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윤희윤(대구대학교) pp.5-26 https://doi.org/10.4275/KSLIS.2014.48.3.005
초록보기
초록

모든 나라에서 국가도서관을 위한 법정 납본은 자국에서 생산된 오프라인 및 온라인 출판물을 수집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장서개발 수단이다. 그러나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은 취약한 납본시스템으로 인하여 국내에서 생산․제작된 모든 유용한 자료를 수집하는데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법정 납본에 근거한 국립중앙도서관 장서개발의 현주소를 분석하고 연간 발행․제작되는 출판물의 총량을 추정한 다음에 이를 근거로 납본수집력 강화방안, 즉 가칭 ‘납본법’ 제정을 비롯한 납본규정(지침, 기준)의 추가 개발과 보완, 도서관법상의 납본조항 및 내용 개정, 납본수집 대상자료의 합리적 유형화, 자료유형별 납본수집 범위의 최적화 전략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legal deposit for the national library in all countries is the most important mean for acquiring the country’s off-line and on-line publications. Because of many limitations of legal deposit system, however,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does not properly collect the useful materials produced or manufactured in Korea.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author analyzed the status of collection development by legal deposit and estimated the total amount of domestic publications. Based on the these results, author suggested five plans for strengthening the national collections in terms of the provisional ‘deposit law’, the further development and complementary of current legal deposit regulations (guidelines and standards), desirable amendments of the legal deposit provisions in library act, reasonable division of the deposit targets, and optimization strategies of acquisition scope by material types.

강은영(신라대학교) pp.27-53 https://doi.org/10.4275/KSLIS.2014.48.3.027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그동안 장서개발을 주제로 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도서관의 자료구입비 확보를 위한 노력이 꾸준히 이루어져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공도서관 장서의 개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를 자료구입에 영향을 주는 법제에 초점을 두고 분석해 보았다. 이를 위해 첫째, 공공도서관 장서개발을 지원하는 재정적 토대인 자료구입비를 자체재원, 의존재원, 대안재원으로 나누어 각 항목이 유지되는 법제적 근거를 분석하였으며 둘째, 공공도서관 자료구입과정에서 자료구입비가 형성되는 근거를 분석하였다. 셋째, 도서관장서로 편입되는 자료의 성격을 규정하는 법제를 분석하고 넷째, 자료구입과정에 영향을 주는 법제를 계약형태 결정, 계약방법 결정, 자료납품업체 선정 단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취합하여 공공도서관에서 자료구입비를 확보하고 구입과정을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법제적 차원에서의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It is often said that collections of public library are too poor to meet user demands in terms of quantity as well as quality. It is also criticized that this situation is related to the lack of material budget and non-systematic purchasing process. Situated in such context,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current policies and regulations that control the material budget allocation and purchasing process in public libraries, because book purchasing process in public libraries is especially influenced by policies and regulations both in national and regional levels. Policies and regulations affecting material budget allocation and purchasing process were analyzed into 4 elements, namely about (1) financial foundation supporting collection development and material budget allocation, (2) the formation of material budget and discount rates, (3) prescribing characteristics of monographs public libraries purchase, and (4) acquisition process.

김양우(한성대학교) ; 박성재(한성대학교) pp.55-70 https://doi.org/10.4275/KSLIS.2014.48.3.055
초록보기
초록

다수의 이용자 기반 적합성 기준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지만 여전히 추가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추가연구 수행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은 사항의 미비와 관련 된다: ① 어린 이용자 집단 대상의 연구, ② 웹 환경에서의 연구, ③ 비적합성기준에 관한 연구 및 관련 시스템과 서비스 개선을 위한 시사점 도출. 이에 본 연구는 KERIS 에듀넷 사이트를 활용하는 40명의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탐색 및 자료평가 과정을 조사해 적합성 및 비적합성기준을 식별하였다. 연구결과는 16종류의 적합성기준, 8종류의 비적합성기준을 보여주었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한 제안점은 관련 시스템 및 서비스 개선과 관련된다.

Abstract

Although a significant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user-based relevance criteria, a need for further research still remains. The rational is associated with the following inadequacies: ① research on young user groups, ② research on the Web environment with multimedia resources, ③ research on the irrelevance criteria and implications to improve related systems and services. Accordingly, this study identified user-based relevance and irrelevance criteria, examining 40 middle school third grader students who use KERIS Edunet site. The results identified 16 relevance criteria and 8 irrelevance criteria. Major implications related to information system and service improvements.

백재은(덕성여자대학교) pp.71-111 https://doi.org/10.4275/KSLIS.2014.48.3.071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Metadata schemas are well recognized as one of the important technological components for archiving and preservation of digital resources. However, a single standard is not enough to cover the whole lifecycle for archiving and preserving digital resources. This means that we need to appropriately select metadata standards and combine them to develop metadata schemas to cover the whole lifecycle of resources (or records). Creating a unified framework to understand the features of metadata standards is necessary in order to improve metadata interoperability that covers the whole resource lifecycle. In this study, the author approached this issue from the task-centric view of metadata, proposing a Task model as a framework and analyzing the feature of archival metadata standards. The proposed model provides a new scheme to create metadata element mappings and to make metadata interoperable. From this study, the author found out that no single metadata standard can cover the whole lifecycle and also that an in-depth analysis of mappings between metadata standards in accordance with the lifecycle stages is required. The author also discovered that most metadata standards are primarily resource-centric and the different tasks in the resource lifecycle are not reflected in the design of metadata standard data models.

백지원(이화여자대학교) pp.113-135 https://doi.org/10.4275/KSLIS.2014.48.3.11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에서의 전자책 서비스에 있어 주요 쟁점 사항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도서관의 시각을 반영한 전자책 서비스 운영의 토대를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도서관계와 출판계를 중심으로 공공도서관의 현행 전자책 대출 서비스에 관한 상반된 시각과 주요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또한 공공도서관 전자책 대출에 관해 발표된 5종의 원칙을 내용적으로 범주화하여 도서관계의 공공도서관 전자책 대출의 핵심 원칙 7개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원칙을 대상으로 출판계가 제기하는 주요한 문제점과 국내외의 주요 대응 방식의 사례를 대응시켜 현안별로 대립되고 있는 양상과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주요 쟁점 사안별로 공공도서관의 공공성 증진이라는 사명의 측면과 도서관 전자책 대출 모델 개발에 관한 측면, 법적 제도 마련의 측면 등에서 향후 도서관계의 대응 방안을 논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e-book ecosystem, reveal a conflict and suggest the improvement strategies regarding e-book lending service in public libraries. For this, an extensive research was conducted concerning overall e-book issues and reveled the criteria for each sectors. The relationship and different view between publishing and library sector were presented. Then, the five public library e-book lending principles, developed by foreign national or international library associations, were analyzed. The seven main principles were derived and mapped to the current practice of publishers. As a result, the possible countermeasures of the Korean public library were suggested, particularly in terms of the mission of public library, development a standardized lending model, and the revision of law.

노영희(건국대학교) ; 심재윤(건국대학교 지식콘텐츠연구소) pp.137-168 https://doi.org/10.4275/KSLIS.2014.48.3.13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정책정보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해 정책정보 수요자의 요구를 파악하고 그 이용행태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정책정보서비스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 및 면담분석방법을 통해 정책정보 이용자의 요구 및 이용행태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책정보이용목적은 연구과제 수행과 정책동향 파악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입수경로는 인터넷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전자자료를 이용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국내자료 이용비율이 높았으며, 해외 자료 중에서는 미국자료 이용률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이용하는 자료의 최신성에 있어서 최근 2-5년 사이에 생산된 자료를 많이 이용하고, 많이 활용하는 자료유형은 Web DB(학술지, 학술기사, 전자저널 및 전자형태의 논문 포함) 및 보고서로 나타났으며, 요구도도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정책정보활용 효율성 고도화 방안에 대한 조사에서는 정부기관 소속 자료실간 협력, 정책정보 생산기관간 협력, 정책정보의 총체적 관리기관을 중심으로 한 국가정책정보의 총체적 수집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proposed to seek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policy information service in Korea by identifying users’ needs for policy information and analyzing policy information users’ behavior.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policy information users’ needs and behavior through survey and interview method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common purpose of policy information use was figuring out policy trends, and the Internet was the most common search method used in investigating policy information. Second, electronic resources showed a high rate of use, but the domestic material utilization ratio was higher, and the U.S. resources usage of overseas data was the highest. Third, users most often used materials produced within the last 2-5 years, and Web DB (journals, academic articles, etc.) and reports were the most used material types. Fourth, in the survey of opinion about methods for improving policy information utilization efficiency,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agencies’ libraries, cooperation between agencies producing the policy information resources, and the overall national collection of policy information were rated the highest.

박주현(광주광역시교육청) ; 사공복희(전남대학교) pp.169-191 https://doi.org/10.4275/KSLIS.2014.48.3.169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OECD PISA 2009 원자료를 활용하여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영향력과 책무성을 확인하고 공교육의 내실화에 이바지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OECD PISA 2009에 참여한 우리나라 만 15세 4,989명의 설문자료와 읽기성취도 점수를 활용하였다.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통하여 도서관방문이 독서태도와 독서방법 및 읽기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도서관방문은 독서태도, 독서방법 및 읽기성취도와 인과관계가 있었으며, 독서태도는 독서방법 및 읽기성취도와, 독서방법은 읽기성취도와 인과관계가 있었다. 이러한 인과관계에 집단을 적용한 결과, 일부 개별 경로에서 집단이 조절변수로 작용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educational influence and accountability of school library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public education, using raw data of OECD PISA 2009. To do this, the reading achievement as well as questionnaire of 4,989 Korean students’ data in OECD PISA 2009 were used. It analyzed how the visit of library can affect reading achievement, reading attitude and behavioral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library use factor is a cause-effect relationship among reading achievement, reading attitude and behavioral factors. In addition, the reading attitude is a cause-effect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behavior factor and reading achievement. In the part of reading behavior is a cause-effect relationship reading achievement. In the results of applying this causal relationship of whole population, in some individual cases, they are activated as moderating variable.

이지수(숙명여자대학교) ; 나경식(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193-215 https://doi.org/10.4275/KSLIS.2014.48.3.19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간호학과 학생들의 그룹과제 시 협동적 정보행태에서 나타나는 만족도 및 정서적 경험 등을 설문조사하여 이들의 관계에 대해 종합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이용자들의 협동적 정보검색에서 나타나는 긍정적 또는 부정적 정서에 대한 평가는 동일 설문지에서 PANAS 척도를 이용하여 정서적 경험을 측정하였다. 학생들의 협동적 정보검색에 대한 경험은 정서적 측면과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일반적 특성, 협동적 정보검색에 대한 경험, 정서적 측면과의 통계적 우의성은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학과 학생들의 협동적 정보검색과 정서적 경험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또한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 협동적 정보검색과 정서적 경험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생들의 성별과 ‘전반적 협동에 대한 만족도’, 학생들의 성별과 긍정적 정서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협동적 정보행태에서 정서적 경험에 대한 후속 연구에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user satisfaction and affective experience of collaborative information behavior in a group-based learning through survey method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For this purpose, the affective experiences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collaborative information search were examined using the PANAS scale through the same questionnaire. Correlation between students’ experiences of collaborative information search and affective aspects were examined,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using the t-test were also conducted to measure the relationship among students’ demographic factors, experiences of collaborative information search and affective aspect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xperiences of collaborative information search and affective aspects. Also,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students’ demographic factors, experiences of collaborative information search and affective aspects. In particular, there were signigicant differences in students’ overall satisfaction of collaboration and positive aspect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who experienced collaborative information search. This study found out the possibilities for a follow-up study for affective aspects in collaborative information behavior.

최윤희(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김기영(연세대학교) pp.217-235 https://doi.org/10.4275/KSLIS.2014.48.3.21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근로경험에 따른 도서관 마케팅효과에 대한 연구(최윤희 2012)의 후속 연구로서, 대학도서관의 근로학생 운영 특성을 조직구조와 조직커뮤니케이션의 특성으로 구분하였을 때, 각 집단에 속한 근로경험자의 충성도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근로학생의 행동적 충성도로 나타나는 구전마케팅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근로경험자 지인의 충성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대학도서관의 근로학생 운영이 대학 내 학생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한 마케팅 활동으로서 가지는 의의를 논의하였다.

Abstract

As a follow-up of the study on the marketing effect of undergraduates’ work experience in university libraries(Choi 2012), this study aims to identify differences in the library loyalty of student employees by the managerial characteristics of student employees and analyzes the loyalty of the acquaintances of the student employees to identify the word-of-mouth marketing effect by behavioral loyalty of student employee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analyses, we discuss the possibility of the management of student employees as a marketing activities in university libraries to the whole undergraduate student.

김현희(명지대학교) ; 장유리(명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237-264 https://doi.org/10.4275/KSLIS.2014.48.3.23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정보행동의 개입변수로 작용하는 심리적 요인인 성격 특성에 따른 이용자의 정보추구행태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200명의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성격검사 및 정보추구행태에 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성격 특성 분석을 위해 한국형 에니어그램(KEPTI) 도구를 사용하여 세 가지 힘의 중심과 아홉 가지 성격유형들로 구분하여 정보추구행태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 정보추구행태에는 ‘정보이용동기’, ‘학술 정보수집과 탐색패턴’, ‘학술 정보탐색 문제점, 장애 인식도 및 만족도’ 그리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이 있다. 분석 결과, 성격 특성이 대부분의 정보추구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힘의 중심 그룹에 의해서 분류된 세 개의 성격 집단(사고형, 감정형, 본능형)을 분석한 결과, 각 집단에 속한 세 가지 성격유형들은 일관성 있게 유사한 정보추구행태를 보이지 못했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ersonality styles on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of undergraduate students. To this end, first, Korean Enneagram Personality Training Indicator (KEPTI) tool was used to measure Enneagram personality styles. Next, to measure information seeking activities, 200 of undergraduate students were recruited, and a questionnaire with 13 questions was designed. The questions included information usage motivation, how to collect and search scholarly information, challenges faced in the search process, level of satisfaction, and the use of SNS (Social Network Service). This research concluded that personality traits affected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and Enneagram types of each center of energy consistently did not show similar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윤혜영(중부대학교) pp.265-280 https://doi.org/10.4275/KSLIS.2014.48.3.26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서비스 이미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공공도서관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공공도서관 서비스 이미지를 조사한 연구이다. 연구방법으로 대전광역시 지역대표도서관 이용자 1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도서관 서비스 이미지에 대해 신뢰성과 공공성을 가장 높게 평가하였으나 서비스충족은 가장 낮게 평가하였다. 둘째, 서비스 품질의 이미지로 나타내면 큰 차이는 없으나 상대적으로 절차품질이 높고, 인적품질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공공도서관 서비스 이미지 중 긍정율이 높은 이미지는 신뢰성의 ‘유용한 정보제공’, 공공성의 ‘신분에 상관없는 처리’, 유형성의 ‘편리한 시설’이었으며, 부정율이 높은 이미지는 접근가능성의 ‘좋은 교통여건’, 응답성의 ‘신속한 최신정보제공’, 유형성의 ‘쾌적한 시설’이었다. 넷째, 이용자의 특성에 따른 공공도서관 서비스 이미지의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10대에서 60대 이상에 이르기까지 연령이 높아질수록 평균이 낮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In this study, the service image of the public library was investigated to the users of the public library, and basic data to improve the service image of the public library was also analyzed. In order to analyze public library service image, survey was conducted to 143 users of regional central library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 reliability and publicity was the most highly rated and service satisfaction was the least highly rated. Second, when it was expressed with service quality image, there was no large difference. Third, reliability-providing useful information, publicity-fair treatment, and tangibles-convenient facility had positive images. On the other hand, access-good traffic condition, responsiveness-providing prompt new information, and tangibles-comfortable facility had negative images. Fourth, higher age group had lower mean value from teens to sixties.

이고은(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기영(연세대학교) pp.281-301 https://doi.org/10.4275/KSLIS.2014.48.3.28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민원을 청원과 불만표현의 두 가지 성격을 지닌 행위로 이해하고, 공공도서관에서 민원의 성격을 파악하고 그 요인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이용자와의 도서관 민원에 대한 심층면담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개발하여, 3개 공공도서관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거된 설문지 154부를 바탕으로 요인분석, 정준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도서관 민원은 건의/청원과 불평행위로 구분하여 이해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각각의 종속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요인으로 사서전문성, 서비스편의성, 사서와의 교류 등 6개 요인을 도출하였다. 또한 각각의 종속요인에 대한 개별 독립요인의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건의/청원 및 불평행위의 성격은 물론, 민원에 대한 기능적 접근뿐 아니라 구조관계적 접근의 중요성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분석 및 토의를 토대로 종속변수로서의 민원뿐 아니라 도서관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서의 민원 및 도서관의 대처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civil petitions and complaints within public libraries and to identify factors to the civil petitions. We develop a survey questionnaire for the goals based on the previous related studies and a pilot study with several open-ended interviews with public library users. Then we collect data using the questionnaire from 154 survey participants (public library users). The collected data are statistically analyzed by using factor analysis,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two identified dependent factors, such as petition and complaint, and six independent factors, including librarian specialty, service convenience, and communication between librarians and users. Through a series of statistical analysis for identifying specific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 dependent factors and predictors, we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brary civil petitions and complaints, and the importance of a structural/relation-based approach to the library civil petition as a complimentary for the functional approach. Based on the results and discussions, we suggest several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cluding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brary civil petitions and library performances.

김기영(연세대학교) ; 최상기(전북대학교) ; 김주섭(전북대학교) ; 안혜림(연세대학교) pp.303-334 https://doi.org/10.4275/KSLIS.2014.48.3.3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경영평가를 위한 표준지표 및 평가방법의 개발을 목표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 수집 및 합의를 통하여 평가체계 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대학도서관 평가의 목적과 요구조건을 살펴보고, 다수의 이해관계자의 의견에 기초하여, 심층면담, 설문조사, 포커스 그룹 등을 이용한 다단계 합의의 방법으로 평가지표를 추출하였으며, 이의 구성 및 배점체계 등을 개발하였다. 전반적 평가체계는 과정적 접근을 큰 틀로 하여, 내부적/기능적인 과정 범주와, 외부적/서비스중심적인 자원 및 결과 범주를 고려하였으며, 범주들 간의 중요도의 균형 속에서 조사 분석 결과의 항목별 중요성에 따라 배점체계를 구축하였다. 더불어 평가방법 및 연차별 평가개선 로드맵을 제시하였다. 평가체계의 개발을 통해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평가활동에 기여할 뿐 아니라 대학도서관의 성과요소 및 예측변인들에 대한 논의의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standard indicators and methodology for college & university libraries’evaluation based on the agreement among various stake-holders, then suggests a new evaluation system. For the goal, we identify purposes and required conditions, then develop indicators for the evaluation through open-ended interviews, a questionnaire survey, and focus group for reaching an agreement on the included indicators among the stake-holders, finally we construct the overall evaluation structure and weighting system. The overall structure is developed based on process-centered approach, then both the internal and functional viewpoint and external and service-oriented viewpoint are considered. The weighting system is based on the balance among the process categories, such as resources, process, and output elements. Additionally, we suggest methodology for the evaluation and annual improvement process for ongoing improvement of the evaluation system. We expect that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ill contribute not only to the evaluation activities but also to active discussions on library performance and its predictor factors.

한종엽(한국해양과학기술원) ; 이승민(숙명여자대학교) ; 서만덕(한국해양과학기술원) pp.335-351 https://doi.org/10.4275/KSLIS.2014.48.3.33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전문도서관의 특성에 맞는 SNS 운영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해양과학도서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SNS 운영 조직, 인력, 콘텐츠, 홍보에 관하여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전문도서관의 SNS 운영방안을 요약하면, ① 운영목적에 적합한 SNS 채널의 선택, ② SNS 운영에 대한 도서관 업무분장, ③ 연성형 T/F팀 조직 운영과 전담인력 지정, ④ 전문주제별 콘텐츠 특성화, ⑤ 참여형 이벤트 중심의 온․오프라인 홍보 실시, ⑥ 정기적인 로그분석을 통한 콘텐츠 개선, ⑦ SNS 이용을 통한 도서관 홈페이지 이용 유도 등이 있다. 또한 전문도서관 SNS 운영의 발전방향으로 전문도서관 직원 간 업무소통 및 협력강화, 모기관 연구 및 학술성과의 확산, 이용자와의 소통창구로서 역할 강화, 도서관의 소셜 큐레이터 역할 수행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proposes a customized SNS operational strategy for special libraries based on a case study on the Ocean Science Library (OSL) of South Korea. The study conducted an in-depth analysis on an organizational structure, manpower, contents, and promotion. The outcome of SNS operational strategy deducted from this study can be categorized into several items, including: (1) a selection of an appropriate SNS channel, which meets the objective of the operation; (2) a formal division of works for SNS operation; (3) a designation of full-time managers and an establishment of a task force team; (4) a specialization of contents according to specific subjects; (5) on/off-line promotions focused on events, which encourage participations; (6) an improvement of contents through regular log analyses; and (7) a promotion of library website access through SNS, and so on. This research also suggested the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SNS operation: strengthening of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mong librarians; distribution of academic and research outcomes of the umbrella organization; enhancement of a role as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librarians and users, and carry out a role as a ‘social curator.’

우윤희(계명대학교) ; 김종성(계명대학교) pp.353-379 https://doi.org/10.4275/KSLIS.2014.48.3.353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대만의 공공도서관 역사와 현황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1901년 대만문고를 일본 거류민이 설립함으로써 시작된 대만 공공도서관의 역사는 대만총독부도서관 설립으로 본격화되었다. 광복과 중화민국 정부의 대만천도 이후 침체를 겪다가 1979년 ‘문화건설계획’ 이후 양적으로 늘어나고, 1987년 계엄령 해제로 출판물이 증가하면서 질적으로도 발전하게 되었다. 이후 급격히 발전한 대만 공공도서관의 현황을 통해 공립공공도서관이 발전의 주축이 되고 있다는 점, 국가도서관뿐만 아니라 주요 공공도서관 관장이 도서관전문가라는 점, 현장에서의 연구가 활발하다는 점, 도서관의 독서진흥활동이 성인독자, 노인독자 등 연령대를 폭넓게 하여 이루어진다는 점, 도서관간의 상호협력, 녹색도서관건축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는 점 등의 장점을 발견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to review the history and general condition of Taiwanese public libraries. The first Taiwanese public library was established in 1901 by Japanese resident and the Japanese government. After Independence and moving the seat of government to Taiwan, public libraries was depressed. But since 1979 public libraries have been increased quantitatively because of the construction of culture center and qualitatively because of growth of publications in 1987. Then Taiwan public libraries was developed very rapidly. There are several advantage, including government library’s leadership, professional chief librarian, tradition of field research by librarian, inter-library cooperation system, green library building, and so on.

김유승(중앙대학교) pp.381-410 https://doi.org/10.4275/KSLIS.2014.48.3.38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작은도서관 관련 법령과 조례를 통해 작은도서관의 양적 팽창과 그에 따르는 문제들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선행연구와 문헌 분석을 통해 작은도서관의 연혁과 현황을 조사하고 사회운동으로서의 작은도서관이 지니는 성격을 논하였다. 법령 분석을 통해, 「도서관법」에 나타난 작은도서관의 법적 지위의 변화와 의의를 살피고, 「작은도서관 진흥법」을 비롯한 작은도서관 관련 법령의 내용을 정리하였으며, 자치법규시스템과 국가법령정보시스템을 통해 추출한 114건의 자치법규를 일반현황, 상위 법령, 정의, 시설 및 장서 기준, 운영 인력의 자격요건 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론에 갈음하여 작은도서관 관련 법제도의 당면 과제를 시설 및 자료 기준, 운영 인력, 지원 및 관리의 세 가지 측면으로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iscuss issues related to small libraries by analyzing laws and municipal ordinances. It conducts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on the history and present conditions of small libraries and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small libraries as a social movemen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Libraries Act, the legal status of small libraries are argued and other related regulation are also discussed. 114 municipal regulations which are related to small libraries are analyzed into five categories including general conditions, related laws, definitions, facilities, and workforce. As a result, the alternative strategies for legal issues on small libraries are provided in the three different aspects.

한미경(경기대학교) pp.411-430 https://doi.org/10.4275/KSLIS.2014.48.3.411
초록보기
초록

중국의 구현당안관은 해당 구(區)와 현(縣)의 각 기관과 단체 및 개인의 당안과 사료를 수집⋅관리 및 보존하여 이용에 제공하는 기관이다. 이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기록관에 대한 해외 사례연구의 일환으로 중국 북경지역의 16개 구현당안관을 조사 분석하였다. 구현당안관의 경영 측면으로 설립현황과 기능 및 기구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였으며, 구현당안관의 당안 측면으로 당안의 수집범위와 수집방법 및 소장당안의 특징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중국의 당안의 정보자원화 구축과 국가적 차원의 통합검색 시스템의 구축을 기대하며,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 기록관 설립과 운영을 위한 해외 사례로 참고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Quxian Archives is the institution collecting, managing and preserving archives and historical materials of each institution, group and individual of pertinent districts and prefectures. This study investigated 16 Quxian Archives in Beijing and surrounding areas in a bid to conduct overseas case study of archives of primary local governments or municipalities. Establishment status, function and organization of Quxian Archives were studied in terms of management. And collection range, method of coll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archives in possession were studied in terms of archives of Quxian Archives. Through this study, the construction of informatization of resources of archives and establishment of integrated retrieval system on national level are expected. It is also expected that this will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rchives of Korea’s primary local governments and municipalities, working as one of overseas example of operation.

이은주(경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431-458 https://doi.org/10.4275/KSLIS.2014.48.3.43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도서관목록이 이용자 친화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이용자들의 정보요구에 기반 해야 함을 전제로 두고, 이용자 요구 기반 도서관목록의 모습을 제안하고 실제 구현 가능성을 점검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1) 이용자들의 정보요구와 정보탐색행태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고, (2) 이용자 요구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도서관목록을 직접 구현한 뒤, (3) 이용자들의 만족도 평가를 통해 이 연구에서 제안한 도서관목록의 유용성을 도출하였다. 나아가 (4) 연구의 전 과정을 진행하면서 봉착했던 어려움과 한계를 논의하면서 이용자 요구 기반의 도서관목록을 구현하고자 할 때 선행되어야 할 과제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research looked into both meaning and value of library catalog through the information behavior of user and suggested a plan to improve the quality and search functions, which are reflected the users’ information needs and search behavior. U-CAT, a experimentally developed with reinforcing the contents and search functions of current library catalogs, was tested with the degree of satisfaction by the sample user group.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user’s satisfaction on U-CAT was very high. The result verified that a little change with current library catalogs (to upgrade its quality) could result in a higher satisfaction of user group.

이보라(군포 오금초등학교) pp.459-490 https://doi.org/10.4275/KSLIS.2014.48.3.45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설계기반연구를 활용하여 논제 구축형 독서토론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에 위치한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논제 구축형 독서토론수업 모형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논제 구축형 독서토론수업 모형은 학생들의 독서태도와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의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structional model for expanding reading debate topic. Also, effects on reading attitude and self-directed learning are identified in this study. The instructional model is implemented for target students,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model was evaluated by a pre-test and a post-test, targeting on students in fourth grade. As a result, this model is effective on developing reading habits and establishing self-directed attitude.

김판준(신라대학교) ; 이재윤(명지대학교) pp.491-510 https://doi.org/10.4275/KSLIS.2014.48.3.491
초록보기
초록

학술지 논문의 효율적인 관리 및 검색을 위한 주요 요소인 키워드는 통제키워드와 비통제키워드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 데이터베이스에서 대부분의 학술지 논문에는 비통제키워드인 저자키워드만이 부여되어 있을 뿐, 망라적인 탐색을 돕는 통제키워드로서 디스크립터는 제공되지 않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해외 데이터베이스의 학술지 논문에 부여된 통제키워드를 학습한 분류기를 사용하여, 국내 학술지 논문에 디스크립터를 자동 할당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국외 데이터베이스의 디스크립터 학습을 통해 영문 초록이 있는 국내 학술지 논문에 통제키워드를 자동 할당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양한 분류기 및 분류기 결합을 통하여 이러한 디스크립터 자동 할당의 성능 향상을 모색하였다.

Abstract

As a major factor for efficient management and retrieval of the articles in databases, keywords are classified into uncontrolled keywords and controlled keywords. Most of Korean scholarly databases fail to provide controlled vocabularies to indexing research articles which help users to retrieve relevant papers exhaustively. In this paper, we carried out automatic descriptor assignment experiments to Korean articles using automatic classifiers learned with descriptors in international database.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show that the classifier learning with descriptors in international database can potentially offer controlled vocabularies to Korean scholarly articles having English abstracts. Also, we sought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automatic descriptor assignment using various classifiers and combination of them.

남태우(중앙대학교) pp.511-530 https://doi.org/10.4275/KSLIS.2014.48.3.511
초록보기
초록

Melvil Dewey는 도서관운동가, 사상가, 교육자 그리고 선각자 등 다양한 측면에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교육가로서 그의 생애는 도서관계에서는 관심 밖의 영역으로 남아있다. Dewey의 도서관 사상의 근원은 학교교육과 가정교육의 두 가지 측면으로 구분해서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Dewey는 도서관이 교육분야에서 수행해야 하는 기능과 역할 등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큰 역할을 담당하였다. 하지만, Dewey의 이러한 교육관에 대해서는 국내 연구에서는 조명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에서의 생애교육을 Dewey의 교육사상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Abstract

Melvil Dewey has been evaluated as a person of library movement, a man of thought, and a pioneer. However, the life-long achievements as a teacher has not been considered in the domain of library science. The foundations of Dewey’s thought of public library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school education and home education. Based on these two types of education, Dewey established the major role of public libraries in supporting the life-long education of the public. Regardless of the great achievement of Dewey in education, few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sider the role of libraries from the perspective of life-long education based on the thought of Dewey.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