the agend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developing and supporting libraries as community public spheres.

노지현(부산대학교) pp.161-182 https://doi.org/10.4275/KSLIS.2023.57.1.161
초록보기
초록

최근의 목록 환경에서 전거데이터의 기능이 특히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는 2019년부터 국가전거데이터의 공개와 공동 활용을 위한 시범사업을 추진하면서 국가전거를 활용한 단위 도서관의 전거데이터 소급 구축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지난 2019년 국립중앙도서관과 KERIS에서 공동으로 추진했던 전거데이터 소급 구축을 위한 시범사업의 방식과 결과를 분석하고, 이 과정에서 나타난 방법론적 한계와 문제점을 분석한 후 보다 많은 도서관들이 국가전거를 활용하여 전거데이터의 소급 구축을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시범사업에 참여한 A대학도서관을 사례로 하여, 전거데이터의 자동 생성률과 정확률, 그리고 자동 생성 과정에서 나타난 오류와 누락의 사례와 원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가전거를 이용한 전거데이터의 자동생성률은 20% 남짓에 불과했고, 전거형의 형식에 따라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낮은 생성률과 오류, 누락은 종합목록이나 단위 도서관의 서지레코드 품질에서 비롯된 것이었고, 이에 따라 기존 데이터에 대한 보다 세밀한 검토와 함께 정교한 알고리즘을 개발,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In the recent cataloging environment, the function of authority data is becoming more important. In Korea, a pilot project for sharing and joint use of the national authority data has been promoted since 2019, and a plan to automatically construct retrospective authority data using national authorities is in progress. This study aims to (1) analyze the results of the pilot project for retrospective authority data jointly promoted by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KERIS in 2019, (2) explore methodological limitations and problems in the process, and (3) derive policy proposals for constructing authority data more efficiently. To this end, a university library participating in the pilot project was investigated as a case study. Based on it, the automatic generation rate and accuracy of authority data, and errors and omissions cases and causes were analyzed in detail. As a results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quality of union catalogs and bibliographic records had a great influence on automatically constructing authority data, and supplementary methods were needed to minimize these limitations.

조용완(대구가톨릭대학교) pp.183-211 https://doi.org/10.4275/KSLIS.2023.57.1.18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1904년에서 1905년 초 사이 금남 이동진의 의지와 재정지원에 따라 그의 장남인 소남 이일우에 의해 대구에서 설립, 운영되었다가 1911년 일제에 의해 폐쇄된 것으로 알려진 사숙이자 도서관인 우현서루(友弦書樓)를 근대 도서관이라는 측면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우현서루를 1) 설립 주체와 설립 목적 2) 설립 일자 3) 위치와 건물 4) 장서 구성과 확보 방법 5) 이용대상과 주요 이용객 6) 도서관 활동 7) 폐쇄 과정 8) 폐쇄 후 장서의 이동 등으로 세분화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동진․이일우 부자와 그의 후손과 지인이 쓴 글을 담은 <성남세고>를 비롯해 다양한 DB와 인터넷 검색을 통해 도서, 당시의 신문과 잡지기사, 논문, 기록물 등을 찾아내고 이를 기반으로 인용문헌 확장검색을 실시하여 관련문헌들을 광범위하게 분석하였다. 우현서루의 도서관 성격에 관한 8가지 측면에 대해 분석한 결과, 우현서루의 설립과 폐쇄, 매각 등에 관한 기존의 주장 중에서 일부 오류를 발견하였고, 우현서루의 장서규모와 장서확보 방안, 우현서루의 이용대상, 우현서루 폐쇄 후 장서 이동과정 등에 대해 새로운 결과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s a private school and a library in the Enlightenment Period of Korea, Woo-Hyun Seoru(友弦書樓) was established between 1904 - March 1905 by Lee, Dong Jin who had a will and provided a economic support for it and his son Lee, Il Woo had founded and operated it and it seemed to be closed in 1911. By this time, Woo-Hyun Seoru has been underestimated or ignored in the history of libraries in Korea.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8 aspects of Woo-Hyun Seoru as a modern library including the subject and purpose of establishment, the date of establishment, the location and buildings, the collection development and the acquisition methods, the user group and the important users, the library activities, the process of closure, and the moving path of the collections after the closure of Woo-Hyun Seoru. To do this, the articles of newspaper, periodicals, and academic journals, the relating documents and Sung Nam Se Go(城南世稿) written by Dong Jin Lee, Il Woo Lee and their descendants and colleagues were analyzed.

한상우(광주대학교) pp.213-231 https://doi.org/10.4275/KSLIS.2023.57.1.21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도서관의 데이터 성숙도를 평가할 수 있는 모형(안)을 개발하고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 성숙도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도서관에 적용할 수 있는 성숙도 평가모형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5개 영역의 19개 평가 요소로 구성된 데이터 성숙도 모형을 설계하였고, 성숙도 단계는 5단계로 설정하였다. 향후 데이터 성숙도 평가모형을 이용하여 도서관 빅데이터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도서관의 데이터 성숙도를 측정할 수 있을 것이며, 장기적으로 데이터 기반 도서관 운영 및 데이터 활용 발전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present a model that can evaluate the data maturity of library. To achieve this goal, library data maturity model can be applied to library was designed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related to data maturity. As a result of this study, proposed data maturity model consisting of 19 evaluation factors in 5 areas was designed, and the maturity level was set to 5 levels. In the future, it will be possible to measure the data maturity of libraries participating in the library big data project using the data maturity evaluation model, and it can be expected that in the long term, it will be possible to present a direction for data-based library operation and data utilization development.

이상은(서울대학교) ; 최나야(서울대학교) pp.233-261 https://doi.org/10.4275/KSLIS.2023.57.1.23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도서관 이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생태학적 접근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어머니의 도서관 이용만족도의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인을 설정하고, 한국아동 패널 8차년도(2015) 자료를 활용하여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들은 도서관에 중간 수준의 이용만족도를 보였고, 도서관 편리성, 지역 공공시설 이용만족도, 지역 공공시설 편리성, 거주지역 유형, 자녀 독서시간, 양육정책 지원의 도움 정도의 순으로 어머니의 도서관 이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문화적인 맥락에서 도서관 이용만족도를 살펴봄으로써 도서관 내부 요인뿐 아니라 가족, 지역사회, 양육정책이 도서관 이용만족도에 영향을 미침을 보여주었다. 이 결과가 도서관 정책 수립에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Drawing on Bronfenbrenner’s ecological system, the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the ecological variables affecting library satisfaction for mothers of early school-age children. The study used the eighth wave(2015) of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and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Researchers selected ecological variables for each ecological system based on previous studies. Results showed that mothers had moderate satisfaction with libraries, and their satisfaction with libraries was affected by library accessibility, satisfaction with public services, type of residence, children’s reading time, and supportiveness of parenting policy. The study showed that external factors such as family, community, and policies could affect library satisfaction along with internal factors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The study suggested a possible practical implication for library policy.

장로사(숭의여자대학교) pp.263-283 https://doi.org/10.4275/KSLIS.2023.57.1.26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전문대학교 문헌정보과 여대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전공만족도 요인(교과만족, 수업만족, 관계만족, 인식만족, 일반만족 요인)을 파악하였고, 전공만족도와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취업효능감이 조절효과를 보이는지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만족(C.R.=3.847, p<0.001), 수업만족(C.R.=3.244, p<0.01), 관계만족(C.R.=3.045, p<0.01), 인식만족(C.R.=2.464, p<0.05) 요인이 전문대학교 문헌정보과 여대생의 취업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취업효능감 고집단과 저집단 간의 조절효과는 p값이 0.05보다 작은 p=.040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전문대학교 문헌정보과의 취업률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학령인구의 급감 및 대학기관평가인증에 대비하기 위한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In this study, the factors of major satisfaction(curricular satisfaction, class satisfaction, relationship satisfaction, cognitive satisfaction, and general satisfaction factors) which influence the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s were identified by conducting a survey of female college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whether the feeling of employment efficacy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e major satisfaction and the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s were verifi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urricular satisfaction(C.R.=3.847, p<0.001), class satisfaction(C.R.=3.244, p<0.01), relationship satisfaction(C.R.=3.045, p<0.01), and cognitive satisfaction(C.R.=2.464, p<0.05) factors turned out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employment behaviors of female college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high group and the low group in terms of employment efficacy turned out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as the p value was less than 0.05, p = .040.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sed as the useful basic data to not only improve the employment rate for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of community colleges in Korea, but also to prepare for the rapidly declining school-age population and the Institutional Accreditation.

송민선(대림대학교) ; 장인호(대진대학교) ; 황금숙(대림대학교) ; 김수경(창원문성대학교 문헌정보과) pp.285-308 https://doi.org/10.4275/KSLIS.2023.57.1.28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고양시민들의 독서 실태를 조사․분석해 고양시 ‘제2차 독서문화진흥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독서실태 조사 관련 선행 연구 및 2021년 국민 독서실태 조사의 설문 문항 등을 참고하여 성인 및 학생 응답자 특성을 반영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고양시에 거주 중인 성인 960명, 학생 5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해 그 결과를 분석하고, 고양시 독서문화진흥 종합계획 수립에 있어 도움이 될 수 있는 몇 가지 시사점들을 도출하였다. 첫째, 독서 자료의 범주를 전통적인 종이매체에서 다양한 매체로 확대해야 한다. 둘째, 도서관 장서 확충 및 실제 도서 구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서비스 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시민들이 원하는 다양한 독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온라인 운영 방식 등으로 독서활동 및 동아리 활동 참여 기회를 늘여야 한다. 넷째, 독서 활성화를 위한 시설 및 서비스 환경은 시민들의 생활 반경 내 접근이 쉬운 곳으로 조성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기존 독서문화진흥사업 중 ‘스마트도서관’, ‘상호대차서비스’, ‘독서 및 문화프로그램 운영’, ‘고양 북페이’ 사업 등은 지속․확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보다 실효성 있는 고양시 독서문화진흥 종합계획 수립을 위해 실제 시민들을 대상으로 독서 실태를 조사하고, 정책 방향 설정에 필요한 의견을 수렴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and analyze the actual state of reading in Goyang citizens, and to utilize it as a base data for Goyang City’s 2nd ‘Reading Culture Promotion Plan’. To do this, including references related to reading survey and the 2021 National Reading Survey questionnaire survey questions, the questionnaires that reflected characteristics of adult and student respondents constructed. Then, the survey of 960 adults and 540 students in Goyang City condu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and several useful suggestions deduced for ‘Goyang City Reading Culture Promotion Plan’. First, the category of reading materials have to be expanded from the paper media to the various media. Second, the expandation of collections in libraries and the services that will help actually buy books are necessary. Third, various reading programs should develop, and the opportunities for citizens to participate in reading and club activities through online should also be increased. Fourth, the facilities and service environments for activating reading should ensure that the accessibility of everyday life. Finally, among the existing reading culture promotion projects, the ‘smart libraries’, ‘Inter-library loan services’, ‘reading and cultural programs management’, and ‘Goyang Book Pay’ projects need to be sustained and expand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investigated the actual reading situation of real citizens and has converged the opinions necessary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the effective ‘Goyang City reading culture promotion plan’.

노영희(건국대학교) pp.309-338 https://doi.org/10.4275/KSLIS.2023.57.1.309
초록보기
초록

사회적․환경적 이슈에 대한 인식이 증가함에 따라 ESG 경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ESG 경영평가의 영향력은 점점 더 강해지고 있으며, 도서관도 ESG 경영평가에 참여할 필요가 있다. ESG 경영을 도서관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도서관에 적용 가능한 ESG 경영을 정의하고 범주를 확인한 후, 먼저 적용과 지속적인 환류를 전제로 평가지표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업을 포함하여 공공기관 ESG 경영평가지표를 포괄적으로 살펴보고 이로부터 도서관에 적용가능한 ESG 경영평가지표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ESG 관련 선행연구 조사․분석, 선행연구 기반 도서관 ESG 예비경영평가지표 도출, 예비경ㅇ평가지표에 대한 전문가 FGI 의견 수렴, 전문가 FGI 의견 수렴 기반 1차 도서관 ESG 경영평가지표 개발, 1차 도서관 ESG 경영평가지표의 적합도 조사과정을 거쳤다. 최종적으로 환경 영역은 총 25개 항목, 사회 영역은 총 56개 항목, 지배구조 영역은 총 32개 항목을 선정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 지표를 기반으로 도서관을 대상으로 ESG 경영평가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Abstract

As awareness of social and environmental issues increases due to the gust of ESG management, interest in ESG management is increasing, and the influence of ESG evaluation is getting stronger, and libraries need to participate in ESG management evaluation. In order to apply ESG management to libraries, library ESG evaluation indicators must be developed.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comprehensively examine ESG management evaluation indicators of public institutions, including companies, and propose ESG management evaluation indicators applicable to libraries. To this end, it went through the process of investigating and analyzing ESG-related prior research, deriving preliminary evaluation indicators for libraries, collecting expert FGI opinions, developing primary library ESG evaluation indicators based on expert FGI opinions, and) examining the suitability of primary library ESG evaluation indicators. Finally, a total of 25 items were selected in the environmental area, a total of 56 items in the social area, and a total of 32 items in the governance area.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conduct ESG management evaluation for libraries based on this indicator.

이경진(이화여자대학교) pp.339-363 https://doi.org/10.4275/KSLIS.2023.57.1.339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In response to the changing needs of users and library services,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library information science curriculum that reflects such change and to foster competent librarians. Recent studies abroad have emphasized the need for librarians who can apply design thinking methods which is a problem-solving methodology that expansively explores various alternatives and derives results, in response to recent changes and problems occurring in libraries. In this study, in order to understand how design thinking methods can be taught and to understand the perceptions of the students and librarians involved in the course, a case study is conducted of a class that applied design thinking methods and students and librarians have been interviewed who had experience participating in the class. By reflecting on the needs of students and librarians’, this study explored new directions of what forms courses can take for future libraria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mong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design thinking, the value of cooperation, problem-solving ability, flexibility and iteration of design characteristics was considered as the value of a class for LIS students and librarians where design thinking methods were applied. From the findings, the research suggests future directions of creating more structured courses that involve an element of design thinking.

이종욱(경북대학교) ; 김수정(전북대학교) ; 오상희(성균관대학교) pp.365-386 https://doi.org/10.4275/KSLIS.2023.57.1.36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정보학 분야 주요 4개 학회(한국도서관․정보학회, 한국문헌정보학회, 한국비블리아학회, 한국정보관리학회)에 소속된 학회원들을 대상으로 학회에서 발간, 운영하는 학술지와 학술행사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발전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문헌정보학 전반을 다루는 학술지의 품질, 종수, 심사, 출판․유통, 독자층, 현장성, 학제성, 국제화, 차별화를 비롯하여 학술행사에 대한 참여․불참 이유, 목적 달성 정도, 학술행사 간 차별화, 공동학술대회 활성화 방안 등에 대한 학회원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97명의 학회원이 설문 응답을 완료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4개 학술지의 전반적인 품질은 양호하나, 심사, 출판․유통, 독자층 확대, 현장성 강화, 국제화 등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며 학술지 간 차별화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학술행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학술적 및 사회적 측면을 두루 갖춘 대규모 공동학술대회를 기획하여 많은 연구자와 실무자의 참여를 유도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온라인 설문조사 연구 방법의 결과 보고를 중심으로 하고 있지만, 해외 학회 운영사례 조사결과와 2022년 12월에 개최된 공동학술대회에서 학회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문헌정보학 학술지와 학술행사의 발전방안을 종합적으로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academic journals and scholarly events published and operated by the four major academic societie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An online survey was carried out to know the members’ perceptions of journals’ quality, number, review process, publication/distribution, readership, practicality, interdisciplinarity, internationalization, and differentiation. In addition, the reasons for participation and non-participation in scholarly events, the degree of achievement of the purpose, differentiation between scholarly events, and ways to revitalize joint academic conferences were examined. A total of 197 members of the four societies completed the survey.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overall quality of the four journals was good, but they still needed to be improved in the review process,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readership, practicality, and internationalization. Strategies to specialize each journal needed to be considered as well. To revitalize scholarly events, large-scale joint academic conferences can be organized to encourage the participation of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considering both academic and social aspects of research and practice. This study mainly reported the results of the online survey. Also, it shed light on the suggestions to improve the academic journals and scholarly events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case studies of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s and events as well as the group discussions and feedback from the participants at the joint conferenece held in December 2022.

김영석(명지대학교) pp.387-408 https://doi.org/10.4275/KSLIS.2023.57.1.38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복지서비스정보 제공의 필요성을 논하고, 복지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선정․제공하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수행을 위해 문헌조사, 사례조사, 설문조사,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86.7%는 공공도서관의 복지정보 제공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복지정보는 그 생산주체에 따라 크게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복지정보 수집․선정은 네 가지 정보 유형에 따라 달리한다. 복지정보는 그 유형 및 도서관의 종류에 따라 정보의 구성 요소를 달리해서 제공한다.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복지정보를 제공하고, 이 경우 복지정보를 웹페이지 형태와 게시판을 이용하여 홈페이지에 올린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necessity of providing welfare service information in public libraries, and to seek methods to efficiently collect, select, and provide welfare information. To conduct the research, literature review, case study, survey, and interview were conducted. It was revealed that 86.7%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greed with the provision of welfare information in public libraries. Welfare information can be divid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the subject of production. The collection and selection of welfare information differs according to the four types of the information. Libraries provide welfare information with different components of the information depending on the types of the information and libraries. Welfare information is provided through the library homepage, and in this case, welfare information is posted on the homepage using the form of a web page and a bulletin board.

나경식(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정용선(동신대학교) pp.409-434 https://doi.org/10.4275/KSLIS.2023.57.1.409
초록보기
초록

작은도서관은 공공도서관의 빈 틈을 매울 수 있는 지역공동체의 구성원을 위한 문화적인 소통과 교육적인 체험의 장소로 이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작은도서관의 이용자들의 이용동기를 조사하였다. 작은도서관을 이용하는 이용자 45명을 대상으로 반구조적 면접을 실시하여 그들의 경험에서 나온 인식을 네 가지 카테고리, ‘주의집중’,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으로 분류하였고, 각각의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작은도서관은 네 가지 동기 분류와 관련한 요인들을 효과적으로 분석, 관리, 설계하면 지역공동체 주민들이 작은도서관을 찾는 기회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 small library can be used as a place of cultural communication and educational experience for members of the local community that can fill the gaps of public libraries. In this study, the motives of users of small libraries were investigate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45 users of small libraries, and their perceptions from their experience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and each factor was investigated. Small libraries showed that effective analysis, management, and design of factors related to the four motive classifications could further improve the opportunities of local community residents to find small libraries.

이호신(한성대학교) pp.435-456 https://doi.org/10.4275/KSLIS.2023.57.1.43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전자책 수급 계약이 전자책 관외대출의 합법적인 근거로서 역할하기에 충분한 요건과 내용을 갖추고 있는지 그 실태를 점검하고, 아울러 도서관의 전자책 수급 계약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전자책 대출과 관련된 법적․기술적 환경을 고찰하고, 전자책 관외대출의 법률적 근거로서 라이선스 계약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요소들을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실제 계약 사례에서 이러한 요건들이 적절하게 반영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2020년도부터 2022년까지 3개년 동안 나라장터를 통해서 입찰이 이루어진 계약 43건을 대상으로 그 실태를 점검하여 그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heck whether e-book purchase contracts have sufficient requirements to serve as legal basis for e-book lending outside the library, and also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library’s e-book purchase contracts. To this end, the legal and technical environment related to e-book lending was reviewed, and the elements that must be included in the license contract were summarized as the legal basis for e-book lending. Based on this, it was analyzed whether these requirements were properly reflected in actual contract cases. For three years from 2020 to 2022, the actual 43 contracts that were bid through the Korea On-line E-Procurement System were inspected, and then problems were pointed out, and improvement measures were proposed.

이성숙(충남대학교) ; 박지영(한성대학교) ; 이혜원(서울여자대학교) pp.457-483 https://doi.org/10.4275/KSLIS.2023.57.1.457
초록보기
초록

ISNI가 확산되면서 개인명이나 단체명을 식별하고 연계하는 전거제어의 프로세스와 활용방식도 확장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등의 국가전거와 ISNI 연계와 활용의 특징을 도출하여, 우리나라 국립중앙도서관을 중심으로 국가전거와 ISNI의 연계와 활용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ISNI 창립부터 정착과 활용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주요국을 중심으로 국가전거와 ISNI 연계 방식 및 서비스에 활용된 ISNI 데이터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ISNI를 활용한 국가전거 개선 방안은 첫째, ISNI를 활용한 전거 업무 지원, 둘째, 국가서지작성기관과 출판계와의 긴밀한 협력체계 마련, 셋째, 국가차원에서 ISNI와 전거레코드 연계를 위한 인프라 구축, 마지막으로 전거데이터를 바탕으로 이용자 서비스 페이지 제공 등이었다.

Abstract

As ISNI spreads, the process and utilization method of authority control that identifies and links individual or group names is also expanding.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nection and utilization of ISNI and national authorities in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France, and Germany were derived, and a plan to improve the connection and utilization of national authorities and ISNI was presented, focusing o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Focusing on major countries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establishment and utilization of ISNI since its founding, national authorities and ISNI linkage methods and ISNI data used in services were analyz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the linkage and convergence of national authority and ISNI data were: first, applying ISNI to support authority work, second, establishing a close cooperation system with the publishing community, and third, establishing infrastructure for linking ISNI and authority records at the national level, and finally, providing user service pages based on authority data.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