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박희숙(나사렛대학교 점자문헌정보학과) ; 정동열(이화여자대학교) pp.11-4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적인 연구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전문 주제의 지식 정보를 정확히 파악하고 깊이 있는 자료를 수집, 조직, 축적하여 이를 이용자에게 신속히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된 전문도서관의 평가지표를 개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선행연구, 기존 개발된 평가지표 비교, 전문도서관 특성과 환경 분석, 경험적 내용 등을 통하여 설계한 평가지표안에 대하여 전문가와 전문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중요도 인식조사, 평가지표안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사서의 사회인구학적 특성별 중요도 차이를 검증하였다. 최종적으로 도서관 경영, 인적자원, 정보자원, 재화자원, 시설자원, 정보이용, 정보서비스, 정보공유, 도서관전문성 등 9개 영역에 대하여 70개의 평가지표를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valuation indicators for special libraries. Finally, overall nine evaluation areas including library management, human resources, information resources, finance resources, facility resources, information uses, information services, information sharing and library specialities and 70 evaluation indicators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al libraries'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the experts and librarians of the special libraries and on the application of statistical analysis.

배순자(전주대학교) pp.45-5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개정도서관법에서 중시하는 지역대표도서관의 기능을 재인식하고 지역 공공도서관에 대한 지원과 협력적 역할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지역의 중앙관인 지역대표도서관의 효율적 역할을 위한 협력체계로는 혼합형모델을 통해 국가중앙관인 국립중앙도서관과 지역 단위도서관간의 상호협력을 도모하도록 한다. 지역 공공도서관에 대한 지원과 협력사업으로는 지역도서관서비스위원회를 통한 지역공공도서관의 정책공조를 기초로 하여, 도서관정보화사업 지원, 공동보존, 사서교육의 지역화 및 지역정보자료의 통합체제에 의한 인포메이션 커먼스 등을 핵심으로 한다.

Abstract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function of the regional central library`s role and to address its support to the community public libraries; such is one of the focuses of the revised library law. Through the mixed layer model, the regional central library can contribute to a better cooperation between the national central library and community public library in each region. Regional libraries, under the supervision of regional library service committee, can execute many local enterprises efficiently such as library informatization projects, the associative storage, the regional librarian educ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information commons through integrating the regional information.

강순애(한성대학교) pp.61-7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해외 소장 고문헌의 DB구축과 공동활용 방안을 다루기 위해 해외 소장 고문헌의 정리, 해외 소장 고문헌 DB 시스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해외 소장 고문헌의 공동활용 방안을 다룬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사실은 다음과 같다. 해외 소장의 고문헌을 정리하기 시작한 것은 국립중앙도서관이 1982년부터 해외기관에 소장된 고문헌을 영인하여 간략목록으로 발행하는 차원에서 시작되었다. 려강출판사가 일본소재 한국고문헌목록 1-4를 발간하여 기초자료로 제공하였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일본, 미국, 프랑스 등의 해외기관에 소장된 고문헌을 조사하여 일부의 목록집을 발행하였고, 국사편찬위원회는 일본소재 고문서 목록을 조사하고 그중 가치 있는 것을 선별하여 목록으로 간행하였다. 해외 소장 고문헌의 DB 시스템에서는 국립중앙도서관의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 국립문화재연구소의 해외소장한국전적문화재시스템, 국사편찬위원회의 한국사데이터베이스시스템 및 MF목록/원문서비스시스템의 특성이 기술되었고, 각 DB상의 문제점이 파악되었으며 그에 대한 몇 가지 대안도 제시되었다. 공동활용 방안에 있어서는 고문서 정리를 위한 목록 형식 및 기술(시안)은 새로운 표준안으로 채택될 수 있도록 수정되어야 하고, 관련 기간들은 서지기록을 작성하거나 원문 텍스트를 디지타이징할 때 표준을 준수해야 한다. 고문헌의 DB 구축과 관리를 위한 전문 인력의 양성과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긍극적으로는 디지털화된 자원의 공유를 위한 기술개발, 고문헌 컨텐츠의 이용과 개선, 공공의 이용과 참여, 국제적이 이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국가차원의 전담기구가 설립되어야 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three aspects of the construction and common use of old document DB in the foreign countries:ⅰ) the processing of old documents, ⅱ) the problem and improvement of DB systems of old documents, and ⅲ) the common use of old document DB. Results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NLK) copied old documents in the foreign countries from 1982 to 2006 and published the brief catalog. The Reogang Publishing company issued four volumes catalogs of old document in Japan.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NRICH) investigated old books and published some catalogs of several organizations in Japan, America, France, and all.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NIKH) investigated old archives and published some catalogs of several organizations in Japan.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Old and Rare Collection Information System(KORCIS) of the NLK, the Old Books Cultural Heritage in Overseas System of the NRICH, and the Korea History DB System and MF Catalog/ Image System of NIKH were described in the DB systems of old documents, the problems of DB systems were checked over and some alternatives were suggested. In the common use of old document DB, KORMARC format and description rules(draft) for archives should be revised to adopt a new standard such as KS editions, and all the institutes involved should thoroughly follow the standards, when creating bibliographic records and digitizing texts. It is necessary to educate and train the specialists of old documents. A government organization should be established to supervise all the procedures of developing technology for sharing digitized resources, using contents, and cooperating with the related internationl organiztions and institutes.

한승희(서울여자대학교) pp.81-1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문헌정보학 교육 환경에서 프로젝트 중심 학습법을 적용하여 강의를 개발하고, 이 학습법이 문헌정보학 전공 학부생의 문제해결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3명의 수강생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중심 학습을 경험하기 전과 후에 대해 동일한 검사지를 이용하여 학생의 문제해결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대해 측정하였다. 그리고 사전검사와 사후검사결과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SPSS를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프로젝트 중심 학습법이 문헌정보학을 전공하는 학생의 문제해결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향상에 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urse with project-based learning method for LIS education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is method on improvement of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LIS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earch design was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in quasi-experimental research.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3 LIS undergraduate students and analyzed by paired t-test with SPSS. The result demonstrated that project-based learning method has an significant effect on improvement of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LIS undergraduate students.

김길자(서울여자대학교) pp.103-131
초록보기
초록

오늘날 정신건강 관련 문제는 개인 및 사회전반에 걸쳐 매우 광범위하고 깊게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근거이론적 접근을 사용하여 부정적 정서를 지닌 여대생의 회복과정을 확인하고 그에 대한 실체이론을 개발함으로써 단계와 유형에 따른 독서치료 중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자들은 현재 대학에 재학 중인 21세에서 23세 사이의 정서적, 심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여대생 4명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독서치료활동에서의 심층면담과 참여관찰 및 참여자의 독후 활동 기록물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부정적 정서를 지닌 여대생의 회복과정은 ‘잠재적 상처를 인식함’, ‘자신에 대한 열등감’, ‘관계형성의 어려움’이라는 인과적 조건과 ‘이해하려는 태도’라는 맥락적 조건에 영향을 받아 ‘건강한 자아상을 추구함’이라는 중심현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중심현상은 ‘친밀한 분위기’, ‘지원체제의 유형’의 중재적 조건의 영향을 받으면서 ‘자기통찰’과 ‘대처방안의 적용’의 전략을 사용하는 ‘밝고 긍정적인 삶의 태도 찾아가기’의 과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회복과정은 문제인식단계, 정서적 반응단계, 문제해결단계, 자기적용단계의 4단계로 나타났다.

Abstract

Today, the mental health has a great deal of impact on individuals and the society surrounding. Therefore, this research is to propose a way of bibliotherapical intercession by stages and patterns as to examine the recovery process of students with negative emotion by using the grounded theoretical method. This research collected materials through focus-interview, participant observation and book reports of 4 experiments involving female college students aged from 21 to 23, all having emotional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The recovery process of female students with negative emotion involved causal factors such as “recognition of hidden wound”, “Sense of inferiority”, and “difficulty in forming relationships”, as well as contextual factors like “sympathetic attitude”, which altogether brought about the core phenomenon, “pursuit for healthy ego”. This core phenomenon induced to recovering the bright and positive attitude through using the strategies of ‘self insight’ and application of ‘management plan’, influence by such incoherent conditions as ‘intimate surroundings’ and \ ‘support system patterns’. And as time passed, the recovery process appeared tin four stages; ‘issues recognition’, ‘emotional responses’, ‘issue solution’ and ‘self application’.

장혜란(상명대학교) ; 홍현진(전남대학교) ; 노영희(건국대학교) ; 오의경() pp.133-168
초록보기
초록

도서관 정보 환경의 발전에 따라 서비스를 개선하고 이용자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사서들은 필수적으로 계속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대학도서관 사서들을 위한 계속교육 교과과정을 개발하기 위하여, 국내외 선행연구와 현행 계속교육 프로그램 사례를 고찰하였으며, 우리나라 대학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교육 요구 주제를 식별하였다.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학습자를 중간관리자와 실무자로 구분하여 각각 계속교육 교과과정을 개발하였다. 중간관리자를 위한 교과과정은 9개 영역 27개 과목으로 구성되었으며, 실무자를 위한 교과과정은 7개 영역 25개 과목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수요가 높은 부문을 직급별로 하나씩 선택하여, ‘도서관 마케팅’과 ‘디지털정보자원 구축 및 관리’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프로그램 모델을 개발하였다. 교육프로그램 모델에서는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 전략, 교육시간, 교수방법과 도구, 강사진 등에 관한 사항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계속교육의 정착과 발전을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s the library and information environment advanced, librarians should participate in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for the improvement of services to satisfy users' need. To develop a curriculum model of continuing education for academic librarians, we reviewed related previous studies and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performed both in Korea and overseas. Then, a survey was done to the academic librarians sampled systematically to identify the subject need for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2 sets of comprehensive curriculum were devised for the middle managers and working librarians respectively. The curriculum for the middle managers is consisted of 27 courses in 9 subject fields, and the curriculum for the working librarians is consisted of 25 courses in 7 subject fields. We selected one highly demanding subject from each curriculum, and developed specific educational program models. ‘Library marketing’ for middle managers and ‘building and management of digital information resources’ for working librarians. Program models include educational goal, content, teaching/learning strategies, duration time, teaching methods/tools, and instructor qualifications in detail. Finally, recommendations are suggested for the promotion and settlement of the continuing education.

함명식(서울맹학교) pp.169-188
초록보기
초록

본고는 초·중등학교 ‘정보와 도서관’ 교육과정과 사서교사의 역할을 논의하고 그 영향 및 과제를 다룬다. 학교도서관진흥법과 연계하여, 사서교사가 학교도서관에서 정보와 도서관 교육과정을 실시하는 것이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또한 어떠한 기본 체제를 갖추고 실천해야 하는지 등 향후 과제와 방안을 제시한다. 주요 내용은 사서교사의 업무 범위와 교육과정, 정보와 도서관 교육과정의 영향, 정보와 도서관 교육과정의 향후 과제를 다룬다. 사서교사가 사서직원과 차별화되는 업무로서 학교도서관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과정 속에서 사서교사의 고유한 시간(수)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인 정보와 도서관 교육과정을 통해 교육 활동을 실천해야 한다는 것이다.

Abstract

This thesis presents the ‘Information and the Library’ curriculum and the roles of teacher- librarians. Related to ‘The School Library Promotion Law’, this thesis presents the effects teacher-librarians instruct ‘Information and the Library’ curriculum to the school libraries, and the challenges related to this curriculum. This thesis contains the role and work of three kinds of staff in the school library, implementation of primary and secondary ‘Information and the Library’ curriculum for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in the school libraries, the effects by ‘Information and the Library’ curriculum, and challenges of ‘Information and the Library’ curriculum. Conclusively, teacher-librarians should accomplish their own instructional activities with ‘Information and the Library’ curriculum in the school curricula as differentiated work from librarians.

이지호(한국원자력연구원) ; 박옥화(충남대학교) pp.189-205
초록보기
초록

전문도서관의 사서직 업무가 도서관의 패러다임이 전환됨에 따라 그 성격이 어떻게 효율적으로 변하여야 할 것 인가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전문도서관에 근무하는 사서가 전통적인 도서관업무외에 수행할 새로운 영역과 역할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조사를 하였다. 전문도서관의 블루오션 전략을 도출하기 위하여 SWOT 분석을 하여 도서관 내·외부 환경변화를 파악하였다. 전문도서관의 업무 개선을 위하여 ERCR 분석을 하여 각 업무에 대한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조사와 분석 결과를 근거로 하여 전문도서관 사서의 역할과 업무 영역 다변화 전략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roles of librarians have been changing with the paradigm shift of libraries. The paradigm of libraries has shifted from a traditional information management-centered way to a hybrid approach emphasizing a balance between collection and access. This study analyzed the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of libraries to create Blue Ocean of special libraries by using the SWOT analysis, and adopted ERCR analysis for the reasonable management of librar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scope of role played by librarians belonging to special libraries shall be diversified from their traditional library activities in order to adapt themselves to changes in time. The Blue Ocean Strategy can be successfully developed only if the activities of libraries have been changed so that they are closely related to those activities for which such affiliate organizations are expected to carry out..

오한석(한성대학교) pp.207-231
초록보기
초록

과학기술분야의 국내외 전문정보 제공기관들은 최신의 다양한 과학기술정보, 연구동향정보 등의 수집과 분석, 새로운 정보시스템의 개발, 보유정보의 유효성 확대 및 이용자 중심의 다양한 정보서비스 개발 등 효율적인 정보제공을 위하여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NTIS), 미국(NTIS), 일본(JST) 등 3개국의 대표적인 국가 R&D 정보시스템 구축현황을 조사․분석하여, 현재 운영중인 시스템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개선사항을 도출·제시함으로써 국가 R&D 정보의 이상적인 구축체계 확립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Abstract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institutions what give speciality information to public of the field of science wish to plan of their continuos development for providing efficient information about various science-technology information, new database system, expasion of acquisition information, making a new information service system of user etc. This article indicates wish to contribute ideal National R&D information system establishment as analyzed and researched into the present state of R&D information system construction of the representative institutions in three countries such as Korea(NTIS), the U.S.(NTIS), and Japan(JST) for efficiently management about present management system of information service of R.O.K.

김유승(중앙대학교) ; 이정수(중앙대학교) ; 김문정(중앙대학교) pp.233-257
초록보기
초록

다양한 해외 디지털 지식정보의 통합 및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서 디지털 정보자원의 통합, 개방, 참여, 기술이 핵심적인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해외 협력망인 WDL, IPL, TEL의 사례를 첫째 장서의 규모, 협력, 주제화 범위의 내용적인 측면, 둘째 협력의 목적 등의 정책적인 측면, 셋째 표준화, 수집 및 선정, 검색, 메타데이터 관리의 기술적인 측면, 넷째 운영 조직 및 자금 수준의 운영적인 측면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된 내용 및 결과는 다양한 장서분석 기준과 접목하여 해외 협력을 위한 장서 분석 기준을 도출에 활용하였다. 분석된 기준은 디지털 정보자원의 핵심 부분인 디지털 정보자원에 대한 통합 체계를 지원하는 통합 모델, 협력 및 공유를 위한 자원 및 시스템 공유의 개방 모델, 이용자 참여를 통한 지식정보의 창출, 지식정보자원의 공유할 수 있는 기술 모델 등 네 가지 모델로 구분하여 각 세부 평가 기준을 도출하는 데 활용하였다. 도출된 기준은 실제 장서분석 평가를 통하여 해외 협력망 구축을 위한 발전 전략 및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현재 장서에 대한 평가와 장서 관리를 위한 원칙과 모델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integration, openness, participation, and technology are essential elements of digital information resources in order to establish an unified and cooperative network of various digital knowledge- information abroad. This study analyzes policies, technologies and administrative aspects of international cooperative networks such as WDL, IPL, TEL. Based on the analysis, a number of collection standards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are drawn. Analyzed standards are divided into four different aspects and applied to produce detailed appraisal standards for digital knowledge-information. In conclusion, in order to map out strategies and policies for developing an international cooperative network, the study proposes a number of principles and models for making an appraisal of collections.

유영준(나사렛대학교) pp.259-279
초록보기
초록

신학 분야의 시소러스를 구축하는 전 단계로서, 패싯을 이용하여 신학 용어를 분류하였다. 영어로 된 신학 사전에서 1,031개의 용어를 선정하였고, 이 중에서 실제로 분류한 용어의 수는 984개이다. 용어를 분류하기 위해서 전개한 패싯은 기본 패싯 7개와 하위 패싯 14개이었다. 분류한 용어들을 분석해 본 결과, 신학 분야의 특성에 맞게 물리적 형태를 갖는 구체적인 용어의 수보다 추상적인 용어의 수가 많았으며, 전체 용어 수의 70% 정도를 차지하였다. 문헌 분류를 위한 십진 분류 체계에 대한 연구가 한계에 이른 상황에서, 이러한 특정 주제 분야의 용어를 분류하고 시소러스를 구축하는 연구가 더 활발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ological terms using facets and form foundation to build a theological thesaurus. The terms was chosen in a English theological dictionary and the number of them are 1,031, but eventually, 984 terms were classified. The facets which classify the terms are 7 fundamentals and 14 sub-facets. Analysing the result of classification, abstract terms are much more than physical terms. They are 70% of the whole. Decimal classification to classify documents comes to dead end, therefore I think the research to classify terms of a specific subject as theology must be active.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have knowledge about a specific subject to organize information in a specific subject.

김선애(경성대학교) pp.281-29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유럽의 고객만족도모델(ECSI)을 적용하여 대학도서관의 전반적인 품질이 도서관의 이용에 따른 전반적인 만족도와 도서관의 지속적인 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설문지는 대학도서관에 대해 이용자들이 지각하는 도서관의 전반적인 품질을 측정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6개(전자자원, 인쇄형태자료, 제공프로그램, 도서관시설, 열람환경, 직원의 전문성·태도)의 변인으로 구성되었다. 분석결과 도서관의 전반적인 품질 중 인쇄형태자료, 열람환경, 직원전문성·태도가 이용자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중 열람환경이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들의 지속적인 이용과 관련하여서는 인쇄형태자료, 열람환경, 이용자만족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서관은 이용자들의 충성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열람환경품질개선, 인쇄형태자료의 품질 개선, 직원의 전문성 및 태도에 관한 품질개선을 통해 이용자 만족도를 향상시켜야 한다.

Abstract

The research purpose for this paper is adopt the European Customer Satisfaction Index(ECSI) on a survey performed on library users to measure users' satisfaction and loyalty factors. A questionnaire is designed to integrate measurement into the library's management system for visual analysis of what users expect from library. Results from the survey show that users expect more improvement in the library environment and collection of printed publications section. Conclusion from the survey, we were able to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to satisfy user expectations: (1) improve library environment (2) increase collections of printed publications and periodical to meet readers' demands (3) offer more fiendly and helpful user service.

정연경(이화여자대학교) ; 김성진(인하공업전문대학) pp.301-323
초록보기
초록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동등한 정보접근권을 보장하고자 하는 흐름에 발맞추어 장애의 여부나 장애의 유형과 상관없이 모든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해야만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인 9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함으로써 국내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장애인 이용자의 이용 실태 및 요구 사항을 파악하였다. 조사결과, 장애인 이용자의 도서관 및 도서관 서비스 이용 경험은 상당히 저조한 편이었으며 그 원인은 도서관 및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였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장애인들은 도서관에서 제공되는 자료의 다양성, 충분성, 접근성, 최신성 등에 대해 대체적으로 만족하지 못하였으며 장애유형별로 도서관에 희망하는 프로그램과 개선사항에 큰 차이를 보였다. 결국 장애인 도서관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적극적인 안내와 홍보, 전자자료 구축을 통해 이용자의 접근성을 제고하고, 협령망 구축을 통한 자원공유와 서비스 확대가 필요하고 장애인 서비스를 담당할 전문사서의 배치 및 직무교육 제공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Abstract

There has been significant movements in the provision of equal access to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y.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use and needs of library services of disabled people with a survey. The survey data revealed that the majority of disabled persons did not visit library and not experience library services. The main reason was reported that they had poor information about the library services. Also, they did not satisfy the variety, sufficiency, accessibility, up-to-dateness of the materials in general. And there were difference of favorite programs and needs among different kinds of the disabled. Therefore, active guidance and public relations about library services, improvement of accessibility for the disabled by building digital collection, resource sharing and extension of services by building library cooperation network, and the arrangement of librarians for the disabled and education for them should be back up for improving library services for the disabled.

안인자(동원대학교) ; 황금숙(대림대학교) pp.325-344
초록보기
초록

공공도서관에서 문화프로그램 업무가 전체업무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핵심 업무로 부각됨에 따라 국가차원의 지원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88개 공공도서관의 문화프로그램 운영 현황 및 지원요구 사항을 기초로 하여 정부기관ㆍ지역대표도서관 차원에서의 지원 사항을 6개 분야에서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전문가협의를 통하여 지원방안을 모색하였다. 제안 분야는 ① 자문위원회 운영, ② 프로그램 모형 개발ㆍ보급, ③ 프로그램 패키지개발, ④ 실무자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시행, ⑤ 자원(지역프로그램, 강사)보급을 위한 DB구축과 연결망이다.

Abstract

Supporting strategies of national level are required as the cultural programs in Korean public libraries are becoming one of key tasks which takes more than 30% of total library duties. This study proposed 6 categories of supporting strategies as national and local libraries based on analysis of 88 public libraries's cultural programs and their requirements. The study's research methods mainly include literature investigation, case study and expert panel group discussions. The 6 supporting categories that this study proposes are: ① Advisory committee working, ②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the cultural program models ③ Development of cultural program packages, ④ Development and execution of educational programs for cultural program librarians, ⑤ Financial support policies, ⑥ Human Resources and networks for local level programs.

서은경(한성대학교) ; 김희정(국제백신연구소(IVI)) pp.345-364
초록보기
초록

웹을 중심으로 한 지식정보 서비스의 비중과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공공적 성격을 갖는 국립도서관의 경우에는 보편적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 평등한 접근성이 기본적으로 보장될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웹 접근성 평가도구인 KADO-WAH를 활용하여 16개의 주요 국가의 국립도서관을 선정하여 웹 접근성을 점검하고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웹 접근성의 국가별 특징과 차이점을 파악하고 향후 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Proportion and importance of knowledge & information provision through the web are increased continuously. Equivalent accessibility focused on universal service is highly demanded especially for public institutions, such as national libraries. In this study, web accessibility of sixteen national librari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KADO-WAH, web accessibility tool. Characteristics of libraries were investigated and future direction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analysis and results.

정경희(한성대학교) pp.365-382
초록보기
초록

우리나라 학술지 오픈액세스는 어떤 논의의 출발점을 가지고 진행되어야 할까? 본 논문은 오픈액세스 촉발점이 되었던 서구의 학술지 위기 현상이 국내에도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재 국내 대학도서관에서 우리나라 학술지 웹DB 가격의 상승률과 이에 대한 대학도서관 사서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지난 십년간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에서 국내 학술지 웹DB의 가격은 적게는 1.3배에서 많게는 34배까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현재의 웹DB 가격이 아주 비싸다고 인식하는 사서는 많지 않았으며, 향후 도서관에 위기가 될 정도로 그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고 예측하는 사서들은 설문응답자의 35%정도였다. 이러한 현황에 비추어볼 때 적어도 국내의 오픈액세스는 ‘학술지 위기’가 주된 논의의 출발점이 되기보다는, 그것의 또 다른 가치인 공공의 선, 사회정의의 차원에서 논의될 필요가 있다고 보인다.

Abstract

What is the starting point of discussions for the open access of Korean journals?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 serials crisis in Western societies are in academic libraries in Korea. The rising of prices of Korean electronic journals in academic libraries and recognition of librarians for it were surveyed. This study found that the subscription fees for web DBs of Korean journals have been increased from 1.3 times to 34 times during the last 10 years. But librarians in the universities did not think that the subscription fees are very high. And the 35% of respondents thought that the subscription fees for the web DBs in academic libraries will be increased to bring to a crisis to librarie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leading groups of discussions for open access in Korea will be interested in the aspects of public goods and social justice, another values of open access.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