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도서관 건축 및 리모델링이 많아지고, 전국의 공공도서관수도 최근 2년간 100여개 이상 증가하는 상황에서 도서관용품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용품에 대한 정보제공과 원활한 유통을 위한 기초 연구단계로서 도서관용품에 대한 정의를 명확히 내리고자 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도서관용품 분류체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용품(Library Goods)은 도서관자료의 수집, 정리, 서비스 등의 활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모든 물품으로 정의를 내리고, 크게 비품 (비소모품)과 소모품으로 구분하였다. 도서관비품(library equipment)은 근본적인 동일성과 일정기간 이상의 유용성을 보유하고 있는 비소모품적 성질의 도서관용 각종 가구, 기기 및 기구 등의 품목을 말하고, 도서관소모품(library supplies)은 도서관에서 도서관자료의 정리 및 보수 등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쓰는 대로 닳거나 줄어들어 없어지거나 못 쓰게 되는 물품을 말한다. 위의 정의를 기반으로 도서관용품 분류체계를 개발하였다. 즉 도서관비품을 가구와 도서관시스템솔루션, 컴퓨터 및 멀티미디어기기로, 소모품을 도서관 정리 및 보수용품, 사인시스템, 그리고 기타용품으로 구분하였으며, 최종적으로 6개 영역 117개의 용품을 제시하였다.
Recently, with a high demand for the construction and remodeling of libraries, and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libraries during the last two years, the concern and need for library goods is also increasing sharp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new classification scheme of library goods by clarifying the terminology which could provide an accurate information on library goods and allow for their smooth circulation. In this study, library goods are defined as all kinds of products required for effectively collecting, organizing and providing services with library materials, and classified into library equipments and library supplies. The term, library equipment is principally used for those things that do not wear out within a certain time period, such as furniture and machinery. Library supplies refer to those things that are expendable. As the terminology is clarified, the classification scheme can be further refined. Library equipment, for example, can be classified as furniture, library system solutions, and computers and multi-media tools. Library supplies can be classified into library organization and repair supplies, sign systems, and miscellaneous articles. Finally, six major categories which include 117 different items are presented.
교육인적자원부, 서울특별시교육청, 공편. 2003. 학교도서관 운영 편람: 좋은 학교도서관 만들기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국립국어원. 2008. 표준국어대사전 . 서울: 국립국어원.
김용철. 2003. 교육정보관 운영의 이론과 실제 . 서울: 학문사.
서울특별시교육청. 2001. 학교도서관 길라잡이 . 서울: 서울특별시교육청.
송기호. 2005. 학교도서관 교구ㆍ설비기준 개선 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39(2): 57-84.
한국도서관협회. 1994. 학교도서관 비품 권장기준 .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한국도서관협회. 2003. 한국도서관 기준 .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한국도서관협회. 2009. 도서관편람 .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한국도서관협회. 2010. 문헌정보학용어사전 . 개정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한국도서관협회 편람편찬위원회. 1994. 도서관 정보관리 편람 .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한일기업. 1976. 국제 표준규격의 도서관 비품, 용품, 교구 및 사무용비품 전문 . 서울: 한일기업.
나라장서. <http://www.g2b.go.kr:8100/index.jsp>.
도서관 관련 각종 ISO 표준. <http://www.praxiom.com/iso-site.htm>.
도서관사랑. <http://librarylove.co.kr/bbs/view.php?id=notice&no=4>.
도서관 용품 벤더 해외업체. <http://www.itcompany.com/inforetriever/vend_sup.htm>.
도서관 용품 위드에스엔씨. <http://www.withsnc.co.kr>.
도서 분실 방지 시스템. <http://www.ecnc.co.kr>.
유신교역. <http://www.yushintrade.co.kr>.
주식회사 익우. <http://www.ikwoo.co.kr>.
진우 하이텍. <http://www.jwhitec.co.kr>.
포스비브테크. <http://www.phose.co.kr>.
학산 라이브 시스템. <http://www.haksanlib.co.kr>.
ALA. 1983.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 U.S.: ALA.
ALA. 1983. The ALA Glossar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U.S.: ALA.
Libris Design Planning Documentation. <http://www.libris.org>.
SA&K. <http://www.sa3000.com>.
National Library Power Program. <http://www.librarypower.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