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작은도서관에 관한 법제적 고찰

A Study on Legal Issues of Small Libraries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4, v.48 no.3, pp.381-410
https://doi.org/10.4275/KSLIS.2014.48.3.381
김유승 (중앙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작은도서관 관련 법령과 조례를 통해 작은도서관의 양적 팽창과 그에 따르는 문제들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선행연구와 문헌 분석을 통해 작은도서관의 연혁과 현황을 조사하고 사회운동으로서의 작은도서관이 지니는 성격을 논하였다. 법령 분석을 통해, 「도서관법」에 나타난 작은도서관의 법적 지위의 변화와 의의를 살피고, 「작은도서관 진흥법」을 비롯한 작은도서관 관련 법령의 내용을 정리하였으며, 자치법규시스템과 국가법령정보시스템을 통해 추출한 114건의 자치법규를 일반현황, 상위 법령, 정의, 시설 및 장서 기준, 운영 인력의 자격요건 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론에 갈음하여 작은도서관 관련 법제도의 당면 과제를 시설 및 자료 기준, 운영 인력, 지원 및 관리의 세 가지 측면으로 제시하였다.

keywords
도서관법, 도서관운동, 작은도서관진흥법, 작은도서관, 자치법규, The Library Act, Library Movement, The Promotion of Small Library Act, Small Libraries, Municipal Regulations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iscuss issues related to small libraries by analyzing laws and municipal ordinances. It conducts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on the history and present conditions of small libraries and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small libraries as a social movemen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Libraries Act, the legal status of small libraries are argued and other related regulation are also discussed. 114 municipal regulations which are related to small libraries are analyzed into five categories including general conditions, related laws, definitions, facilities, and workforce. As a result, the alternative strategies for legal issues on small libraries are provided in the three different aspects.

keywords
도서관법, 도서관운동, 작은도서관진흥법, 작은도서관, 자치법규, The Library Act, Library Movement, The Promotion of Small Library Act, Small Libraries, Municipal Regulations

참고문헌

1.

강영인, 배지은, 이예지, 한상길. 2013. 작은도서관 운영현황 분석 및 활성화 방안: 안양시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 정보학회 2013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 199-207.

2.

김영석. 2007. 우리나라 효율적인 공공도서관 확충방안 연구: 영국 작은 공공도서관 운영사례를중심으로.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38(1): 29-48.

3.

김영석. 2008. 재건축 아파트 단지 내 작은 도서관 건립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 J아파트 단지를중심으로.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39(2): 429-448.

4.

김세훈, 조현성, 이재희, 정현태, 최원태. 2006. 작은도서관 분관시스템 구축방안 .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5.

김소희. 2007. ‘우리동네 작은도서관, 사람을 만듭니다.’ 우리동네 작은도서관 . 서울: 한국어린이도서관협회.

6.

김재철. 2013. 마을공동체 구심체로서 작은도서관 활성화 방안. FOCUS 광주 . 광주: 광주발전연구원.

7.

김준. 2006. ‘작은도서관 개념’에 대한 이해. 도서관계 , vol.140.

8.

김홍렬. 2010a. 작은도서관 설치와 지원을 위한 조례의 내용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41(4): 191-209.

9.

김홍렬. 2010b. 전북지역 작은도서관의 현 단계와 기능 확대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41(1): 77-98.

10.

김홍렬. 2011. 작은도서관 운영자의 직무특성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42(4): 51-67.

11.

나수미, 1995. 책과 사람의 나눔이 있는 곳 작은도서관 전국협의회. 월간 말 , 105: 244-247.

12.

노동조, 박경숙. 2013. 기부금을 활용한 작은도서관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24(1): 171-187.

13.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박물관정책기획단. 2013. 2012년 전국 작은도서관 운영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

14.

박미라, 이응봉. 2010. 작은도서관 운동의 현단계와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제17회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 123-131.

15.

박영숙. 2003. 작은도서관에서 마을공동체 문화를 일구는 사람들: 경기도 용인시 수지읍 느티나무도서관. 국토 , 260: 132-137.

16.

박영숙. 2005. 아이들과 함께 자라는 도서관 이야기: 작은도서관 사례. 창비어린이 , 가을호, 3(3): 68-76.

17.

박영애, 이재윤. 2010. 대출 및 상호대차 통계를 활용한 작은도서관 장서 평가에 대한 실험적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4(2): 333-356.

18.

안인자, 윤소영, 차성종. 2011. 작은도서관 통계지표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42(4): 375-393.

19.

안찬수. 2006. 문고가 아닌 어엿한 도서관으로! 도서관계 , 141: 12.

20.

양병훈. 2012. 작은도서관 문화프로그램 활성화에 관한 연구: 서울시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6(1): 289-309.

21.

양영균. 2012. 도시 지역공동체 형성과 작은도서관: 용인시의 사례. 정신문화연구 , 35(2):35-67.

22.

양재한. 2008. 마산지역 작은도서관의 사회적 역할 변화과정과 운동의 방향.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39(3): 27-52.

23.

유양근, 박송이. 2010. 작은도서관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21(1): 175-192.

24.

윤명희, 이영옥, 심승희, 황수경, 정종모. 2011. 경기도도서관총서6: 소통과 협력으로 성장하는공공도서관과 작은도서관 . 수원: 경기도사이버도서관.

25.

이승원. 2011. 지방자치단체의 작은도서관 지원에 관한 연구: 조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42(4): 223-241.

26.

이연옥. 2005. 현단계 어린이도서관운동의 내용과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36(1): 309-327.

27.

이용남. 2002. 마을문고운동 추진 전략과 형태에 관한 분석적 고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36(1):91-109.

28.

이재희. 2006. “작은도서관-공공도서관 협력모델 국내 사례” 작은도서관-공공도서관 협력시스템구축방안 국제세미나 자료집 , 39-45. 국립중앙도서관.

29.

이정호. 2012. 작은도서관 협력 네트워크 특성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 2012년도 추계 공동학술대회 , 77-96.

30.

이정호. 2013. 작은도서관 협력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부천지역 작은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24(1): 149-169.

31.

이진우. 2006. 작은도서관 설립운동의 실체와 공공도서관과의 관련성. 한국도서관 정보학회 동계학술발표대회 , 155-177.

32.

정다솜, 이은진. 2013. 작은도서관 상호대차 서비스에 관한 연구: 서울시 관내 상호대차 서비스지역을 중심으로. 제20회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 151-155.

33.

장덕현. 2011. 작은도서관 장서개발 과정에 관한 현상적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42(4):203-221.

34.

장지숙, 송경진, 이진우, 차미경. 2010. 지방자치단체의 공공도서관 정책 분석: 중장기 계획과 담당조직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21(2): 15-28.

35.

정현태. 2006. 작은 도서관 조성사업의 활성화 방안: ‘작은도서관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공청회자료. 한국문헌정보학회 학술발표논집 , 21: 217-253.

36.

정현태, 조미아, 이진우, 박영애. 2010. 생활밀착형 사립작은도서관 연계활성화 방안연구 . 서울:국립중앙도서관 도서관연구소.

37.

정희수. 2001. 작은도서관으로 지역사회에 선한 이웃이 되어가는- 동녘감리교회. 새 가정 , 48(520):92-97.

38.

조미아, 변현주, 김보일. 2013. 운영진단을 통한 유형별 작은도서관 사례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7(2): 293-314.

39.

조윤희. 2010. 공공도서관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4(2): 177-197.

40.

조은길, 장우석, 손광호. 2010. 작은도서관의 공간특성 및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지인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174-178.

41.

차성종, 안인자, 윤소영. 2012. 전국 작은도서관 운영 실태조사 및 분석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23(1): 153-178.

42.

천경배. 1994. 인천에 ‘작은도서관 운동'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황해문화 , 2(3): 31-33.

43.

최미순. 2006. ‘미국의 작은도서관-공공도서관 협력.’ 작은도서관- 공공도서관 협력시스템 구축방안 국제세미나 자료집 . 국립중앙도서관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44.

한상우, 오현석. 2011. 경남지역 작은도서관 운영현황과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정책포커스 , 2011-10: 1-44.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