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토픽모델링 모형인 LDA, Top2Vec, BERTopic을 대상으로 실험데이터에서 토픽을 추출하고,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각각의 모형 간의 특성과 차이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험데이터는 Web of Science(WoS)에 등재된 문헌정보학 분야 학술지 85종에 게재된 논문 55,442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 과정으로 우선 각 모형의 파라미터를 기본값 그대로 이용하여 1차 토픽모델링 결과를 얻었고, 최적의 토픽 수를 설정하여 각 모형의 2차 토픽모델링 결과를 얻었으며, 이들을 각 모형과 단계별로 비교분석하였다. 1차 토픽모델링 단계에서는 LDA, Top2Vec, BERTopic 모형이 각각 100개, 350개, 550개의 토픽을 생성하여 세 모형은 각각 매우 다른 크기의 토픽 개수를 가져왔으며, LDA 모형에 비해 Top2Vec이나 BERTopic 모형이 토픽을 3배, 5배 더 세분화하였다. 또한 세 모형은 토픽 당 문서 수의 평균이나 표준편차에서도 많은 차이가 났다. 구체적으로 LDA 모형은 비교적 적은 수의 토픽에 많은 문서를 부여하는 반면, BERTopic 모형은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25개의 토픽 수를 생성하는 2차 토픽모델링 단계에서는 다른 모형에 비해 Top2Vec 모형이 평균적으로 토픽 당 많은 문서를 부여하고 토픽 간에 고르게 문서를 할당하여 상대적으로 편차가 작았다. 또한 모형간의 유사 토픽의 생성여부를 비교하면, LDA와 Top2Vec 모형이 전체 25개 중에 18개(72%)의 공통된 토픽을 생성하여 BERTopic 모형에 비해 두 모형이 더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향후 토픽모델링 결과에서 각 토픽과 부여된 문서들이 주제적으로 올바르게 형성되었는지에 대한 전문가의 평가를 통해 보다 완전한 분석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topics from experimental data using the topic modeling methods(LDA, Top2Vec, and BERTopic) and compare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between these models. The experimental data consist of 55,442 papers published in 85 academic journals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hich are indexed in the Web of Science(WoS). The experimental process was as follows: The first topic modeling results were obtained using the default parameters for each model, and the second topic modeling results were obtained by setting the same optimal number of topics for each model. In the first stage of topic modeling, LDA, Top2Vec, and BERTopic models generated significantly different numbers of topics(100, 350, and 550, respectively). Top2Vec and BERTopic models seemed to divide the topics approximately three to five times more finely than the LDA model. There were substantial differences among the models in terms of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documents per topic. The LDA model assigned many documents to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topics, while the BERTopic model showed the opposite trend. In the second stage of topic modeling, generating the same 25 topics for all models, the Top2Vec model tended to assign more documents on average per topic and showed small deviations between topics, resulting in even distribution of the 25 topics. When comparing the creation of similar topics between models, LDA and Top2Vec models generated 18 similar topics(72%) out of 25. This high percentage suggests that the Top2Vec model is more similar to the LDA model. For a more comprehensive comparison analysis, expert evaluation is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the documents assigned to each topic in the topic modeling results are thematically accurate.
본 연구의 목적은 에듀테크 기반 학교도서관활용교육 설계 모형을 제안하는 것이다. 에듀테크 기반 교육은 학습 경계를 확장하고, 학습자 중심의 디퍼러닝을 위한 새로운 수업 환경과 학습 경험을 필요로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체제이론에 기반을 둔 ADDIE 모형을 수정하여 ‘분석 단계, 사전 학습 및 개발 단계, 수업 운영 단계, 협동수업 평가 단계’로 구성된 4단계 교수 설계 모형(안)을 제시하였다. 이 모형은 플립러닝과 백워드 교수 설계 요소 및 탐구기반학습 요소를 반영하여 학생 맞춤형 자료 개발과 탐구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학습의 범위를 사전 학습, 대면 학습, 추가 학습으로 확대하여, 협동수업의 다양성을 도모하였다. 그리고 에듀테크 환경에서 학교도서관활용교육 활성화 방안을 사서교사의 전문성, 학교도서관 공간, 예산, 표준 교육과정 개발 및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design model for school library based instruction under EduTech. EduTech-based education expands learning boundaries and requires new instructional environments and learning experiences for learner-centered deeper learning. Accordingly, this study modified the ADDIE model based on the system theory and presented a four-stage instructional design model (draft) consisting of ‘analysis stage, preliminary learning and development stage, learning management stage, and team teaching evaluation stage.’ This model reflects elements of flipped learning, the backward design model, and inquiry-based learning to develop of customized student materials and inquiry activities. In addition, the scope of learning was expanded to include prior learning, face-to-face learning, and additional learning to increase the diversity of collaboration and opportunities to utilize school library materials. Also, Several ways for school library based instruction within EduTec were proposed in terms of teacher librarians’ expertise, school library space, budget, standard curriculum development, and comprehensive support system for reading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주민, 도서관 사서 및 운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인식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강동구 도서관의 중장기적 종합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강동구 도서관 이용자 및 비이용자 1,2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보다 심층적인 의견 수렴을 위해 지역 주민과 공공도서관 및 북카페도서관 사서, 작은도서관 운영자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도 실시했다. 그 결과 강동구 도서관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는 생태계 구성을 위한 조정 및 특성화 재정비를 위한 도서관별 역할 정립, 정보사회에 요구되는 시공간 제한이 없는 서비스와 프로그램 도입 필요, 비이용자를 도서관으로 이끌 수 있는 적극적인 홍보, 다양한 관종을 아우를 수 있는 시스템 정비 및 지원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mid-to long-term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for Gangdong-gu libraries by analyzing the results of a perception survey conducted on local residents, librarians and operators.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1,224 library users and non-users in Gangdong-gu. To collect more in-depth opinion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also conducted with local residents, librarians at public libraries and book cafe libraries, and operators of small libraries. As a result,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Gangdong-gu librar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role of each library to adjust and reorganize specialization to form an ecosystem, to introduce services and programs without time and space restrictions required in the information society, and to actively promote and attract non-users to the library. The conclusion drawn is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and support system that can encompass various types of libraries.
본 연구에서는 충청북도교육청을 중심으로 한 공동보존관의 설립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학교도서관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조사대상 학교도서관들은 이미 포화도가 극에 달해 개별 도서관은 장서 포화도의 관리와 적정 장서 수의 관리를 요구받는 상황이었다. 둘째, 장서보존을 위한 시설을 갖추고 있는 도서관이 거의 없었다. 셋째, 78%의 학교도서관에서 장서포화도가 이미 75% 이상을 넘고 있고, 이로 인해, 매년 폐기 장서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신속한 공동보존 자료관의 체계적인 운영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단위 도서관에 보존을 위한 시설을 갖추기 어려운 상황으로 희귀서, 특화자료 등 보존가치가 있는 자료는 공동보존자료관으로 이관이 필요하며, 자료보존 관련 정책 및 규정도 필요할 것이다.
In this study, we aimed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establishing a shared preservation center with a focus on the Chungcheongbuk-do Office of Education. We conducted surveys to assess the current situation and gather perceptions. The research finding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ly, the surveyed school libraries were already experiencing extreme levels of book saturation, necessitating the management of book saturation and proper book quantity. Secondly, very few libraries had the facilities required for book preservation. Thirdly, the research showed that in 78% of school libraries, book saturation already exceeded 75%, leading to a rapid increase in discarded books each year.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systematic expansion of a shared preservation center. Moreover, given the difficulty of individual libraries in establishing facilities for preservation, valuable materials such as rare books and specialized resources should be transferred to a shared preservation center. Additionally, policies and regulations related to material preservation are deemed necessary.
본 연구는 사서학습공동체 운영 가능성과 성공적인 도입을 위해 사서학습공동체에 대한 사서의 인식 및 수요를 조사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도서관 현직 사서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474건의 응답을 수집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서학습공동체에 대해 사서는 매우 낮은 인식을 지니고 있었지만 사서학습공동체 운영의 취지와 의미에 대해서는 높이 평가하였다. 둘째, 사서학습공동체의 참여동기는 전문성 신장, 동료들과의 연대, 지적 호기심 충족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서는 사서학습공동체의 궁극적 가치로 도서관 서비스 개선, 전문성 함양, 협력적 집단 탐구, 가치와 비전 공유의 순으로 응답했다. 넷째, 사서학습공동체의 성공요인은 구성원의 자발성, 구성원 간의 협력 문화, 일과시간 확보(주 1회), 지원 환경(예산, 공간 등) 등 순으로 나타났고, 실패 요인은 사서 업무 과중으로 인한 시간 부족, 구성원의 자발성 부족, 기관장의 무관심, 지원 환경(예산, 공간 등)의 부족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서의 사서학습공동체 참여의지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심있는 주제 또한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사서학습공동체 운영 시, 실질적인 운영 방식의 결정이나 주제 선정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librarians’ awareness of and demand for the librarian learning community in order to successfully introduce and operate the librarian learning community.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current librarians and a total of 474 responses were collected.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librarians showed a very low awareness of the librarian learning community, while they highly evaluated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such a community. Secondly, the motivations for librarians to participate in the librarian learning community were primarily focused on professional growth, solidarity with colleagues, and satisfaction of intellectual curiosity, in that order. Thirdly, the ultimate values of the librarian learning community were identified as improving library services, enhancing professionalism, fostering collaborative group exploration, sharing values and visions. Fourthly, the success factors of the librarian-learning community were ranked as follows: member voluntarism, a culture of collaboration among members, dedicated time (once a week), and a supportive environment (budget, space, etc.). On the other hand, the failure factors were identified as a lack of time due to heavy workloads, lack of member voluntarism, indifference from superiors, and insufficient support environment (budget, space, etc.). Finally,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s also very high. Furthermore, it was observed that there is a wide range of interests in various topics among libraria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as basic data for determining practical operation methods or selecting topics when operating a librarian learning community in the future.
본 연구는 14세 미만 어린이의 공공도서관 대출회원증 발급 간소화 방안을 제시하고, 공공도서관 이용의 편의 증진 및 이용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련 법류 및 제도, 관계 서비스 및 시스템을 분석하고 전국 공공도서관 1,211개 관의 14세 미만 어린이의 대출회원증 발급 절차를 전수조사하여 유형별 발급사례를 도출․분석하였으며, 포커스 그룹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 중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을 활용하여 14세 미만 어린이의 공공도서관 대출회원증 발급 절차 간소화를 위한 단계별 가이드라인 및 이해관계자의 역할과 법률 및 제도 등 환경 개선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plan to simplify the issuance of public library loan membership cards for children under the age of 14, and to devise measures to promote the convenience of using public libraries and to promote their use. To this end, related laws and systems, related services, and systems were analyzed. The issuance cases for each type were derived and analyzed by thoroughly investigating the procedure for issuing loan membership cards for children under the age of 14 in 1,211 public libraries nationwide,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Based on this, the “double diamond model” was employed among service design methodologies to propose step-by-step guidelines for simplifying the procedure for issuing public library loan membership cards for children under the age of 14, as well as improving the environment, such as the roles of stakeholders, laws, and systems.
This study aimed to discuss the utilization of a makerspace regarding 3D printers in a children’s library by conducting co-design sessions targeting the end-users, children. To achieve this, a program utilizing a 3D printer was conducted for seven children at the Seoul Children’s Library, followed by interviews with both the children and their parents. The results revealed several key findings: First, during the design sessions, participating children showed interest in the physical realization of ideas through the use of a 3D printer. Researchers adjusted their level of intervention based on each child’s tendency, playing a supportive role. Second, children became aware of various limitations associated with 3D printers and public library makerspace. Third, the rapport between children and researchers positively influenced the design sessions, driven by the active communication of children. This study suggests a reevaluation of the value and necessity of library makerspace from the perspective of user autonomy and creativity and emphasizes the need to closely understand the end user’s requirements in establishing operational strategies for library makerspace.
교수․학습 패러다임의 전환에 따라 비정형 학습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주도로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전문가학습공동체를 사서를 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적용해보고자 관련 문헌과 사례를 분석하였다. 국내외의 사서와 타 분야의 전문가학습공동체 7개의 운영 사례를 선정하여 학습공동체 구성, 운영 형식과 방법, 학습 내용, 지원 체계 등을 분석하였다. 문헌 검토와 사례 분석을 종합하여 (가칭)사서학습공동체의 개념을 정의하고, 사서학습공동체 구성 및 운영을 위한 시사점으로 구성의 자발성과 다층위성, 학습공동체 운영 형식의 다양성, 학습 내용의 현장성을 도출하였다. 사서학습공동체의 원활한 운영과 활성화를 위한 지원 체계로는 운영기관의 프로그램 운영의 지속성, 소속기관의 지지와 협조, 교육 및 연수 프로그램,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활성화를 위한 성과 확산과 환류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As the teaching and learning paradigm shifts, the demand for informal learning is increasing. In this study, we reviewed related literature and analyzed cases of operating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in order to apply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to librarianship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Seven operational cases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both domestic and foreign, within the field of librarianship and other fields were selected.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perational format and method, learning content, and support systems were analyzed. Through this analysis, the concept of a librarian learning community was defined, and implications for organizing and operating a librarian learning community were derived from the spontaneity and multi-layeredness of composition, diversity of learning community operation formats, and fieldality of learning content. As a support system for the smooth operation and activation of the librarian learning communities continuity of program operation by the operating organization, support and cooperation from affiliated organizations,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platform establishment and operation, and dissemination and feedback of results for activation were presented.
해외 소장 한국 고지도는 자료의 물리적 접근이 어려운 점과 고지도의 추상성 등으로 인해 연구하는데 제약이 있다. 따라서 서지사항이나 기술요소에 좀 더 자세하고 전문적인 특성이 반영되어 이를 통해 고지도 연구에 도움이 되는 정보가 제공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한국고지도의 계통을 연구할 때 필요한 고지도의 요소를 해주신본 계통의 고지도를 바탕으로 분석하여 고지도 기술요소로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도출된 총 8개 영역의 56개 고지도 기술요소를 바탕으로 국내에 잘 알려지지 않은 해외 소재 주요 고지도인 프랑스국립도서관 소장 「영연도」에 적용한 후, 고지도 연구의 접근성과 활용성에 도움이 되는 고지도 기술요소 최종안을 제안하였다.
Due to the challenging physical access of data and the abstraction of the old map, the study of the old map, which is owned by overseas collections, is limi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lude more detailed and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in the bibliography or description elements, and to provide information that is helpful for the study of the old map through many ways. In this study, the elements of the old map based upon the system of the Haejushinbon were analyzed and added to the description elements of the old map for studying the Korean old map system. Fifty six description elements in 8 areas from the analysis were applied to 「Yeongyeondo」 in the French National Library, a major old map located overseas that was not well known in Korea. In conclusion, additional description elements of the old map were proposed to enhance accessibility and utilization of old map research.
본 연구는 비대면 강의 수강 경험이 있는 학부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비대면 강의 플랫폼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를 파악하고, 비대면 강의 플랫폼 설계 및 개발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이용성 요인이 강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검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문헌조사를 통해 비대면 강의 플랫폼 개발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주요 요인을 정리하고 연구모형을 수립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구성원을 대상으로 대학 비대면 강의 플랫폼 이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원칙 충족도, 플랫폼 이용성, 플랫폼 만족도, 비대면 강의 만족도 등에 대한 인식을 묻는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설문조사 응답 분석을 통하여 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고 모형화하였다. 학습자 유형 및 비대면 강의 방식 유형별로도 동일한 모형 적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평가 결과를 토대로 플랫폼의 이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원칙 충족도가 플랫폼 활용 비대면 강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연구모형이 향후 비대면 강의 환경 개선과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undergraduates’ and graduate students’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with online learning platforms an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usability factors and satisfaction with online courses. The literature review facilitated the summarization of major factors to be considered in the online learning platform development process and established the research model. The follow-up survey verified the perceptions of university constituents regarding the fulfillment of the university online learning platforms’ user interface principles, platforms’ usability, satisfaction with platforms, and satisfaction with online courses.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were tested and modeled by analyzing survey results. We also confirmed that the same model can be applied to different types of learners and various types of online learning method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verifying that the fulfillment of the platforms’ user interface design principles can affect satisfaction with online courses using the platforms based on learners’ evaluation results. We expect that the research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in the future.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의 데이터 기반 R&D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새로운 학술정보유형과 데이터셋을 발굴하고, 학술정보서비스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선행 연구로서 연구자가 필요한 학술정보와 데이터 요구사항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연구자 5인의 탐색적 사례 연구와 ScienceON 이용자의 온라인 설문을 통해 데이터 기반 R&D 행태 및 정보․데이터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데이터 기반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들은 학술논문을 많이 활용하며 데이터셋이나 소프트웨어 정보 또한 학술논문이나 학술회의자료로부터 참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제 분야별로 활용하는 데이터 확보 방법, 획득 경로와 활용 데이터 유형이 차이가 있으며, 연구자들은 필요한 데이터셋이나 학습모델과 같은 소프트웨어가 어디에 있고 어떻게 확보해야할지 모르는 경우가 많아 연구를 수행하는데 애로사항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데이터 기반 R&D를 지원하기 위해 주제별로 데이터셋을 체계적으로 구축해야할 필요가 있으며, 학술논문과 연계하여 데이터셋과 관련 소프트웨어 정보를 별도로 추출․요약해서 제공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분석하였다.
In this study, as a preliminary research to effectively support data-driven R&D of researchers, we analyzed the academic information and data requirements for researchers to discover new types of academic information and datasets, and to propose directions for academic information service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we conducted an exploratory case study involving five researchers and administered an online survey among ScienceON users to glean insights into data-driven R&D behaviors and information/data requirements. As a result, researchers relatively referred to academic papers, datasets and software information from academic papers or conference materials. Moreover, the methods and pathways for acquiring data, as well as the types of data, varied across different subject areas. Researchers often faced challenges in data-driven R&D due to difficulties in locating and accessing necessary datasets or software such as learning models. Therefore it has been analyzed that for future support of data-driven R&D, there is a need to systematically construct datasets by subject. Additionally,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extract and summarize dataset and related software information in conjunction with academic papers.
장서개발 정책은 도서관 서비스의 근간이며, 도서관의 성격과 정체성이 드러나는 성문화된 문서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원문 추출이 가능한 장서개발 정책 관련 원문 11개를 대상으로 빈도분석, 토픽 모델링,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장서개발 정책과 관련된 주요 키워드를 추출하고, 해당 키워드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후 대학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관종 별 장서개발 정책의 특징을 도출하기 위해 파이 계수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자료’, ‘도서관’, ‘장서개발’, ‘이용자’, ‘수집’ 등의 키워드가 빈도 분석과 네트워크 중심성에서 주요 키워드로 나타났으며, 파이 계수 분석 결과 대학도서관은 ‘대학(0.73)’, ‘구축’, ‘학생’, ‘대상’, ‘비용’ 등의 키워드가 나타나므로, 이용자의 학술적 요구와 디지털 자원에 대한 논의가, 공공도서관은 ‘성인’, ‘설문조사’, ‘특징’, ‘종교’ 등 다양한 이용자계층의 정보 요구와 관련된 키워드가 주요 쟁점으로 드러났다.
For this article, we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topic modeling, and network analysis on eleven texts related to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found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We deduced the main keywords related to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We subsequently conducted a pie coefficient analys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of university libraries and public libraries by category. The results showed that keywords such as “material,” “library,” “collection development,” “user,” and “collection” were the main keywords in frequency analysis and network centrality. Meanwhile, the pie coefficient analysis revealed that keywords such as “university,” “construction,” “student,” “target,” and “cost” were prevalent in university libraries, indicating that the academic needs of users and the discussion of digital resources were primary issues, while keywords related to the information needs of various user groups—including “adults,” “survey,” “feature,” and “religion” —appeared in public libraries.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ESG경영이 도서관 인식, 이용자 만족도 및 재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25개와 경기지역 6개 등에서 도서관을 이용하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유효표본 247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ESG경영의 환경과 사회는 도서관 인식과 이용자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보였으며, 도서관 인식은 이용자 만족도와 재이용 의도에 정(+)의 영향을, 마지막으로 이용자 만족도는 재이용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ESG경영이 도서관 인식, 이용자 만족도 및 재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침으로서 일상적인 삶 속으로 확장된 효과를 다양하게 공공도서관에 반영되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또한 도서관은 이용자들에게 윤리적이고 도덕적인 의미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ESG경영을 통해 긍정적이고 진정성 있는 만족도를 제공한다면 이용자들의 재이용 의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서관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전략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으로 의의를 지닌다.
In this study, we designed and verified a research model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ESG management for public libraries affects the perception of libraries, user satisfaction, and the intention to revisit.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the users of six public libraries in the Gyeonggi region and 25 libraries in Seoul, and 247 valid responses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environment and society factors of ESG manage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libraries and user satisfaction. It also showed that the libraries’ percep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user satisfaction and the intention to revisit, and user satisfac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for the intention to revisit. From the analysis, we can infer that the effects of ESG management were reflected in everyday life via public libraries as ESG management of the public libraries influenced the perception of libraries, user satisfaction, and the intention to revisit. We confirmed that users showed the intention to revisit if the library provides positive and sincere satisfaction through ESG management, due to public libraries having ethical and moral significance to users. We have also put forward practical marketing strategies and identified areas for enhancement that can prove beneficial to public libraries.
본 연구는 국내 도서관 현장에 적용가능한 통일된 형식의 우선표제 작성지침 제안을 목적으로 두고, 법률저작에 집중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1) 국내․외 목록규칙 중 RDA, NCR, KCR2, KCR5 개정안을 대상으로 법률저작의 통일표제 그리고 전거형접근점 규칙을 분석하고, (2) LC, DNB, 북미권 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법률저작의 통일표제 입력지침과 입력사례를 조사함으로써 실제 적용되는 방식을 분석한 후, (3) 국립중앙도서관 법률저작의 서지데이터를 임의추출하여 통일표제의 적용범위를 검토해보고 통일표제 작성지침 개발시 고려할 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근거로 (4) 법률저작의 통일표제 작성지침 초안을 도출한 후, 국립중앙도서관 실무진의 검토와 법률 및 통일표제 전문가 자문을 거쳐 최종안을 제안하였다. 논의에 필요한 데이터는 문헌연구와 사례조사를 통해 확보하였으며, 추가적인 데이터는 업무담당자와의 이메일 면담과 전문가 자문을 통해 확보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guideline for uniform title of legal works.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study (1) reviewed the uniform title and authority access points of legal works targeting RDA, NCR, KCR2 and KCR5, (2) analyzed the actual application methods by investigating the guideline and bibliographic data for uniform title for legal works targeting LC, DNB, and university libraries, (3) examined the scope of application of uniform title in the bibliographic data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suggested points to consider when developing guidelines for uniform title. Based on this, (4) a draft guideline for creating uniform title for legal works was formulated. The draft was revised after review by a librarian and consultation with experts, and then the final draft was proposed. The data were obtained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case studies, and additional data were obtained through e-mail interviews and expert advice.
문화체육관광부 1차 소속기관으로 격상된 국립장애인도서관이 현 단계 가장 주력해야 할 과제는 독립청사 확보와 함께 전국 장애인서비스를 총괄․선도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서의 국내외 장애인자료를 전략적으로 수집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국립장애인도서관의 독립청사 건립 준비 및 외연 확대를 위하여 수집할 자료의 기초목록을 제시하였다. 법적 제약과 현실적 한계로 인하여 국립장애인도서관이 장애인자료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연차적으로 자료구입비를 투입하여 구입에 주력해야 하며, 교육․학술자료와 미소장 및 소급 장애인자료의 망라적 수집을 위한 전략 수립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립장애인도서관의 현행 장서개발정책을 기반으로 장애인자료를 포괄적으로 수집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국가도서관 및 주요 대학도서관의 소장자료를 대상으로 장애인 및 장애 관련 자료의 발행 및 수집동향을 분석하고 국립장애인도서관이 앞으로 확보할 현행 및 소급자료의 규모, 실물자료 및 다운로드 혹은 아카이빙 대상 자료군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목록을 구축하였다.
This study presented basic data to be collected by the National Library for the Disabled in preparation for the construction of an independent library building and expansion of its scope. Due to legal and practical limitations, the National Library for the Disabled must invest annual budget to collect materials for the disabled and focus on purchasing them.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trategy for comprehensive collection of educational and academic resources, as well as retrospective materials. Accordingly, this study conducted basic research to comprehensively collect resources on the disabled based on the current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of the National Library for the Disabled. Ten institutions were selected for investigation, and trends in the publication and collection of materials related to disabled people and disability-related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data obtained from those institutions. The basic collection catalog presented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to determine the resources to be collected by the National Library for the Disabled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음악저작의 우선표제 기술 지침 개발시 고려사항을 제안하고자 RDA 규칙을 분석하고, 여러 국가 도서관의 지침을 분석하였다. 우선, RDA 규칙을 분석하고, 규칙의 별법 및 선택사항별로 자체적인 지침을 개발한 8개 국가도서관에서 RDA 적용 지침을 조사하여 주요 고려대상 규칙을 살펴보았다. 이후 규칙별로 MLA, LC-PCC, DACH의 지침 내용을 분석하여 고려사항을 실질적으로 제시하였다. 첫째, 우선표제 선정과 관련하여 원어표제를 채택하도록 하되 원어표제가 국내 이용자에게 적합하지 않은 경우, 다른 언어의 우선표제를 사용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우선표제 기술과 관련하여 한 파트 저작, 둘 이상의 파트를 가진 저작, 한 저자의 전집, 특정 작곡유형명의 전집, 불완전한 합집, 여러 작곡가의 합집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셋째, 추가요소로 연주수단, 숫자표시, 음조, 기타 식별특성을 우선표제 기록시 고려사항으로 제시하였다. 넷째, 작곡유형명과 연주수단을 위한 통제어휘집을 지정하거나 제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RDA 음악저작의 우선표제 기술 지침 개발시 고려할 사항을 제시하였으므로 음악저작의 우선표제 관련 규칙 개발과 도서관에서 음악저작의 우선표제 기술 지침 작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considerations for developing the guidelines for recording a preferred title in musical works by analyzing the RDA rules and guidelines of several national libraries. First, RDA rules were analyzed, and the primary rules for consideration were examined by reviewing RDA application guidelines from eight national libraries that have developed their own guidelines for alternatives and options of RDA rules. Then,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each guideline, including MLA, LC-PCC, and DACH, practical considerations was to provide. First, the original language title should be adopted in the selection of preferred title, but if the title in the original language is not suitable for domestic users, the title in other languages should be used. Second, the preferred title was examined in aspects of works with one part, works with more than one part, the complete works of one author, the compilation of a specific type of composition, the incomplete compilation, and the compilation of several composers. Third, medium of performance, numeric numbers, key, and other identifying characteristics were presented as additional factors for consideration in the recording. Fourth, it is necessary to designate or present a control vocabularies for the types of compositions and the medium of performance. This study suggests considerations in developing guidelines for recording the preferred title for RDA musical works, and it will be possibl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rules related to preferred titles for musical works and guidelines for recording the preferred title for musical works in libraries.
대학도서관의 장서개발에 있어 희망도서는 이용자의 직접적인 정보요구를 해결하는 수서방식이다. 이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의 효율적인 장서개발을 위해 희망도서를 신청하는 이용자 집단간의 주제 선호도를 파악하고자 대학도서관의 10년치 희망도서를 분석하였다. 장서개발에 있어 이용자의 희망도서 신청이 활발한 영역을 파악하는 것은 사서가 장서개발의 핵심 영역을 파악하고 균현있는 장서개발 정책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사항이다. 이용자별 주요 주제영역을 파악하기 위하여 KDC 주제분류를 매핑한 분석결과 모든 신청자 집단에서 ‘사회과학’이 주요 대주제 영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중주제 분석에서는 대학원생의 주요 주제 분야로 ‘의학’과 ‘심리학’이 나타나 다른 신청자 집단과 차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원생의 희망도서 영역이 다른 집단과 차별화된 요인은 A대학에서 대학원이 가장 활성화되어 있는 전공영역을 중심으로 희망도서 신청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지만 여가용으로는 희망도서 신청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긴 때문에 이와 같은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제 네트워크 분석에서는 학부생은 공무원, 취업과 진로 등 다른 신청자 집단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주제들이 주요 주제 클러스터로 나타났고 대학원생은 소수 전공 주제에 집중되어 주제 클러스터가 형성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In the development of a university library’s collection, the concept of patron-driven acquisition refers to a collection strategy that addresses users’ direct information needs. In this study, an analysis of ten years’ worth of book requests by user type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topic preferences for efficient collection devleopment in the university library. In collection development, identifying subject areas of users’ requested books is necessary for librarians to identify key areas of collection development and establish balanced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To identify the major subject areas for each user group, KDC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subject classifications were used, and network analysis techniques were appli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book topics in detail. The analysis revealed that “social sciences” emerged as the major topic across all user groups. However, in the analysis of sub-topics, “medicine” and “psychology” were distinctively identified as the major subject areas for graduate students, setting them apart from other user groups. The result of the network analysis further indicated that undergraduate students showed unique topics such as civil service, job placement, and career, which were not observed as major topic clusters in other user groups. On the other hand, graduate students tended to concentrate on a few specialized subjects, forming distinct topic clusters in the analysis.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사서들의 혁신행동이 조직 성과인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수도권 공공도서관 7곳의 사서 및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사서 데이터 77건, 이용자 데이터 309건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사서를 대상으로 혁신행동을, 이용자를 대상으로 서비스 품질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혁신행동의 완성 단계인 아이디어 구현은 정보통제 차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혁신행동의 첫 단계인 아이디어 생성은 서비스의 영향력과 정보통제 차원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이디어 생성에 머무르고 아이디어 홍보와 구현 등 다음 단계로 나아가지 않는 상황은 서비스 품질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에 혁신행동 개념을 적용하였으며 공공도서관 사서들의 혁신행동이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연구를 통해 제시하였다는 데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impact of public library librarians’ innovative work behavior on service quality, which is an indicator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surveyed both librarians and users of seven public librar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assessed 77 cases of librarian data and 309 cases of user data. The innovative work behaviors of librarians and the quality of service provided to users were examined. The analysis showed that idea realization, the final stage of innovative work behavior, was beneficial for information control. However, idea generation, the initial stage of innovative behavior, adversely affected the affect of service and information control dimensions. The situation where the process stalled at the idea generation stage without progressing to the next stage (idea promotion or realization), was interpreted as leading to decreased service qualit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applied the concept of innovative work behavior to public libraries and suggested the impact of public librarians’ innovative work behavior on service quality using an empirical method.
이 연구의 목적은 도시재생사업의 시대적 배경에 맞춰, 도시 중에서 항만도시를 중심으로 도시재생사업을 효과적으로 기록할 수 있는 기록화 요소를 개발하는데 있다. 기록화 요소를 개발하기 위해 도시재생법, 항만관련법, 도시재생 관련 연구 등에서 지리적 정보, 산업정보, 법적 행정적 변화 등 8개 분야에서 기록화 해야 할 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시재생과 관련된 전문가 20여명을 대상으로 도시재생법, 항만관련법, 관련 연구 등에서 도출한 요소에 대한 의견을 묻는 델파이(Delphi)조사를 3회에 걸쳐 실시하고 32개의 최종요소를 도출하였다. 선정된 각 영역별 기록화 요소는 지리적 정보(6), 비물질적 정보(4), 환경정비(5), 산업․경제적 1․2차 산업(2), 산업․경제적 3차 산업(3), 변화사항(6), 구성원 참여(4), 지역내 법․행정적 체계(2) 등이다. 또한 항만도시재생 기록화 요소를 지방자치단체의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에게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documentation elements that can effectively recor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focusing on port cities, in line with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order to develop recording elements, elements that need to be recorded were derived from eight fields, including geographical information, industrial information, and legal and administrative changes, from the Urban Regeneration Act, Port-related Act, and Urban Regeneration-related research.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hree times targeting 20 experts related to urban regeneration to gather their opinions on elements derived from the Urban Regeneration Act, Port-related Act, and related research, and 32 final elements were derived. The recording elements for each selected area are geographical information(6), immaterial information(4), environmental maintenance(5), industrial and economic primary and secondary industries(2), and industrial and economic tertiary industries(3), changes(6), member participation(4), local legal and administrative systems(2). In addition, the applicability of urban regeneration documentation elements to local government records management experts was ver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