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윤희윤(대구대학교) pp.5-24 https://doi.org/10.4275/KSLIS.2023.57.4.005
초록보기
초록

고대 이집트에서 신전은 종교적 성지인 동시에 공동체 중심이었다. 신전에 조성된 핵심공간 중의 하나는 신관과 서기관이 파피루스 등에 필사․보존한 시설이다. 그것의 보편적인 명칭은 ‘책의 집’과 ‘스크롤의 집’이었다. 당시 통칭은 페르 앙크였고, 현대적 용어로는 신전도서관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신전에 부설된 페르 앙크의 성격 및 정체성을 규명한 후 신왕국 람세스 2세가 건립한 라메세움(장제전)의 다주실(페르 앙크) 문패에 걸려 있던 ‘영혼의 치유소’를 도서관으로 지목한 것이 타당한지를 추적하였다. 그 결과, 페르(집)와 앙크(생명)를 조합한 상형기호인 페르 앙크는 학습․연구센터, 의료시설과 요양원을 갖춘 치료․치유센터, 종교의식 및 영생축제의 거점, 필사실과 도서관 등으로 구성된 다목적 복합시설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페르 앙크가 도서관을 지칭한다는 종래의 논리는 정당화될 수 없다. 동일한 맥락에서 BC 4세기 그리스 역사가 헤카타이우스가 처음 소개한 라메세움 다주실 문패의 ‘Ψυχῆς ἰατρεῖον’는 BC 1세기 디오도로스가 라틴어 ‘Psychēs Iatreion’로 의역하면서 신성한 도서관의 모토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프시케(Psychēs)는 그리스․로마 신화의 여신, 이아트레이온(Iatreion)은 병원(진료소, 치유소)․약국을 의미하므로 라메세움의 페르 앙크는 파라오 영혼(Ka)을 치유하는 공간이다. 따라서 ‘Psychēs Iatreion = Library’는 왜곡이자 와전된 것이다. 그것은 도서관의 모토가 아니라 페르 앙크의 메타포다.

Abstract

In ancient Egypt, temples were not only religious sanctuaries but also community centers. One of the core spaces created in the temple is the facility where priests and scribes copied and preserved texts on papyrus and other media. Its common designation was ‘pr-mḏ’(House of Books) and the ‘per-(nw)-seshw’(House of Scrolls). The general term used during that time was ‘Per Ankh’, and the modern term for it is ‘temple library’. Therefore, this study first identified the character and identity of the Per Ankh attached to the temple, and then traced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designate ‘healing place of the souls’ depicted on the hypostyle hall(Per Ankh) in the Ramesseum(mortuary temple) built by Ramses II of the New Kingdom as a library. As a result, Per Ankh, a hieroglyph combining the Per(house) and Ankh(life), was revealed to be a multi-purpose complex facility consisting of a learning and research center, a treatment and healing center with medical facilities and sanatoriums, a religious ceremony and a center for the celebration of eternal life, a scriptorium and a library. Therefore, the traditional argument that Per Ankh refers to a library cannot be justified. In the same context, the inscription ‘Ψυχῆς ἰατρεῖον’ on the doorplate of the hypostyle hall of the Ramesseum, which was first introduced by Greek historian Hecataeus of Miletus in the 4th century BC, was translated into Latin as ‘Psychēs Iatreion’ by Diodorus Siculus in the 1st century BC and described as the motto of the sacred library. However, Psyche is the goddess of Greek and Roman mythology, and Iatreion means hospital(clinic, healing center) and pharmacy, so Per Ankh in the Ramesseum is a space to heal the soul of the pharaoh (Ka). Therefore, ‘Psychēs Iatreion = library’ is a distortion and a mistranslation. It is not the motto of the library, but a metaphor for the Per Ankh.

이병기(공주대학교) pp.25-47 https://doi.org/10.4275/KSLIS.2023.57.4.025
초록보기
초록

도서관협력수업은 사서교사와 교과교사가 공동으로 수업을 계획하고, 공동으로 수업을 전개하며, 공동으로 평가하는 과정이다. 도서관협력수업은 협력의 수준, 정보활동, 시간표 운영 등 다양한 차원에서 연구되고 모델이 개발되어 왔다. 그럼에도 도서관협력수업을 전체적으로 총괄하는 통합모형이 개발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는 5가지 차원(협력수준, 정보활동, 협력접근, 시간운영, 기술통합)에서 다양한 모형을 비교․분석하여 도서관협력수업의 모형을 도식적으로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도서관협력수업 통합모형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협력수준 차원에서, 통합모형은 도서관활용 교사수업, 범 교과 통합교육과정 등을 반영하였다. 둘째, 정보활동 차원에서, 통합모형에는 정보활용과정과 더불어 사회 및 과학교과 탐구활동을 반영하였다. 셋째, 협력접근 차원에서 통합모형은 주도-관찰수업, 병렬 스테이션 수업 등으로 구분하였다. 넷째, 시간 운영 차원에서는 한국의 국가수준 교육과정과 시간표 편성 방식을 고려하였다. 다섯째, 기술통합의 차원에서, 통합모형은 PICRAT 모형을 도서관협력수업의 관점에서 수정, 반영하였다.

Abstract

Library collaboration instruction (LCI) is a process in which a classroom teacher and librarian collaborate to co-planning, co-implementation, co-assessment instruction. LCI is being studied and modeled in various dimensions such as the level of collaboration, information activities, and time scheduling. However, there is no integrated model that comprehensively covers teacher and librarian collabo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chematic integration model for LCI by comparing and analyzing various models in five dimensions (level of collaboration, information activities, collaborative approach, time scheduling, and technological integration). The main results of the integration model for LCI reflec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level of collaboration, TLC integration model reflected such as library-based teacher-led instruction, cross-curricular integrated curriculum. Second, in terms of information activities, LCI integration model reflected social and science subjects inquiry activities 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use process. Third, in terms of collaborative approach, LCI integration model is divided into such as lead-observation instruction and parallel station instruction. Fourth, in terms of time management, LCI integration model took into account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and scheduling methods. Fifth, in terms of technology integration, LCI integration model reflected the PICRAT model, modified from the perspective of library collaboration instruction.

곽승진(충남대학교) ; 노영희(건국대학교) ; 이석형(충남대학교) ; 배관표(충남대학교) ; 강봉숙(전북대학교) ; 김정택(배재대학교 기획처) pp.49-74 https://doi.org/10.4275/KSLIS.2023.57.4.04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충남도서관이 광역대표도서관으로서 도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서관 서비스를 개발하고, 도내 공공도서관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차 충청남도 도서관 발전종합계획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1차 도서관 발전종합계획의 성과분석, 충청남도 도내 도서관의 진단과 분석, 충청남도 정책환경 분석 및 도서관정책 환경전망 분석을 실시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충청남도 제2차 도서관 발전종합계획의 사명, 비전, 목표, 추진전략 및 실행계획을 제안했다. 먼저, 사명은 ‘충청남도 도민을 포용하고 미래 지식․문화 가치를 선도한다’로 제안했고, 비전은 ‘미래의 지식․문화를 이끄는 포용의 공간’으로 제안했으며, 목표는 1)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차별 없는 도서관 환경 구축, 2) 공동체를 포용하는 도서관 서비스, 3) 지식문화 가치를 실현하는 도서관 운영, 4) 미래를 선도하는 도서관 인프라, 5) 공동체 교류․협력 네트워크 강화의 5가지이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the 2nd Comprehensive Library Development Plan (2024~2028) for Chungnam Library as a metropolitan representative library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for the province’s residents through library service development and provid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support for public libraries in the province. To achieve this, a diagnosis and analysis of libraries in Chungcheongnam-do, an analysis of the policy environment in Chungcheongnam-do, and a future policy environment outlook for libraries were conducted. Ultimately, the study proposed the mission, vision, goals, implementation strategies, and action plans for the 2nd Comprehensive Library Development Plan for Chungcheongnam-do. Firstly, the mission was proposed as “Leading the future ‘knowledge and cultural values’ by embracing the people of Chungcheongnam-do.” Secondly, the vision was suggested as “An inclusive space that leads the knowledge and culture of the future.” The goals include: 1) Creating an inclusive library environment accessible to everyone, 2) Providing library services that embrace the community, 3) Operating the library to realize knowledge and cultural values, 4) Developing library infrastructure to lead the future, and 5) Strengthening community exchange and cooperation networks.

임정훈(계명대학교) ; 강봉숙(전북대학교) ; 박주현(전남대학교) ; 한상우(광주대학교) pp.75-95 https://doi.org/10.4275/KSLIS.2023.57.4.07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예비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심층면담을 통해 현행 교육실습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조사하고 교육실습 제도의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실습에 참여한 예비 사서교사 33명(사범대학 6명, 교직이수 16명, 교육대학원 11명)을 대상으로 면담자료를 수집하고 질적 분석 기법과 함께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혼합한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사서교사는 교육실습을 통해 다양한 현장의 경험을 예비할 수 있고, 향후 학교 현장에서 마주칠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을 배양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질적 탐구를 통해 학교현장실습 전반에 대한 인식과 학교현장실습 과정에 대한 인식, 교육봉사활동에 대한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현행 교육실습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학교현장실습 기간의 확대, 시기의 분산, 상시실습 체계의 구축, 현장교사와 지속적인 논의, 체계적인 학교현장실습 프로그램의 개발 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verall perceptions of pre-service school librarian teacher on the current education practicum through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and suggested improvements to the educational practicum system. For this purpose,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from 28 pre-service school librarian teacher (6 teachers’ colleges, 14 taking teaching qualification courses, and 8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o participated in educational practicum in school libraries, and a research method that combines qualitative analysis techniques with text network analysis was appli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pre-service school librarian teacher believe that educational practicum can prepare them for various field experiences and cultivate their ability to cope with situations they will encounter in the future. Through qualitative inquiry, we were able to identify their perceptions of school field practicum as a whole, their perceptions of the school field practicum, and their perceptions of educational service activities. Based on this, to improve the current problems of educational practice, we suggested expanding the period of school internship program, distributing the time, establishing a full-time practice system, having continuous discussions with field teachers, and developing a systematic school field practicum.

김해인(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기록관리학전공) ; 정연경(이화여자대학교) pp.97-117 https://doi.org/10.4275/KSLIS.2023.57.4.09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구술기록 메타데이터의 내용 영역에 대한 요소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녹취록과 상세목록의 내용적 가치와 구술기록 메타데이터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둘째, 국내외 구술기록 메타데이터의 내용 요소를 비교하여 18개 요소를 파악한 후, 중복 요소를 제거하여 12개 요소로 정리하였다. 셋째, 해방촌 니트 사업 구술 면담을 진행한 구술자 6명의 녹취록에 대한 상세목록을 12개의 요소와 대응시켜 검토하였다. 넷째, 전체적인 검토를 바탕으로 추가 요소 1개를 도출하여 총 13개의 요소를 ‘기본’으로 설정하고 이를 15개의 ‘상세’ 요소로 구분하여 최종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구술기록 메타데이터의 내용 영역 요소는 구술 내용의 구조와 표현을 지원함으로써 구술기록에 대한 활용 범위를 확대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descriptive metadata elements of contents of oral history records. First, the meaning of contents in transcripts and detailed interview lists,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metadata for oral history records, were examined. Second, elements related content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oral history metadata were compared to identify 18 elements, then streamlined 12 elements were set by removing duplicates. Third, 12 elements were compared with detailed interview lists based on transcripts of 6 interviewees who had interviews on knit business in Haebangchon. The result of this study discovered 1 additional element that designated as ‘basic’ and these were further categorized into 15 element of ‘enhanced’. These elemen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expanding the scope of utilization of oral history records by supporting the structure and expression of that contents.

이혜림(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p.119-138 https://doi.org/10.4275/KSLIS.2023.57.4.11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데이터 리포지토리가 갖추어야 할 디지털 보존 정책의 필수 구성요소를 파악하여 디지털 보존 정책의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23년도에 CoreTrustSeal에서 인증을 받은 데이터 리포지토리들의 디지털 보존 정책을 비교 분석하여 디지털 보존 정책 프레임워크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각 구성요소에서 어떠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지를 연구 결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디지털 보존 정책 프레임워크는 CoreTrustSeal에서 인증을 받고자 하는 기관들뿐만 아니라 CoreTrustSeal 인증을 신청할 계획이 없는 국내외 기관들에서도 그들의 디지털 보존 정책을 개발할 때 기초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This study endeavors to delineate the essential components of digital preservation policies requisite for data repositories. Drawing from an examination of digital preservation policies from data repositories accredited by CoreTrustSeal in 2023, this study unveils the pivotal components intrinsic to a digital preservation policy framework, subsequently elucidating the content each component encompasses. The proffered framework is anticipated to serve as a foundational reference for institutions aiming to craft their digital preservation policies, transcending the confines of those solely pursuing CoreTrustSeal certification, to encompass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stitutions irrespective of their intent to seek CoreTrustSeal certification.

노영희(건국대학교) ; 강봉숙(전북대학교) ; 곽승진(충남대학교) ; 장인호(대진대학교) pp.139-159 https://doi.org/10.4275/KSLIS.2023.57.4.13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충청북도교육청을 중심으로 한 공동보존관의 설립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이를 위해 설문조사를 통한 실태조사와 인식조사가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충북교육청 공동보존자료관의 기능은 귀중자료의 보존과 충북교육 및 학교 특성화 자료 구축에 중점을 두되, 이관자료 중 중요한 자료의 디지털화 및 대국민 서비스 제공의 기능을 중점 수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향후 이관하고자 하는 자료 기준은 원형보존과 매체변환 등이 필요한 자료를 우선적으로 이관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향후 이관하고자 하는 자료 유형은 운영 계획 시 단행본 유형을 중점적으로 고려하되 그 외의 유형에 대한 부분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자료 이관 시 자료의 소유권의 경우, 공동보존자료관 운영 위원회를 통해 충북교육청과 개별 도서관과의 논의를 거쳐 소유권을 포함한 세부적인 이관 지침을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the feasibility of establishing a joint preservation library centered on the Chungcheongbuk-do Office of Education. To achieve this, a survey and perception survey were conducted. The research results suggest the following: Firstly, the functions of the Chungcheongbuk-do Office of Education joint preservation library should focus on the preservation of valuable materials, the development of Chungcheongbuk-do educational and school-specialized materials, and prioritizing the digitalization of important transferred materials and providing services to the general public. Secondly, when determining the criteria for materials to be transferred in the future, priority should be given to materials that require preservation in their original form and those that need media conversion. Thirdly, when considering the types of materials to be transferred in the future, the operational plan should primarily focus on monographs but also consider other types of materials. Fourthly, regarding ownership rights of materials during the transfer process, it is advisable to establish detailed transfer guidelines, including ownership rights, through discussions between the Chungcheongbuk-do Office of Education and individual libraries via the Joint Preservation Library Operating Committee.

윤정옥(청주대학교) pp.161-184 https://doi.org/10.4275/KSLIS.2023.57.4.16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한 책, 한 도시’ 지역사회 독서운동의 원형인 미국 워싱턴 주 시애틀의 ‘Seattle Reads’의 사례연구로 진행하였다. 1998년 출범한 ‘Seattle Reads’의 지난 25년간 목표, 선정 책들의 특성 및 주요 행사와 활동을 분석함으로써 ‘One Book’ 독서운동으로서의 현황 및 지향점을 보다 깊게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Seattle Reads’는 한 권의 책을 읽고 토론하면서, 다양한 행사와 프로그램으로 시민들의 참여와 소통을 독려함으로써 성인 대중을 위한 지역사회 독서운동의 원형을 제시하였다. ‘Seattle Reads’는 매년 꾸준히 다양한 문화적 및 민족적 배경을 가진 작가들의 책을 읽고 이야기함으로써, 다양성의 이해 및 지역사회 통합을 지향하는, ‘One Book’ 독서운동으로서의 지속성, 일관성, 자율성 및 독립성이라는 특성을 보여주었다.

Abstract

This research is a case study of ‘Seattle Reads’, which launched in 1998 and has become the prototype of ‘One Book, One City’ Community Reading Promotion Campaig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rehend further the current state and future goals of ‘Seattle Reads’ as a typical ‘One Book’ program by docum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One Book’s selected for the past 25 years and their related events and activities. ‘Seattle Reads’ presented the model of ‘One Book’ program, which consists of the selection of ‘One Book’ for adult readers, its reading and discussion, and a variety of events and activities in the community. This analysis of ‘Seattle Reads’ demonstrates the continuity, consistency, self-reliance, and independence of a ‘One Book’ program, by reading and talking about ‘One Book’ by authors with diverse cultural and ethnic backgrounds, and trying to understand and integrate differences among people in the community.

정미옥(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pp.185-208 https://doi.org/10.4275/KSLIS.2023.57.4.18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관리자 커뮤니케이션 유형이 직원의 임파워먼트, 직무만족,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지역 4개와 서울지역 24개의 공공도서관의 근무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유효표본 219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지배형 커뮤니케이션은 직무만족에 사회형 커뮤니케이션은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보였고, 또한 직원의 임파워먼트는 직무만족에 직무만족은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의미를 분석해보면 커뮤니케이션과 임파워먼트가 조직 내에서 충분하게 형성된 후에 비로소 직무만족과 생활만족을 갖는 것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의 이론적 의미와 함의를 살펴보면 공공도서관의 본질과 기반을 강화하기 위하여 효과적 경영을 반영하는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으며, 향후에는 연구자의 커뮤니케이션 유형을 통합하여 보다 다양한 특성을 기준으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Abstract

In this study, a research model was designed and verified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communication styles of public library managers affect employees’ empowerment,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employees of four public libraries in the Gyeonggi region and 24 libraries in Seoul, and 229 valid responses were analyz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authoritative communication style influenced employees’ job satisfaction, while social communication style influenced their empowerment. Additionally, employees’ empowerment impacted their job satisfaction, which in turn affected their life satisfaction. This implies that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mployees can be achieved after communication and empowerment were well established within the organiz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suggesting an effective management direction for strengthening the essence and foundation of public libraries by examining the theoretical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result. This study also suggested that in the future, ano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based on a variety of characteristics by integrating the different communication styles of researchers.

심원식(성균관대학교) ; 안혜연(성균관대학교) ; 박규리(성균관대학교) ; 송사광(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임형준(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p.209-232 https://doi.org/10.4275/KSLIS.2023.57.4.2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개방형 연구 커먼즈(Open Research Commons)의 구현을 위하여 연구데이터 플랫폼에 대한 연구자 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설문은 대표적인 연구데이터 커먼즈라 할 수 있는 유럽 EOSC와 호주 ARDC의 플랫폼 서비스 사례를 분석하여 도출한 주요 서비스 내용을 참고하여 설계하였다. 설문지는 크게 5개 영역(응답자 일반적 특성, 연구데이터․분석도구․컴퓨팅 자원의 활용 및 연구데이터 커먼즈의 필요)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데이터 플랫폼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기 위하여 관련 플랫폼을 통해 잠재적 이용자 550명이 완료한 응답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응답자의 약 85%가 연구데이터 커먼즈의 필요성에 동의하였으며, 커먼즈 서비스가 제공되면 이를 통하여 본인의 연구데이터(약 77%)와 분석도구(약 84%)를 공유하고자 하는 의향과 공유된 연구데이터(약 92%)나 분석도구(약 93%), 컴퓨팅 자원(약 93%)을 활용하고자 하는 의향이 나타났다. 즉 많은 연구자들이 개방형 연구 커먼즈에 대한 요구가 매우 높은 것이라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 연구데이터 서비스 분야에 있어 커먼즈에 대한 논의는 아직 생소한 것으로, 향후 주제분야, 이해관계자 특성, 커먼즈 플랫폼의 실질적 이용자 등을 다양한 측면에서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In order to embrace open research commons, this study looked at the requirements that researchers have for research data platforms.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using the results of Australian ARDC and European EOSC case studies. The questionnaire addressed five main areas: the need for research data commons, analysis tools, computing resources, consumption of research data, and general respondent characteristics. To determine the requirements for research data platforms,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responses provided by 550 potential platform users. The findings demonstrated that more than 85% of participants concurred on the significance of open research commons. Additionally, there was a high willingness to use research data (77%), analysis tools (84%), share research data (92%), analysis tools (93%), and computing resources (93%) if commons services were provi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emand for open research commons among researchers. Discussions on research data commons are still hard to come by in Korea’s research data services sector, though. Research on a range of subjects, such as subject areas, stakeholder characteristics, and real users of commons platforms, need be conducted in the future.

윤명희(연세대학교) ; 이지연(연세대학교) pp.233-262 https://doi.org/10.4275/KSLIS.2023.57.4.233
초록보기
초록

도서관 분야 정책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실효성 있는 법규범은 중요하다. 이 연구는 2021년 12월 7일 전면 개정되어 2022년 12월 8일부터 시행 중인 도서관법(법률 제18547호)의 구성체계와 주요 개정 내용을 분석하여 규범적 타당성과 실효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정책입법의 관점에서 도서관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도서관법이 기본법으로서 규범적 타당성을 갖추고, 도서관의 사회적 가치를 높이고 질적 향상을 이끄는 주요한 토대로서 정책과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을지를 실효성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목적과 기본이념의 내용 보완,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책무 구체화, 도서관 정책체계 개선, 국가도서관위원회 실질적 영향력 강화를 위해 필요한 내용을 제안하였다.

Abstract

It is essential to have adequate legal regulations to achieve the policy objectives in librari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ructure and critical amendments of the Library Act (Law No. 18547), which was comprehensively revised on December 7, 2021 and has been in effect since December 8, 2022. This analysis examines the normative validity and effectiveness from a policy legislation perspective. As a fundamental law, we explore whether the Library Law possesses legal validity and can contribute to achieving policy objectives by elevating the societal value and qualitative improvement of libraries from an effectiveness standpoint. The analysis results suggest proposing enhancements to the content of objectives and fundamental principles, specifying the responsibilities of the state and local authorities, improving the library policy system, and enhancing the substantial influence of the National Library Commission.

김영석(명지대학교) pp.263-287 https://doi.org/10.4275/KSLIS.2023.57.4.26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효율적인 갤러리 설치․운영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문헌 및 현장 사례 조사, 인터뷰 방법을 사용하였다. 국내 12개 지자체의 15개, 해외 3개국 11개 도시의 11개 공공도서관 갤러리를 조사․분석하였다. 국내 갤러리 운영 관계자 등 22명을 인터뷰하였고, 이 중 21명(95.5%)이 공공도서관의 갤러리 운영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효율적인 갤러리 운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도서관의 상황에 따라 큐레이터를 배치한다. 둘째, 최소한 55㎡ 이상 규모의 갤러리를 설치한다. 셋째, 적절한 규모의 예산을 편성한다. 넷째, 가급적 외부 전문가의 심사에 따라 갤러리 대관 요청을 심사하고 공간을 시민들에게 무료로 대관한다. 다섯째, 운영 매뉴얼 및 규정을 만들어 활용한다. 여섯째, 갤러리는 도서관이 직접 운영한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find an efficient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 gallery in public libraries. A literature review, field case study, and interview method were used. 15 public library galleries in 5 regions in Korea and 11 public library galleries in 11 cities in 3 countries were examined. 22 people were interviewed and 21 (95.5%) of them claimed that a gallery needs to be operated in a public library. The result of the analysis proposes the followings for an efficient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 gallery in public libraries: firstly, employing an art gallery curator according to the library’s situation. Secondly, establishing a gallery of at least 55㎡ in size. Thirdly, allocating an appropriate budget. Fourthly, if possible, gallery rental requests are reviewed by external experts and a gallery needs to be rented out to the public free of charge. Fifthly, having an operating manual or a regulation. Sixthly, a gallery should be operated directly by the library.

김주섭(전북대학교) ; 강효숙(전북대학교) ; 김선태(전북대학교) pp.289-310 https://doi.org/10.4275/KSLIS.2023.57.4.289
초록보기
초록

데이터 공유 및 재사용은 필수가 되었다. 데이터 리포지터리는 이러한 데이터 공유 및 재사용을 위한 핵심 도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립생태원이 구축 및 운영 중인 EcoBank의 서비스를 제안하기 위함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re3data.org에 등록된 생태 분야 해외 데이터 리포지터리 123개 중 10개를 선정하여 조사 및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3가지 서비스가 공통으로 도출되었다. 3가지 서비스는 첫째, 연구데이터 정책, 둘째, 연구데이터 품질 검토 그리고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 및 워크숍으로 구성된다. 여기에 EcoBank의 글로벌한 데이터 공유를 위해서는 re3data.org와 같은 데이터 리포지터리 레지스트리에 등록을 해야 하며 리포지터리의 신뢰성 및 품질 확보를 위한 인증을 추진할 것을 제안해 본다.

Abstract

Sharing and reusing data has become essential. Data repositories are a key tool for sharing and reusing this dat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service of EcoBank, which is being built and opera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10 out of 123 foreign data repositories in the field of ecology registered on re3data.org were selected, investigat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ree services were derived in common. The three services consist of first, research data policy, second, research data quality review, and research data management training and workshops. Here, in order to share EcoBank’s global data, it is necessary to register with a data repository registry such as re3data.org, and it is proposed that certification be promoted to ensure the reliability and quality of the repository.

이민희(충남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곽승진(충남대학교) pp.311-331 https://doi.org/10.4275/KSLIS.2023.57.4.3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2018년부터 2022년까지 5년간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의 주요 학술지 4종의 논문을 분석하여 지식 커뮤니케이션 특징을 탐구하고 중요한 연구 주제와 핵심 저자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에서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의 핵심 학술지 4종의 5년간 발표된 논문을 수집하여 선별하여 논문의 저자 데이터와 참고문헌의 데이터를 추출하였다. Netminer를 사용하여 문헌동시인용 분석과 저자동시인용 분석을 실행하여 네트워크를 시각화하였다. 분석 결과, 저자 간의 동시인용 쌍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연구자 간의 동시인용빈도 분석을 통해 학문 분야의 지적구조 분석에서 복수 저자를 분석 대상에 포함하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키워드 분석을 통해 논문 주제 간의 상관성을 확인하였으며, 문헌정보학 관련 연구가 ‘도서관, 디지털, 이용자, 서비스, 데이터’ 주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communication and investigate important research topics and key authors by analyzing major academic papers in the field of LIS in Korea for five years from 2018 to 2022. The research method collected and analyzed papers published for five years in four key journals in the field of domestic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rom the Korean Citation Index (KCI) database. The paper was selected to extract the author data of the paper and the data of the reference, and network visualization was performed by conducting literature co-citation analysis and author co-citation analysis using Netmin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possible to derive a pair of co-citations between authors,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is important to include multiple authors in the intellectual structure analysis in the academic field through co-citation frequency analysis among researchers. The literature confirm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opics of the paper, and it was found that research related to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as centered on the topics of library, digital, user, service, and data.

김규환(인천대학교) ; 정도헌(덕성여자대학교) pp.333-351 https://doi.org/10.4275/KSLIS.2023.57.4.33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AI 카메라를 활용한 공공도서관 이용자의 공간이용행태를 분석하는 것이다. AI 카메라의 얼굴 인식 및 추적 기술을 활용하여 이용자의 성별과 연령을 식별하였고 초단위 영상 데이터를 수집·정제하여 이용자의 이동 동선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여성 이용자가 남성 이용자보다 조금 더 많았고 연령대는 30대가 가장 많았다. 이용자 수는 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증가하다가 토요일과 일요일에 감소하는 경향성을 보였고 오후 14시부터 15시 사이에 이용자 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들은 1개 또는 2개 공간만을 주로 이용하였는데 이 때에는 안내데스크를 이용하거나 휴게공간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분야 서가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가 주제분야 서가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약 2배 정도 많았다. 이용자들은 철학(100), 종교(200), 사회과학(300), 순수과학(400), 기술과학(500), 문학(800) 분야들을 주로 이용하였고 이중 문학(800)은 다른 모든 주제분야들과의 연결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용자들을 체류공간의 유사성에 따라 5개 군집으로 묶어본 결과, 군집 간에 이용 목적과 관심 주제분야에 차이가 있어 향후 도서관 서비스 기획에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향후 도서관에서 AI 카메라를 활용한 이용자의 공간이용행태 분석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높은 비용 및 개인정보 보호 문제의 해결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user behavior in library spaces through the lens of AI camera analytics. By leveraging the face recognition and tracking capabilities of AI cameras, we accurately identified the gender and age of visitors and meticulously collected video data to track their movements. Our findings revealed that female users slightly outnumbered male users and the dominant age group was individuals in their 30s. User visits peaked between Tuesday to Friday, with the highest footfall recorded between 14:00 and 15:00 pm, while visits decreased over the weekend. Most visitors utilized one or two specific spaces, frequently consulting the information desk for inquiries, checking out/returning items, or using the rest area for relaxation. The library stacks were used approximately twice as much as they were avoided. The most frequented subject areas were Philosophy(100), Religion(200), Social Sciences(300), Science(400), Technology(500), and Literature(800), with Literature(800) and Religion(200) displaying the most intersections with other areas. By categorizing users into five clusters based on space utilization patterns, we discerned varying objectives and subject interests, providing insights for future library service enhancements. Moreover, the study underscores the need to address the associated costs and privacy concerns when considering the broader application of AI camera analytics in library settings.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