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탐구적 성격의 연구로서 현장에서 근무하는 초등학교 사서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그들의 역할을 이해하고자 한다. 서울 지역 내 5명의 사서교사와 함께 질적 연구의 틀 내에서 포커스그룹인터뷰(Morgan 1997)를 수행하여 발견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에서의 사서교사 역할은 교육 환경적 요인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다. 둘째, 교사로서의 역할에 대한 정의는 명확한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셋째, 학교도서관 운영자로서의 역할은 가중되는 경향이 있다. 넷째, 사서교사 역할 유형의 우선순위에 있어서는 뚜렷한 합의점이 없으나 Empowering Learners(AASL 2009)에서 제시한 리더로서의 역할은 사서교사의 다른 역할유형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역할로서 중요성을 갖는다. 다섯째, 사서교사의 역할범위는 명확하지 않다. 종합하여 볼 때 사서교사는 학교마다 일관된 역할 수행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역할 수행을 위해 아주 많은 유연성과 타협을 학교로부터 요구받는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적 현실 속에서 사서교사의 역할 모형 정립에 공헌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exploratory study reports how teacher-librarians perceive their roles as practitioners in school library media programs. Conducted within the framework of qualitative research, the study employed a focus group interview (Morgan 1997) with five teacher-librarians at elementary school level in Seoul. The findings suggest: (1) the roles of teacher-librarians are influenced a great deal by many factors in educational systems; (2) there is no consensus on how to define and perform their role as teachers; (3) there seems to be increasing emphasis on their program administrator's role; (4) there is no consensus on prioritizing the five roles suggested by the AASL (2009), but all the participants agreed that the leader's role is most crucial for the success of pursuing the rest of the roles, and (5) there seems to be no clear boundaries as teacher-librarians perform their roles. Putting all the results together, the researcher was able to conclude that teacher-librarians are frequently asked to be flexible and negotiable and have great burden in the affective, cognitive, and physical realm for the roles imposed and expected of them.
곽철완, 장윤금. 2006. 학교도서관 활성화 종합방안에 관한 연구: 2003-2005 년도 사업계획을 중심으로. ꡔ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ꡕ, 37(4): 143-160.
권은경. 2006. 사서교사의 전문성이 학교도서관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경상북도 학교도 서관의 운영실태분석을 중심으로. ꡔ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ꡕ, 38(3): 247-276.
김성준. 2009. 사서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관한 연구. ꡔ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ꡕ, 40(3): 249-270.
김종성. 2005. 사서교사의 직무저해요인과 극복방안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ꡔ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ꡕ, 36(1): 237-268.
김효정. 1997. 정보사회에 있어서 사서교사의 위상. ꡔ如然김효정박사회갑기념논문집ꡕ, 서울: 同기념논문집편찬위원회.
이병기. 2007. ꡔ사서교사의 교수역량 구성모형에 관한 연구ꡕ.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4). 45-65.
이병기. 2008. ꡔ학교도서관경영통론ꡕ. 고양: 조은글터.
송기호. 2008. ꡔ학교도서관운영의 실제ꡕ. 3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조미아. 2009. ꡔ학교도서관의 환경변화에 따른 학교도서관 운영전문가의 역할에 관한 연구ꡕ. 한국 도서관정보학회지, 40(1): 493-516.
초등학교시도별 직위별교원수. 2008. ꡔ유초등 통계ꡕ. 교육인적자원통계서비스. [online]. [cited 2009.11.15]. <http://cesi.kedi.re.kr>.
초등학교시도별 설립별 학교수. 2008. ꡔ유초등 통계ꡕ. 교육인적자원통계서비스. [online]. [cited 2009.11.15]. <http://cesi.kedi.re.kr>.
American Association for School Librarians. 2009. Empowering learners: Guidelines for school lirbary media programs. Chicago, IL: ALA.
American Association for School Librarians & Association for Educational Commnucations and Technology. 1998. Information power: Building partnership for learning. Chicago, IL:ALA.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2002. IFLA/UNESCO School library guidelines. [online]. [cited 2009.11.15]. <http://archive.ifla.org/VII/s11/pubs/sguide02.pdf>.
Glaser, B. G., & Strauss, A. L. 1967.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Chicago, IL: Aldine.
Guba, E. G. 1981. “Criteria for assessing the trustworthiness of naturalistic inquiries.”Educational Communication and Technology Journal, 29 (2): 75-91.
Morgan, D. L. 1997. Focus groups as qualitative research. 2nd ed. Qualitative Research Series, 16. Thousand Oaks, CA: Sage.
Morse, J. M., Barrett, M., Mayan, M., Olson, K., & Spiers, J. 2002. Verification strategies for establishing reliability and validity in qualitative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ative Methods, 1(2). Article 2. [online]. [cited 2009.11.15].<http://www.ualberta.ca/~ijqm/>.
Patton, M. 1990.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Thousand Oaks, CA: Sage.
Patton, M. 2001. Qualitative research & evaluation methods. Thousand Oaks, CA: Sage.
Tesch, R. 1990. Qualitative research: Analysis types and software tools. New York: Falm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