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598X
  • E-ISSN2982-6292
노영희(건국대학교) pp.5-30 https://doi.org/10.4275/KSLIS.2015.49.4.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급변하는 대학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문헌정보학과에 대한 인지도 및 선호도를 조사할 뿐만 아니라 문헌정보학과의 진로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의 사서 및 문헌정보학과에 대한 인지도는 보통 이하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헌정보학과의 진로에 대한 인지도와 선호도를 조사하였으며, 문헌정보학과를 졸업한 후 진출할 수 있는 직장으로 생각되는 기관에 대해 공공도서관, 국가도서관, 대학도서관, 학교도서관 순으로 응답하였으나, 취업하고 싶은 직장은 방송국 자료실, 국가도서관, 학교도서관, 대학도서관, 공공도서관, 포털업체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헌정보학과의 진로에 대한 인지도는 문헌정보학과에 대한 선호도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헌정보학과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는 학생들이 문헌정보학과를 선택할 확률이 높다고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문헌정보학과의 진로에 대한 인식을 높임으로써 문헌정보학의 경쟁력을 높이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aise awareness of careers in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as well as to investigate current awareness and preferences for LIS Department as a strategy to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university environment. To do this, a survey of high school students was carried out, with results as follows: First, awareness about the LIS Department and awareness about librarians in our country's high school students was very low. Second, for possible careers in LIS Department, students responded that a graduate of LIS department was likely to enter the workplace in public libraries, state libraries, university libraries, or school libraries, but they would like to work at broadcasting library, national libraries, school libraries, university libraries, public libraries, or portals. Third, awareness of the career path for the LIS Department showed a very large impact on a preference for the LIS Department. Therefore, students who have heard about the LIS Department are highly probable to select this department when they reach university.

김보일(나사렛대학교) ; 조미아(경기대학교) ; 변현주(작은도서관만드는사람들) pp.31-52 https://doi.org/10.4275/KSLIS.2015.49.4.03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작은도서관의 운영 실태조사를 통해 작은도서관 운영의 흐름을 진단하고 운영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공립작은도서관과 사립작은도서관 중 아파트 도서관 증가 추세 반영, 작은도서관의 내실화 방안, 도서관 운영 전문성 향상을 위한 인력 배치, 공․사립도서관의 운영현황 차이를 고려한 활성화 대책, 공공도서관과 작은도서관의 협력체계 구축, 통계데이터의 정확성을 증대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은도서관 활성화 방안으로 양적인 조성보다는 질적인 운영지원으로 방향의 전환, 공립작은도서관의 운영의 안정화 노력, 사립작은도서관 전문성 향상 및 협력체계 구축, 작은도서관 법적기준의 강화, 작은도서관 캠페인을 통한 기업 참여유도를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diagnose the trend of operation of small libraries and suggest direction for promoting them through a fact-finding survey on small librarie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it was important to make efforts for improvement such as reflecting the trend of increasing number of small public libraries and apartment libraries of small private libraries, enhancing substantiality of small libraries, human resource allocation for enhancing professionalism of running libraries, introducing activation measures that can consider the current operation situation of public and private libraries, establishing cooperative system between public and small libraries and enhancing accuracy of statistics data. As for the ways of promoting small libraries, change of direction toward qualitative operation support rather than quantitative increase, attempts to stabilizing operation of public small libraries, enhancement of specialty of private small libraries and establishment of cooperative system, strengthening of legal standard for small library and induction of corporate participation through campaigns were suggested.

김성준(이리여자고등학교) pp.53-73 https://doi.org/10.4275/KSLIS.2015.49.4.053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 시설을 계획하고 개선하는 과정에서 이용자의 요구를 파악할 수 있는 표준화된 조사도구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도서관협회의 기준, IFLA의 학교도서관 가이드라인, AASL의 기준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학교도서관의 시설특성을 파악하였고, 요구조사 도구에 반영되어야 할 특성으로 교육적 활용성, 시설 접근성, 자료 접근성, 쾌적한 환경, 심미성, 공간성, 편리성, 정보기술, 업무 효율성, 확장성의 10개 특성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각 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요소를 우리 도서관 상황을 고려하여 선택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요구조사 도구는 설문지 방식으로 계량적 데이터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고, 학교도서관 상황에 따라 조사도구를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추가적으로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standardized needs assessment tool for school library facilities. To find common properties of school library facilities, this study explored KLA’s Standards for Korean Libraries, IFLA’s The School Library Guidelines and AASL’s Empowering Learners. Through these standards 10 common properties are selected to include in the assessment tool. As the result, this study proposed needs assessment tool for school library facilities in form of survey and several ways to apply it according to each library situation.

김정심(중앙대학교) ; 남영준(중앙대학교) ; 서만덕(중앙대학교) pp.75-97 https://doi.org/10.4275/KSLIS.2015.49.4.07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독서장애인을 위한 전자책을 개발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장애인들이 갖는 전자책 요구사항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시각장애인을 중심으로 청각장애인 등 신체장애인에게 설문지를 통해 장애유형별 출판물 이용행태와 독서장애인의 전자책 접근성 개선을 위한 요구사항, 장애인을 위한 전자책의 기능적 항목을 조사하였다. 설문대상은 196명에게 이루어졌으며, 다음과 같은 주요사항을 확인하였다. 장애인들은 종이책에 대한 선호도가 전자책에 대한 요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독서를 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실생활의 도움과 교양, 자기계발 순으로 조사되었다. 전자책 기능과 전자책 발간 종류의 다양성에 대해 부정적이었으며, 전자책이 단순한 플랫폼이 아니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개발되기를 희망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needs of the disabled around E-books in order to develop such E-books. This study surveys the disabled, including the visually disabled and the deaf, on the usage of publications by disability type, the area of improvement to enhance E-book accessibility and the E-book functions for the disabled. The study surveys 196 people with the following key findings. First, the disabled have a preference for paper books over E-books. Second, the disabled read for practical tips in daily lives, cultural development and self development in such particular order. Third, the disabled have a negative view on function and variety of E-books, and want E-books to be customizable software-based rather than a simple platform-based.

윤정원(University of South Florida) ; 정은경(이화여자대학교) ; 변지혜(이화여자대학교) pp.99-124 https://doi.org/10.4275/KSLIS.2015.49.4.099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As the improvement of digital technologies increases the use of images from various fields, the domain of image retrieval has evolved and become a growing topic of research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knowledge structure of the image retrieval domain by using the author co-citation analysis and author bibliographic coupling as analytical tools in order to understand the domain’s past and present. The data set for this study is 245 articles with 8,031 cited articles in the field of image retrieval from 1998 to 2013, from the Web of Science citation databas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uthor co-citation analysis for the past of the image retrieval domain, our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image retrieval in the LIS field consists of predominantly user-oriented approaches, but also includes some areas influenced by the CBIR area. More specifically, the user-oriented approach contains six specific areas which include image needs, information seeking, image needs and search behavior, image indexing and access, indexing of image collection, and web image search. On the other hand, for CBIR approaches, it contains feature-based image indexing, shape-based indexing, and IR & CBIR. The recent trends of image retrieval based on the results from author bibliographic coupling analysis show that the domain is expanding to emerging areas of medical images, multimedia, ontology- and tag-based indexing which thus reflects a new paradigm of information environment.

송민선(성균관대학교) pp.125-157 https://doi.org/10.4275/KSLIS.2015.49.4.125
초록보기
초록

한국학은 지역학으로써의 성격과 함께 다른 학문 분야와 복합적으로 얽힌 특성 때문에 학문 분야로서의 정체성 모색을 위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국내외 출판 자료 현황이나 주요 연구 성과 고찰 등 정성적 내용 분석 위주의 방법으로만 진행되어 왔으며, 계량서지학적인 방법을 적용한 연구는 이루어진 바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와 해외 한국학 분야에서 생산된 학술 논문 데이터를 대상으로 계량서지학적 방법을 적용해 지식 구조를 도출하고, FGI를 통해 심층적인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대체로 국내 한국학 분야는 인문학 성격을, 해외 한국학 분야는 사회과학 성격을 보이고, 시기적으로는 국내는 고대에서 현대를 모두 아우르는 데 비해 해외는 주로 근현대 시점 연구가 모여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계량서지학적인 방법론을 적용해 국내 및 해외의 한국학 분야 지식 구조를 도출하고, 전문가 인터뷰를 통한 종합적인 내용 분석을 실시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하지만 국내와 해외 한국학 분야를 동일선상에서 비교하는 작업이 보다 의미를 갖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국내외 한국학 관련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을 비롯해, 통상적으로 한국학에서 기준으로 삼는 시대별, 학문 분야별 관점들을 모두 포용할 수 있는 보다 정밀한 후속 연구가 이어질 필요가 있다 하겠다.

Abstract

In Korean Studies, there have been made many studies for finding the identity as the intrinsic academic field, because the Korean studies have complex intertwined characteristics with other fields. However, previous related studies have been mostly focused on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related to the major Korean Studies, the study applying the bibliometric method was not conduct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intellectual structures about the domestic and overseas Korean studies academic papers applying the bibliometric methods, and to analyze content of intellectual structures by focus group interview (FGI).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intellectual structure in the domestic Korean Studies ha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ities, and the intellectual structure in the foreign Korean Studies ha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Sciences. Also, the domestic Korean Studies encompassed a wide range of period from ancient to modern times, while the foreign Korean Studies focused on a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e way that it is the first study to draw the intellectual structures in the domestic and foreign Korean Studies applying the bibliometric method, and then to carry out the comprehensive analysis through FGI with specialists in Korean Studies. However, in order to do more meaningful one-to-one comparison studies about the field of the domestic and foreign Korean Studies, many follow-up co-studies reflecting diverse opinions of many researchers in Korean Studies will be necessary.

신은자(세종대학교) ; 최희윤(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서태설(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p.159-177 https://doi.org/10.4275/KSLIS.2015.49.4.159
초록보기
초록

요즈음 국내외를 막론하고 국제 학술지 출판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다. 특히 비영어권 국가를 중심으로 국제 학술지 출판에 관한 연구가 속속 발표되고 있어 주목을 끈다. 한국은 학술지의 국제화를 추진한 몇몇 사례를 보고하는 정도에 머무를 뿐 경험적인 연구가 활발하지 않다. 이에 이 연구는 KoreaScience를 통해 DOI를 제공하고 있는 국내 학술지 143종의 국제성 데이터를 수집해 상세히 분석함으로써 국내 학술지의 국제화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이들 학술지의 영향력지수는 증가세이지만 아직 우수한 수준은 아니었고, 편집위원회의 외국인 비중이 낮은 학술지도 적지 않았으며, 일부 학술지는 온라인 투고 시스템이 없었고, 영문 웹사이트를 운영하지 않는 곳도 있었다. 향후 국내 학술지가 국제 학술지로 거듭 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국제성 요소를 적극 보완하고, 글로벌 유통을 포함한 가시성 향상에 보다 매진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Today, many learned societies are very interested in publishing international journal, especially for titles from non-English speaking countries. In Korea, there is not many studies on publishing international journals except for some cases trying to internationalize domestic journals. This study analyzed international factors of domestic 143 titles offering DOI by KoreaScience. The analysis showed that many of these journals have low impact factors and editorial board without a lot of foreign scholars. Some titles don’t have online submission platform or English websites. It is recommended that domestic journals should reinforce international factors including global distribution with visibility to be considered as reputable international journals.

최윤경(이화여자대학교) ; 정연경(이화여자대학교) pp.179-201 https://doi.org/10.4275/KSLIS.2015.49.4.179
초록보기
초록

주제명 표목은 키워드 검색 환경에서 정교한 주제 브라우징과 검색을 제공할 수 있는 도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주제 접근 도구에서 적용된 다양한 패싯 유형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주제명 표목에 적용 가능한 패싯을 제안하는 것이다. 먼저, 문헌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혼재된 주제와 패싯에 대한 개념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고 정의하였다. 다음으로 사례 연구에서는 OCLC FAST와 PRECIS 제2판과 시소러스의 구축 지침인 『Thesaurus construction and use』, 콜론 분류법 제7판, 블리스 서지 분류법 제2판, 국제십진분류법 제3판의 패싯 유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주제명 표목에 적용 가능한 22개 패싯을 제안하였다. 상위 패싯으로 토픽, 사건, 장소, 시대, 개인명, 단체명, 표제명, 형식, 장르, 언어, 인물인 11개 패싯을 정의하고, 토픽 패싯은 하위에 토픽-사물/개체와 토픽-행동, 그리고 이 두 패싯의 하위로 부분, 종류, 전체, 속성, 물질, 수혜자, 산물, 부산물, 주체 패싯을 정의하였다.

Abstract

The subject heading is an elaborate access tool for subject browsing and searching in information retrieval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applicable facets to subject headings in Korea. First, the concepts of subject and the definitions of facets were investigated in the literature review. Second, six cases including OCLC's FAST, PRECIS, 『Thesaurus construction and use』, CC 7th edition, BC 2nd Edition, and UDC 3rd Edition were analyzed to focus on configuration of facets as case studies. Based on the results, twenty-two facets were proposed including Topical, Event, Geography, Chronology, Personal and Corporate Name, Title, Form, Genre, Language, and Person facets as 11 top facets. Also, Topical-Thing/Entity and Topical-Action/Status, Part, Kind, Property, Whole, Material, Patient, Product, By-Product and Agent facets as sub-facets of Topical facet.

이미화(공주대학교) pp.203-220 https://doi.org/10.4275/KSLIS.2015.49.4.2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 도서관에서 AACR2와 RDA 서지레코드의 공존에 따라 서지레코드의 디스플레이와 검색을 위한 하이브리드 서지레코드 생성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 문헌연구와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대상은 도서관으로 Kent State University, University of Houston이고, 하이브리드레코드 생성 알고리즘으로 Backstage Library Works이었다. 조사를 바탕으로 국내에서 하이브리드 서지레코드 생성을 위해서는 첫째, 하이브리드 서지레코드와 RDA 레코드의 식별이 필요하다. 둘째, 판사항에서 약어를 무조건 확장하여 기술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250에 기술된 정보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한다. 셋째, 260을 264로 변환하는 것보다는 260을 유지하도록 한다. 넷째, 자원유형을 정확히 변환할 수 있는 신뢰할 매핑표가 작성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국내 서지데이터에서 서양서의 기존 레코드를 하이브리드레코드로 변환하여 통일된 디스플레이와 검색이 가능하도록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creation of hybrid bibliographic records in complicated bibliographic environment applying both AACR2 and RDA for uniform display and correct search. The literature reviews and case studies were used as the research methods. In case studies, Kent State University, University of Houston as the libraries, and Backstage Library Works as algorithm converting to hybrid records were surveyed. For creating the hybrid records, it was needed to differentiate hybrid records and born RDA records, to keep the data that appeared in 250 tag without spelling out edition data, to maintain 260 tag instead of converting 260 tag to 264 tag, and last to design mapping table for converting GMD to CMC. This study would suggest uniform display and search through hybridization of bibliographic records of foreign resources.

윤정옥(청주대학교) pp.221-239 https://doi.org/10.4275/KSLIS.2015.49.4.22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WorldCat에 수록된 한국 관련 전기도서를 분석함으로써 한국 관련 인물에 대한 지식 분포 현황 및 확산의 가능성을 전망하는 것이다. 주제에 Korea를 포함하는 전기도서 서지레코드 15,007건과 청소년 대상 전기도서 487권의 언어와 주제, 주제 인물, 미국 내 소장도서관 등 분석하였다. 청소년 대상 영어전기 30권은 미국 내 소장도서관 수가 많았고, 김일성과 김정일이 가장 많이 등장한 주제 인물이었다. 한국어전기 457권은 소장도서관 수가 많지 않고, 세종대왕과 이순신이 가장 많은 책에서 다루어졌다. 한국 관련 청소년 대상 전기도서들은 본격 전기보다 초등 저학년 수준 그림책이나 일화 중심 스토리 등 편향성을 보여, 도서관 장서를 통한 한국 관련 인물에 관한 흥미 유발이나 지식 확산의 전망은 제한적이었다. 주제 패싯의 오류, 동일 주제 인물의 분산, 소장도서관 리스트의 부정확성 등 문제점도 확인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disseminating knowledge on Korean people by analyzing biographies for juvenile and general audiences with the subject term ‘Korea’ in WorldCat. Languages and topics of 15,007 bibliographic records and topic facets, biographees, and holding libraries in the U.S. of 487 biographies for juvenile audiences were analyzed.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30 English biographies are held by may libraries in the U.S. and the most popular subjects are Kim Il-song and Kim Jong-il, 2) 457 Korean biographies are not held by many libraries, and King Sejong and the General Yi Sun-sin are the most popular subjects, 3) many Korean biographies are picture books for the very young readers with the focus on Korean folklores and anecdotal biographies, and 4) there are some errors in topic facets, dispersion of biographees, and inaccurate holding lists of bibliographic records. Therefore, there seems to be little to read with an interest and promote the diffusion of knowledge on Korean people through libraries.

Yang Kiduk(경북대학교) ; 이종욱(Florida State University) ; 최원찬(Worcester Polytechnic Institute) pp.241-264 https://doi.org/10.4275/KSLIS.2015.49.4.241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Bibliometric analysis for research performance evaluation can generate erroneous assessments for various reasons. Application of the same evaluation metric to different domains, for instance, can produce unfair evaluation results, while analysis based on incomplete data can lead to incorrect conclusions. This study examines bibliometric data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research in Korea to investigate whether research performance should be evaluated in a uniform manner in multi-disciplinary fields such as LIS and how data incompleteness can affect the bibliometric assessment outcomes. The initial analysis of our study data, which consisted of 4,350 citations to 1,986 domestic papers published between 2001 and 2010 by 163 LIS faculty members in Korea, showed an anomalous citation pattern caused by data incompleteness, which was addressed via data projection based on past citation trends. The subsequent analysis of augmented study data revealed ample evidence of bibliometric pattern differences across subject areas. In addition to highlighting the need for a subject-specific assessment of research performance, the study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rigorous analysis and careful interpretation of bibliometric data by identifying and compensating for deficiencies in the data source, examining per capita as well as overall statistics, and considering various facets of research in order to interpret what the numbers reflect rather than merely taking them at face value as quantitative measures of research performance.

정경희(한성대학교) pp.265-288 https://doi.org/10.4275/KSLIS.2015.49.4.26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도서관보상금제도의 성과를 파악하고 문제점을 분석하기 위하여 2004~2014년간 도서관보상금 약정체결, 징수된 보상금액, 관종별 평균 보상금액, 보상금 분배현황, 보상금이 징수된 자료의 유형 및 출판년도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현재의 도서관보상금제도는 도서관의 디지털 자원 서비스를 보완하기에 한계가 있으며, 미분배보상금액이 지속적으로 높다는 점에서 저작권자에 대한 보호도 적절히 이루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의 도서관 디지털자원 서비스에 맞추어 디지털화가 가능한 소장자료의 범위와 예상되는 이용빈도 등을 고려하여 이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점과 도서관보상금 증액보다는 미분배보상금의 효율적 활용을 통한 간접적인 저작권자 보호가 현실적임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contracts for library remuneration, amount of the remuneration, average amount of the remuneration in relation to kinds of libraries, distribution of the remuneration, and types and publication year of the works to be collected remuneration based on the data during 2004~2014 from the KORRA. As results, current library remuneration system has limitations for libraries to digitize and transmit to the public their collections, Also, there are some limitations to the protection for copyright holders because the amount of the remuneration collected from libraries has declined and non distribution remuneration has been so high.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library remuneration system needs to be revised considering the scope of library materials to be digitized and predicted frequency of use. Also, the better practical solution to protect copyright holders is not a raise of the library remuneration but the efficient use of the non distribution remuneration.

허고은(연세대학교) ; 김기영(연세대학교) pp.289-315 https://doi.org/10.4275/KSLIS.2015.49.4.289
초록보기
초록

도서정가제란 2003년 2월부터 시행된 출판 및 인쇄 진흥법에 따라 책을 정가에 판매토록 의무화한 제도이다. 이의 적용수준을 더욱 강화하려는 출판계의 노력에 따라 할인율을 낮추고 적용 기관 범위를 넓히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한 출판문화산업 진흥법 개정안이 2014년 4월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여 11월에 시행되었다. 도서관계의 관점에서는 이 개정으로 도서정가제 적용 예외 기관이었던 도서관이 적용 기관으로 변경됨에 따라 자료 구입 축소와 구입 비용 상승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예산 확충에 대한 필요성이 인식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계의 정책행위자들이 개정안 통과와 시행 과정에서 어떠한 입장과 역할을 하였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정책행위자 간의 상호작용 구조를 파악하는데 용이한 정책네트워크 모형을 적용하여 이의 유용성을 확인하고 개선점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정책네트워크 모형 적용 연구에서 살펴보지 못했던 행위자 내부의 특성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The Fixed book price policy, a portion of publication and printing promotion act applied from February 2003 in the South Korea, is a system of fixed book prices that administered by a government body. The publishing industries had been attempted to lower the discount rate and to extend the application scope. The amendment for the attempts was passed in April 2014, and implemented from November 2014. From the library point of view, this amendment caused a reduction of buying library materials. For this reason, the agenda about expansion of material budget in libraries has been recognized as the alterna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nce and role of libraries as actors in the policy process. Based on this, this study also attempt to identify usefulness and improvement point of Policy Network Model.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dentifies actor's internal characteristics as an improvement point that previous studies did not identified.

박소연(덕성여자대학교) pp.317-334 https://doi.org/10.4275/KSLIS.2015.49.4.31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검색의 주 이용자 계층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모바일 검색 행태를 조사하고, 설문조사와 실험을 통하여 검색 포털들의 모바일 검색 서비스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고자 한다. 즉, 실제 이용자들이 실제 질의를 이용하여 모바일 검색을 수행한 후, 검색 포털들의 모바일 검색 서비스를 다양한 기준에 근거하여 평가하고, 모바일 검색 서비스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조사 결과, 검색 포털의 모바일 검색에서 개선이 가장 시급한 분야는 컨텐츠로 나타났으며, 이어서 인터페이스, 접근성, 모바일 검색 기능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포털들의 모바일 검색 서비스의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f mobile-based Web users, especially, college students. This study also evaluates mobile search services based on various criteria, and suggests how to improve portal’s mobile search serv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most urgent improvement is needed in the contents of mobile search services. Improvements are also required in the area of interface design followed by accessibility and mobile search functiona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the portal’s effective development of mobile search services.

김기영(연세대학교) ; 최윤희(연세대학교) pp.335-354 https://doi.org/10.4275/KSLIS.2015.49.4.33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도서관 내부의 조직적인 관점으로 대학도서관 주제전문서비스에 접근하여, 주제전문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 내부적 영향요인의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도서관 조직 내부에서 주제전문서비스와 관계있는 사서직원을 대상으로 수행한 심층면담을 바탕으로, 조직구성원 개인 수준, 주제전문서비스 담당 팀의 수준, 도서관 전체 조직 수준에서의 주제전문서비스를 분석하였다. 조직적인 측면에서 바라본 주제전문서비스는 팀 내 중요성 인식, 팀 차원의 지원과 협력, 동기부여와 팀 효능감, 내부 커뮤니케이션 등의 조직행동요인으로 설명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도서관의 목표달성에 기여하는 단위 활동으로서 주제전문서비스가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조직 차원에서 고려하여야 하는 내부요소를 탐색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internal organizational factors to subject specialized services in university libraries from a viewpoint of libraries as organizations. For this goal, a set of dee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veral librarians in a university library who are in charge of the subject specialized services, then analyzed the interview contents on individual, team, and organizational levels. The subject specialized services were explained with the perception of the job importance, support and cooperation on team level, motivation, team efficacy, and internal communication from the organizational viewpoint. As a result, the study identified several intern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to the services, which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sevice activation, with which organizational goals in libraries are supported.

심원식(성균관대학교) pp.355-378 https://doi.org/10.4275/KSLIS.2015.49.4.355
초록보기
초록

최근 미국, 영국, 호주 등의 국가에서는 국가 연구비 지원사업을 통해 수행된 연구에서 생산되는 연구데이터의 체계적인 관리와 공유를 시행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이 실시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구체적인 관련 정책이 부재하다. 또한 연구데이터의 공유 및 보존을 지원하는 관련 인프라가 구축되지 않아 막대한 국가 R&D 예산이 투입되어 생산된 연구데이터가 관리되지 않고 유실되고 있는 상황이다. 연구데이터의 수집, 관리 및 공유는 전통적인 성과관리상의 필요를 넘어 연구성과의 확산 및 경제발전의 견인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데이터의 공개는 연구수행에 있어서 연구윤리가 당연히 지켜져야 하는 것과 같으며 데이터 공개를 통해 보다 윤리적이고 효과적인 연구 환경을 만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개별 정책 차원에서 연구데이터의 공유 현황이 조사되었던 것에 반해 국가적인 차원에서 어떤 정책이나 도구를 통해 연구데이터가 수집되고 공유되고 있는지를 사례조사의 방법을 통해 연구하였다. 영국의 경우 연구데이터의 공유에 대한 국가적인 차원의 공통 원칙과 더불어 학문분야별로 다양한 정책 및 시행 방법을 운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비교적 넓은 폭의 정책수단에 대한 장단점 분석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영국의 연구데이터 공개와 관련된 법률적 기반을 살펴보고 국가연구비 지원기관인 RCUK(Research Councils UK) 산하 7개 연구비 지원기관과 산하 데이터센터, 그리고 관련 지원 기관의 기능을 중심으로 정책과 현황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우리나라의 국가 차원에서의 연구데이터 관리 및 공유체계 구축을 위한 로드맵을 제시하였다.

Abstract

In recent years, countries such as USA, United Kingdom and Australia have begun to implement national policies in order to systematically manage and share research data produced through publicly funded research. However, Korea as of yet does not have a coordinated research data policy. The lack of infrastructure that supports the sharing and preserving research data results in the poor management and loss of valuable data produced from significant national R&D investments. The need for research data collection, management and sharing goes beyond the outcome assessment of national research: it facilitates the diffusion of research impact and economic development. There is a growing recognition that data sharing is an essential element of research ethics.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relevant research data policies and methods of governance at the national level using a case study analysis. United Kingdom was selected as a case study target as it shows a wide variety of policy examples and instruments. In particular,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UK’s national legal framework for research data sharing, analyzes the RCUK (Research Councils UK)’s data policies, activities at the seven research councils under RCUK as well as several supporting institutions. Based on the analyses, this research offers a national roadmap for better managing and sharing of research data in Korea.

배경재(동덕여자대학교) pp.379-400 https://doi.org/10.4275/KSLIS.2015.49.4.379
초록보기
초록

도서관 장애인서비스의 중요성이 확산되는 상황에서 수요자 중심의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제공을 위해 현실적인 운영기준 마련이 시급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국내․외 도서관 장애인서비스의 운영기준 등을 조사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국내․외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운영기준을 분석한 결과 법적 기준과 관련 기관의 운영기준 모두 현실을 반영한 실질적인 기준으로서 개정이 시급한 상황이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과제는 우선 도서관 장애인서비스의 최소기준과 세부기준을 별도로 고려하는 것이다. 그중에서도 최소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도서관법 시행령의 조속한 개정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기준이 현실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도서관장애인서비스 통계 및 평가지표와 연계되어야 하며, 평가업무 연계에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서 기준 적용의 당사자인 장애인도서관 및 장애인이용자의 의견 수렴이 1차적으로 선행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realistic guidelines of the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should be made in the circumstance of the growing importance of the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Therefore, this study intended to draw implications through investigation of guidelines of the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on domestic and foreign libraries. As the results of those investigation, this research found that the legal standard and related guidelines should be amended urgently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us of related library situation. The first Issue that was derived in this study is to separate consideration of the minimum standards and the detailed criteria of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Secondly, the guidelines of the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should be linked statistics and evaluation index of government in order to be applied to the library spot realistically. To do so,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opinions of the library for the disabled and the disabled users should be reflected through listening and communications.

박종도(중앙대학교) pp.401-417 https://doi.org/10.4275/KSLIS.2015.49.4.401
초록보기
초록

질문 분류는 질의응답과정에서 질문자의 정보요구를 이해하고 주어진 질문에 대해 적합한 답변을 제공하기 위한 중요한 방법 중의 하나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및 도서관에서 활용 가능한 질의응답 서비스의 질문 분류체계를 조사해보고, 각 질의응답서비스의 유형별로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도서관의 참고서비스 및 온라인 상의 소셜 레프런스, 자동 질의응답 시스템을 대상으로 질문을 어떻게 분류하여 활용하고 있는지를 문헌 조사를 통해 살펴보고 종합하여 질문의 유형을 정리하였다.

Abstract

Question taxonomy is one of main approaches to understand the questioner’s information need so that we can assign relevant answerers to the question submitted by the user.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question taxonomy of question and answering services, which are available online and in libraries an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question answering services by type.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examines the types of questions appeared in literature, specifically focusing on social reference, question answering systems, and reference services, and then provides a summary of question taxonomy found in question answering services.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