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중국의 20세기 도시건설 기록물 관리사업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우선 12개 항목의 기본건설 당안과 11개 부문의 도시건설 당안을 알아보았고, 도시건설 당안관의 당안 수집방법, 임무, 서비스범위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도시건설 기록물 관리사업은 중대형의 도시건설계획과 마오저뚱의 도시건설 기록물 처리에 대한 지시에 의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정책적으로 적극 추진되어 왔다. 따라서 2003년 현재 전국적으로 각급 각종의 당안관 3,816개관이 건립되었으며, 1960년대에 42곳에서 추진되기 시작하였던 도시건설 당안관은 전국 662개의 도시에 모두 건립되었다. 한편 현재 도시건설 당안관의 인적자원의 경우 전체 인적자원 대비 전문대학이상 졸업자를 70∼80%, 중급 기술직을 60∼70%로 배치하여 전체 인적자원 대비 전문 인적자원이 최소 60%이상 배치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수치와 비율은 도시건설 기록물관리 사업을 양적 및 질적 측면에서 모두 적극적으로 추진한 결과이다. 북경시의 도시건설 기록물관리 상황을 살펴 본 결과 전문적인 도시건설 당안관 외에 해당 지역의 당안관에도 도시건설 당안들이 수집 관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우리나라의 도시건설관련 기록물 관리에 대하여 나아갈 방향을 제안하였다.
This thesis concerns urban construction archive management business of China in the 20th century. 12 items of state-level construction archives, 11 categories of urban construction archives was initially studied. And studies on data collection method, obligations, and range of service, etc. of urban construction archives center were conducted as well. Urban construction archive management business was aggressively pursued in terms of national policy, based on the state plan to construct medium-sized and large cities and Mao ZeDong(毛澤東)’s direction regarding of urban construction archives. As a result, there happened to be various levels and types of 3,186 archive centers, as of 2003. And the archives centers of urban construction have been established in 662 cities all over China so far, while the establishment of the urban construction archives centers was pursued only in 42 cites in 1960s. Another point to note is that staff members of junior college or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account for 70 % - 80 % of overall human resources of the archives center of urban construction, while 60 - 70 % of them are technical level. This makes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represent at least 60 % of the total human resources of the centers. This is a result of effort of China to enhance urban construction archive management business o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level. And through the study on the situation of urban construction archive management business in Beijing(北京), it was learned that urban construction archives are being collected and managed in archives centers of the respective areas as well as in professional archives centers of urban construction. Some suggestions were also made regarding what kind of direction Korea should take to pursue the business of urban construction archive management.
디지털 시대의 국가도서관은 자국의 모든 오프라인 및 온라인 출판물을 수집·보존해야 하며, 그 책무와 기능을 보증하는 법적 장치가 납본제도이다. 그러나 한국의 현행 납본제도는 인쇄자료에 기반한데다가 부실하며, 특히 전자출판물을 수용하는데 한계가 있어 그 개선방안의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국의 지적 및 문화적 유산이 부실한 납본제도로 인하여 체계적으로 수집·보존되지 못한다면 국가적 비극이 아닐 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납본시스템의 법령체계와 구성내용(용어, 납본주체, 피납본기관, 대상자료, 부수와 시기, 보상과 제재, 매체변형과 접근권 등)을 중심으로 개선모형(안)을 제안하였다.
In digital environment, the hallmark of the national libraries is its responsibility or function of acquiring and preserving the country’s off-line and on-line publications in term of legal deposit. But the legal deposit system based on print materials in Korea predates the digital age and requires a new legal framework. It would be a tragedy if national library was not to archive the nation’s intellectual and cultural heritage because of limitation of legal deposit syste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form of the current deposit system and to suggest a reform model for legal deposit legislation with priority given to legal scheme and elements(terms, the depositor, the depository, object of deposit, number of copies, time of deposit, compensation and fine, right of migration and free access, etc.).
본 연구는 최근 정보업무의 실제영역에서 정보의 부가가치와 정보서비스의 경제성 문제가 점점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현상을 그 배경으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의 가치와 정보의 효율성 측정에 관한 논의를 통해 정보의 경제성 문제를 정보학적 관점에서 재조명하기 위한 것이다. 분석 결과 정보의 부가가치에 관한 논의는 수량화가 어려운 효과적 측면과 관련되며, 효율성 측면에서 바라볼 경우 정보의 경제성 분석은 비용편익 분석과 거의 동일한 개념임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또한 국립디지털도서관 DLP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정보학의 실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경제성 분석의 실험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re-examination of information value and it’s economic efficiency from the viewpoint of information science. This study focuses on the analysis of the considerable discussions about added value of information and cost-benefit analysis of informat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researchs of information value or value-added information have dealt with the effect of information use and the measuring information efficiency concerns cost-benefit analysis of information services. A case study on ‘the national digital library program’ is also demonstrated as a pilot model for the cost-benifit analysis of information services.
본 연구는 KERIS 종합목록의 품질 개선을 위하여 새로운 유형의 중복 데이터 색출 알고리즘을 개발한 것이다. 새로운 알고리즘에서는 현재 적용하고 있는 것과 같은 MARC 데이터 일치여부 비교 방식에서 탈피하여 언어별 서지 유형별 다른 비교방식을 적용하였다. 아울러 비교 요소간의 유사성을 측정하고, 각 요소의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를 차등 부여하는 방식을 병행하였다. 새로 개발한 알고리즘의 효용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최근 종합목록에 업로드된 데이터 210,000건을 추출하여 실험용 마스터 파일을 구축하고 7,649건을 두개의 알고리즘으로 처리한 결과 새로운 알고리즘에서 중복레코드의 색출 비율이 36.2% 더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intends to develop a new duplicate detection algorithm to improve database quality. The new algorithm is developed to analyze by variables of language and bibliographic type, and it checks elements in bibliographic data, not just MARC fields. The algorithm computes the degree of similarity and the weight values to avoid possible elimination of records by simple input error. The study was performed on the 7,649 newly uploaded records during the last one year against the 210,000 sample master database. The findings show that the new algorithm has improved the duplicates recall rate by 36.2%.
독서후의 독서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5학년부터 중학교 2학년까지 4개 학년을 대상으로 과제도서를 각 학년별로 한 권씩 선정하여 읽히면서 독서활동을 전개하였다. 독서활동은 4박 5일 동안 독서캠프 활동을 할 때 과제도서에 대한 분석식 독서자료를 작성 제공하여 활용하는 독서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독서감상문 쓰기, 독서발표, 독서토론, 독서감상 만화 그리기 4분야 영역의 결과는 독서감상문 쓰기가 가장 도움이 컸다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독서토론 활동 분야가 높았다. 그리고 독서발표 분야에서 좋은 반응을 얻었으나, 독서감상 만화 그리기 분야는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Reading activities and after-reading-programs were applied to students of 4 school years from 2 to 5 school year who read subject books separately, in order to activate reading activities after reading. After-reading-programs make, supply and utilize analytical reading materials of subject books for 5 days of reading camp and that consist of composition of impressions of the book, presentation of that, reading discussion and a picture of impressions of the book. The results show that ,most of all, composition describing their impressions of the book contributes to activation of reading activities after reading very much among four types of after-readings. The next, reading discussion is effective and presentation is also good. But a picture of their impressions of the book does not yet promote activation of after reading activities.
우리나라의 도서관들은 전자도서(e-Book)를 하나의 새로운 도서관자료의 유형으로 수용하여 이용자에게 정보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우선,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전자도서에 대한 잘못된 인식들과 전자도서의 가격결정의 구조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일부 도서관 및 정보서비스기관에서 주장하는 전자도서 관련 기술 통합의 오류를 (1)판독기 및 저작권인증관리기술 통합 논의의 오해, (2)산업 구조상 유통기술 통합에 대한 잘못된 인식, (3)전자도서 관련 기술들의 본질에 대한 분석, (4)지속적인 기술개발로 이용자의 불편 해소라는 측면에서 다루고자 한다. 이 결과들을 근거로 전자도서의 공동구매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아울러 바람직한 전자도서의 수서 및 유통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Libraries manage e-Books as a new kinds of library materials and provide library users with information services in Korea. Initially, this study was intended to be an investigation into several misconceptions surrounding e-Books and their pricing structure. This study is also concerned with the fallacies of unifying e-Book techniques from four perspectives: (1)the misunderstandings related to unifying viewer and DRM, (2)the misconceptions about unifying service techniqu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3)the analyses of essence of e-Book techniques, (4)the settlement of users’ inconveniences through continuous technique refinement.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various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collaborative purchase of e-Books, and presents several ideal strategies for their acquisition and service.
신뢰도가 공인된 과학기술데이터는 같은 분야 연구자들이 지속적이면서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물리화학적 상수, 공인된 물성값, 또는 공인된 과학기술적 통계 값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측정데이터는 정보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과학적으로 분석.평가하여 공인함으로써 국가적으로 모든 분야에 널리 사용할 수 있는 참조표준데이터(Standard Reference Data)로 관리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중에 생산된 다양한 실험데이터를 국가 참조표준 데이터로서 관리되어야 하는 필요성과 국가참조표준 센터 설립을 위한 방안을 제시해 본다. 그 시도로 측정표준 연구정보를 하나의 참조정보로 이용할 수 있도록 측정표준 연구정보 시스템을 개발하였고 이 시스템에 대한 운영체계를 자세히 소개함으로서 국내 참조정보 관리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Scientific/technical data whose reliability is authorized have to include physical/chemical constants, authorized property value or authorized scientific statistical values so that the scientists in the same field use them continuously and repeatedly for their research. The data also have to be managed as Standard Reference Data that will be used in other area nationwide by analyzing, evaluating and authorizing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information with scientific methods. This study suggests a plan for establishing the National Center for Standard Reference Data as well as a necessity for managing the data produced in research process as a national Standard Reference Data. Also, a prototype of research information system for measurement standards is developed and described in detail for research information for measurement standard to be used as a reference data, then a plan to managing national reference data is suggested, in addition.
정부정보는 한 국가의 국민으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누구에게나 필요하다. 인터넷 보급으로 필요한 정부정보에 보다 쉽게 접근하여 이를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전자정부 웹사이트를 통해 필요한 정부정보를 얻을 수 있는 길이 열리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정부 프로젝트를 가장 잘 추진하고 있는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전자정부에 대하여 조사해 보고, 한국의 전자정부에 대하여 조사하여 전자정부 웹사이트를 통해 보다 유용한 정부정보를 찾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보았다.
Accurate and current government information is essential to any member of that country. Now it has become possible to access government information with greater ease and convenience on the internet. This study examines e-government websites of the U.S.Canada, Australia, the leading countries in the e-government project, and provides ways to improve the e-governments website of Korea.
상호정보량은 용어간 유사도 산출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연관성 척도로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값의 범위가 일정하지 않으며 지나치게 저빈도인 경우를 선호하는 경향이 제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런 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상호정보량을 정규화하는 상대적 상호정보량 계수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계수의 특성을 알아본 다음, 세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전역적(global) 질의확장 검색을 수행한 결과 검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Mutual information, as an association measure, has been used for various purposes as well as for calculating term similarity. There are, however, some limits in mutual information. It tends to emphasize low frequency terms extremely because the marginal value of mutual information changes inversely to frequency of terms. To compensate for this limit, this study suggests relative mutual information(RMI) coefficients which normalize mutual information, and examines their characteristics in some details. The RMI coefficients also improve effectiveness of global query expansion when they are adapted to three different collections.
‘범죄로부터 안전한 사회’에 대한 요구가 매우 커지고 있는 현 사회에서, 수형자를 격리수용하고 교화교육하여 사회에 복귀시키는 기능을 하는 교도소가 교화교육을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교도소도서관의 활용에 관하여 연구한 논문이다. 교도소의 기본목적이 수형자의 교화교육이므로, 이러한 목적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교도소도서관 설치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교도소도서관에서 이루어져야 할 교화교육내용을 문자해독 교육, 개방교육, 독자적 학습, 고등교육 등으로 나누고, 이와 같은 교육을 실시함에 있어서 도서관이 담당해야 할 역할에 대해 설명하였다.
This study briefly analysed the situation of rehabilitative education in Korean prisons; examined the purposes of the prison and prison librar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son library and rehabilitative education; and explained the literacy, open learning, self-directed study and higher education provided by the prison library.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해마다 정부 차원에서 많은 예산을 투자하여 수행되고 있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과물에 대한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며, 기존의 연구성과관리정보 체제는 관리 측면에 치우쳐 있어 연구성과의 적극적 활용 및 확대를 위한 본래의 취지가 무시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성과 관리시스템의 축을 정보관리에서 기술가치 평가와 기술확산의 개념으로 이동시켜야 하며, 본 연구를 통하여 기존에 관리 위주의 최소한의 성과정보 관리 및 유통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응용연구나 개발연구 분야의 최종 성과인 비용절감, 매출증대, 제품개선, 과학기술이나 경제사회로의 파급효과까지의 관련 정보도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국가 R&D 사업의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을 시스템 측면에서 접근하여 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The process of managing the results of national R&D projects, which are aimed at strengthening national competitiveness, has been ineffective so far. The existing structure for managing the results of national R&D projects have largely been relying on just storing and managing the result of each project and not on the utilization and expansion of the results for further application. We aim at developing a system that would exceed the current system which heavily relies on a passive paradigm of management and circulation of technology. Through the newly developed system, we look forward to achieve the major goals of R&D, such as cutting down the expenses, increasing the margin, improving the technology and expanding the influence of the research to other areas from through improving the system as well as the process for managing R&D projects.
이 연구는 기록관리 분야 용어를 대상으로 용어 사용실태를 조사하고 표준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기록, 기록관리기관, 기록관리전문직 등 세 영역에 관련된 기초용어들의 번역 실태를 조사하고, 이를 중국어 및 일본어 대역어와 비교하였다. 둘째, 전문용어 표준화를 위한 기준을 제시하고, 이러한 기준에 비추어 현재 사용되고 있는 기록관리 용어들의 문제점을 사례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기록관리 용어 표준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use patterns of archival terms and suggests the directions for their standardization. This present paper begins with analyzing translation patterns of fundamental terminology in the area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and compares with corresponding Chinese and Japanese words. And some problems of essential terms are discussed in the light of standardization criteria which are adjusted to archival terms. Based on these analyses, it suggests directions for standardizing archival terms.
이 연구는 1989년에 설립된 이후 현재까지 본연의 소임을 다하지 못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도서관정책위원회의 변천과정과 활동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추출한 한 후, 우리 행정조직 상의 여러 위원회의 운영 행태와 미국·영국의 도서관정책위원회 분석결과에서 얻은 시사점을 참고하여, 이 위원회가 명실상부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위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study is to analyze the transition process and various activities of library advisory committees in Korea. In addition, the study compared activities of Korean library advisory committees to them of other countries such as USA and UK. It is found that the library advisory committees in Korea has not filled its mission and function since established in 1989. The study suggests several activation plans and scheme for the new library advisory committee.
본 연구는 1991년부터 2003년까지 이용자연구 논문의 내용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이용자연구의 연구 방법과 연구동향을 제시한 것이다. 분석자료는 연구의 주제, 연구방법, 자료수집방법, 자료분석방법, 가설설정 등을 조사하였다. 이용자연구논문의 경우 1991~2003년 가을까지 발표된 논문의 연 평균은 12.8편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발표량은 2001년이 24편으로 가장 많고, 주제별 발표논문 현황은 정보이용행태, 이용자연구, 이용자 인터페이스, 도서관 및 정보이용교육, 온라인 목록이용행태의 순으로 연구되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서베이 연구, 사례연구의 순서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자료 분석방법은 주로 기술통계를 사용하고, 이용자연구자들은 카이자승(28.0%), 상관관계(22.7%), T-검증(17.35), 분산분석(14.7%), 다변량분석(4.0%) 등을 사용하며, 연구자의 약 17%가 가설을 설정하고 있다.
This study used content analysis to examine research methods and trends of the user study articles from 1991 to 2003. Analysis measured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 data collection methods, data analysis methods, hypotheses. The average yearly papers in the case of scholarly journal - 2.8 pieces. The year published the largest number of papers is 2001. The order of the number of papers information behavior, user study, user interface, user education, OPAC use. Used research methods are literature search and survey research, data analysis methods are Х², correlation and T-test.
공공도서관이 지역사회에서의 위상을 확립하고 책임성을 제고하기 위하여서는 공공도서관 활동의 결과로 나타난 지역사회와 지역주민에 대한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를 통하여 공공도서관의 영향력을 경제적 가치, 사회적 공헌, 그리고 정보 능력의 향상 등 세 영역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각각의 측정 방법들을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영향력 측정에 사용 가능한 결과 지표(outcome indicators)와 그 개발 과정을 분석하고,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에 적용이 가능한 지표의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Outcome indicators measuring public libraries’ impact on the community and individual community members have a great utility on the accountability improvement, better management, and role enhancement. This study identifies such areas of demonstrating public library impacts as economic value, social contribution, and information literacy, by literature review. A framework pertinent to develop public library outcome indicators is suggested for implementing outcome based evaluation in an individual public library’s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