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고령층의 온라인 정보활동과 삶의 만족감 관계 분석

An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Older Adults’ Online Information Activities and their Life Satisfaction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P)1225-598X; (E)2982-6292
2014, v.48 no.2, pp.159-175
https://doi.org/10.4275/KSLIS.2014.48.2.159
강보라 (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김희섭 (경북대학교)
이미숙 (경북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층의 온라인 정보활동이 삶의 만족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온라인 정보활동은 크게 ‘정보활용수준’, ‘정보활용시간’, ‘정보기기활용수준’으로 범주화하고, 삶의 만족감은 행복감, 건강상태, 경제상태를 포함하여 측정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한 490부의 응답지 중 불성실한 응답지를 제외한 총 341부를 SPSS 19(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와 Amos 통하여 연구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고령층의 온라인 정보활용 수준과 온라인 정보활용 시간은 각각 정보기기활용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보기기를 활용하는 수준이 높을수록 자신의 삶의 만족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온라인 정보활용 수준과 온라인 정보활용 시간은 그들의 삶의 만족감에는 직접적인 영향은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Older Adults, Online Information Activities, Life Satisfaction, Relationship, 고령층, 온라인 정보활동, 삶의 만족감, 관계 분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online information activities of older adults and their life satisfaction. Online information activities were categorized into ‘information use ability’, ‘information use time’, and ‘information device use ability’, and the life satisfaction included such as ‘feeling of happiness’, ‘physical condition’, and ‘economical condition’. A total of valid 341 responses were examined and analyzed to test the research model using SPSS 19 and Amos. It found that the online information use ability and the online information use time had a positive effect to the information device use ability; it showed that the higher the information device use ability the higher their life satisfaction. However, the online information use ability and the online information use time had no effect to the older adults’ life satisfaction in this study.

keywords
Older Adults, Online Information Activities, Life Satisfaction, Relationship, 고령층, 온라인 정보활동, 삶의 만족감, 관계 분석

참고문헌

1.

강월석, 김명숙, 고재욱. 2013. 스마트폰 정보 활용과 이용성과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영향. 한국노년학 , 33(1): 199-214.

2.

강정민, 김선재, 이인성, 김진우. 2009. 노인의 Quality of Life 향상을 위한 Social Network Service 연구. 한국 HCI 학회 학술대회 , 799-810.

3.

김봉화. 2006a. 정보활용이 노인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박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4.

김봉화. 2006b. 노인의 정보활용, 적응기제 및 삶의 만족도간의 구조방정식 분석. 노인복지연구 , 33: 225-256.

5.

김선호. 2003. 공공도서관의 노인용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34(3): 111-124.

6.

김수영. 2000. 노인을 위한 인터넷 정보활용 활성화 방안. 노인복지연구 , 8: 61-93.

7.

김용근, 유준성. 2007. WWW 검색을 위한 정보활동 모델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 8(4): 187-195.

8.

김주현. 2009. 연령주의 관점을 통한 노년의 이해. 사회와 역사 , 82: 361-391.

9.

박영미. 2004. 정보복지를 위한 정보격차해소정책에 대한 분석. 정책분석평가학회보 , 14(2):119-141.

10.

서명교. 2009. 고령층의 정보화 수준이 노인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부산의 일부지역 노인들을중심으로 .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보건정보관리학과.

11.

유용식, 손호중. 2012. 인터넷활용과 노인의 삶의 질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 12(4): 235-244.

12.

이금룡. 2007. 정보화교육을 통한 인터넷 활용이 노년기 적응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연구. 노인복지연구 , 37(단일호): 7-30.

13.

장혜란. 2002. 노인들을 위한 인터넷기반 정보서비스 구축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 19(4):185-208.

14.

최인근. 2007. 노인의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 박사학위논문, 국제신학대학교 대학원.

15.

최성모. 1998. 정보사회와 정보화 정책 . 서울: 나남출판.

16.

통계청. [online] [cited 2014. 1. 3.]<http://www.index.go.kr/egams/stts/jsp/potal/stts/PO_STTS_IdxMain.jsp?idx_cd=1010&bbs=INDX_001>

17.

한국인터넷진흥원. [online]. [cited 2014. 1. 3.]<http://isis.kisa.or.kr/sub02/?pageId=020200#>

18.

KT경제경영연구소. 2011. 스마트폰 시대의 모바일 디바이드 . [서울]: 동연구소.

19.

한세억, 장덕주. 2009. 정보격차 해소정책의 가치와 전망: 균형과 통합의 정보사회. 한국정책학회동계학술대회발표자료 , 259-277.

20.

한국정보화진흥원. 2013 국가정보화백서 . [서울]: 동기관.

21.

Asla, T., Williamson, K. and Mills, J. 2006. “The role of information in successful aging: The case for a research focus on the oldest old.”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28(1):49-63.

22.

Baake, D. 1997. Medienpädagogik. Munchen: Thbingen.

23.

Blit-Cohen, E. and Howard Litwin. 2004. “Elder participation in cyberspace: A qualitative analysis of Israeli retirees.” Journal of Aging Studies, 18(4): 385-398.

24.

Brice, H. 1998. “User Satisfaction with Information Seeking on the Internet.” Journal of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49(6): 541-556.

25.

Bruce, H. 1998. “User Satisfaction with Information Seeking on the Internet.”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49(6), 541-556.

26.

DiMaggio, P. and Hargittai, E. 2001. “From the ‘digital divide’to ‘digital inequality’: Studying Internet use as penetration increases.” Princeton University Center for Arts and Cultural Policy Studies, Working Paper Series number, 15.

27.

Freese, J., Rivasb, S. and Hargittaic, E. 2006, “Cognitive ability and Internet use among older adults.” Poetics, 34: 236-249.

28.

Hargittai, E. 2002 “Second-level Digital Divide: Differences in People’ Online Skills.” First Monday, 7(4). [online] [cited 2014. 3. 15.]<http://www.firstmonday.org/issues/issue7_4/hargittai>

29.

Havighurst, R. 1963. Processes of aging. New York: Atherton.

30.

Havighurst, R. 1961. “Successful aging.” Gerontologist, 1(1): 8-13.

31.

Karavidas, M. et al. 20005. “The effects of computers on older adult user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1(4): 697-711.

32.

Neugarten, Bernice L., Havighurst, Robert J. and Tobin, Sheldon S. 1961.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62(2): 134-143.

33.

Moser, H. 1999. Einführung in die Medienpädagogik: Aufwachsen im Medienzeitalter. Lektorat:Stefenie laux.

34.

Phang, Chee Wei et al. 2006. “Senior citizens' acceptance of information systems: A study in the context of e-government services.” Engineering Management, IEEE Transactions on, 53(4): 555-569.

35.

Selwyn, N., Gorard, S., Furlong, J. and Madden, L. 2003. “Older adults'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n everyday life.” Aging & Society, 23: 561-582.

36.

Şar, Ali Haydar et al. 2012. “Is the Internet Use an Effective Method to Cope With Elderly Loneliness and Decrease Loneliness Symptom?”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55: 1053-1059.

37.

Sum, S. et al. 2008. “Internet use and loneliness in older adults.” Cyber Psychology &Behavior, 11(2): 208-211.

38.

White, H. 2002.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the psychosocial impact of providing internet training and access to older adults.” Journal of Aging & Mental Health, 6(3):213-221.

39.

Wright, K. 2000. “Computer mediated social support, older adults, and coping.” Journal of Communication, 50(3): 100-118.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