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다중개체모형을 적용한 무형문화유산 메타데이터 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tadata Schema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ased on Multiple Entity Model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6, v.50 no.3, pp.329-359
https://doi.org/10.4275/KSLIS.2016.50.3.329
한희정 (전북대학교)
김태영 (전북대학교)
김용 (전북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다중개체모형을 기반으로 무형문화유산 메타데이터 요소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에 새롭게 제정된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과 무형문화유산 기록화도서 및 자원조사를 실시한 기관들의 기록정보자원과 가이드라인 및 전승현황을 조사하고, 관련 기관의 무형문화유산 디지털아카이빙 현황과 정보서비스들을 분석하여 무형문화유산에서 요구되는 정보항목들을 도출하였다. 또한 다중개체모형 기반의 무형문화유산 메타데이터 개발을 통해 가장 핵심인 무형문화유산 정보를 기준으로 무형문화유산과 관련된 행위주체들의 정보, 그리고 이들이 생산하는 기록정보자원 정보, 이들 기록정보자원들을 관리하는 데 필요한 기록관리업무 정보를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종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무형문화유산의 다양한 관계와 이들 정보의 최신성을 유지함으로써 정보의 효율적인 관리와 더불어 이용자에게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풍부한 맥락 정보를 제공하고 궁극적으로 무형문화유산의 가치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Metadata, Multiple Entities Model, Description Model, XML, Digital Archives, 무형문화유산, 메타데이터, 다중개체모형, 기술모형, 마크업언어, 디지털 아카이브

Abstract

This study has developed standard metadata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based on multiple entity model. By analyzing “Preservation and Promo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ct”, which was newly legislated in 2016,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rchiving books, archival information resources and guidelines of organizations which conducted resources investigations, the transmission statu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nd the current statu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igital archiving and information services of related organizations, we obtained information lists required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nd took them into account in the process of selecting elements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metadata. In addition, developing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metadata based on the multiple entity model made it possible to provide comprehensive information by organically linking numerous sorts of information―with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formation, which is the most essential, in the center, information on agents related t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rchival information resources information that they produce, and record management task information required to manage these archival information resources. By maintaining various relation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nd keeping the information up-to-date, the developed metadata is expected to provide rich contextual information 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in addition to the efficient management of information; and ultimately, make contribution to sustainably developing the valu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keyword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Metadata, Multiple Entities Model, Description Model, XML, Digital Archives, 무형문화유산, 메타데이터, 다중개체모형, 기술모형, 마크업언어, 디지털 아카이브

참고문헌

1.

국립국악원. 국립국악원 홈페이지. [online] [cited 2016. 5. 9.]<http://www.gugak.go.kr/site/main/index001>

2.

국립국악원. 국악아카이브 홈페이지. [online] [cited 2016. 5. 9.]<http://archive.gugak.go.kr/ArchivePortal/index.jsp>

3.

국립무형유산원. 2014. 무형문화유산과 지식재산권. 전주: 국립무형유산원.

4.

국립무형유산원. 국립무형유산원 홈페이지. [online] [cited 2016. 5. 9.]<http://www.nihc.go.kr/nihchome/main/Index.do?mn=KO_01>

5.

국립중앙도서관. 2016. 한국 더블린코어 DCMI 공인 사이트. [online] [cited 2016. 4. 9.]<http://dublincore.go.kr/metadata-basics/dces>

6.

구미래. 2014. 불교무형문화유산의 체계적 분류와 조사를 위한 연구. 불교학연구, 38, 363-393.

7.

김수정, 김용. 2013. 무형문화유산 기록물을 위한 FRBR 기반 메타데이터 요소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0(2), 119-141.

8.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 (2015. 3. 27., 법률 제13248호).

9.

문화재보호법 (개정 2016. 2. 3., 법률 제13964호).

10.

문화재청. 2009. 한국 무형유산 대표목록 분류체계 및 기초자료연구. 대전: 문화재청.

11.

문화재청. 2011. 중요무형문화재 보유자관련 유품수집 기초목록조사사업. 대전: 문화재청.

12.

문화재청. 2013. 해외 전승 무형문화유산 학술조사연구 사업. 대전: 문화재청.

13.

예술자료원.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 홈페이지. [online] [cited 2016. 5. 9.]<http://www.daarts.or.kr/>

14.

위주영. 2010. 무형문화유산 메타데이터 현황과 과제: 공예기술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17:499-531.

15.

이재필 외. 2010. 무형문화재 기록화 가이드북.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16.

이주연. 2010. 다중개체모형을 적용한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표준사례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0(2), 193-214.

17.

이진원 외. 2012. 무형문화유산 보호협약 이행 현황 및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등재유산전승실태 연구. 무형문화유산 연구총서, 2.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18.

전북대학교 무형문화연구소. 무형유산지식백과(ichpedia) 홈페이지. [online] [cited 2016. 5. 9.] <http://www.ichpedia.org/>

19.

정명철, 문효연, 김미희. 2014. 농업유산 등재기준에 따른 농촌 무형유산 분류체계 연구. 농업사연구, 13(1), 51-84.

20.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14. 국립예술자료원 홈페이지. [online] [cited 2016. 5. 9.]<https://archive.arko.or.kr/>

21.

함한희, 정성미. 2013. 전라북도 무형문화유산의 목록화와 현황분석: ICHPEDIA 자료를 중심으로. 실천민속학연구, 22, 169-203.

22.

함한희, 정성미, 이정송. 2014. 무형유산지기를 위한 무형문화유산 기록화지침서. 전주: 국립무형유산원.

23.

The Library of Congress. VRA Core 4.0. [online] [cited 2016. 4. 9.]<http://www.loc.gov/standards/vracore/VRA_Core4_Element_Description.pdf><https://www.loc.gov/standards/vracore/VRA_Core4_Outline.pdf>

24.

The Library of Congress. 2016. MODS. [online] [cited 2016. 4. 9.]<http://www.loc.gov/standards/mods>

25.

van Zanten, W. 2002. Glossary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gue: Netherlands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26.

J. Paul Getty Trust. CDWA: Categories for the Description of Works of Art. [online] [cited 2016. 4. 9.]<http://www.getty.edu/research/publications/electronic_publications/cdwa/definitions.html>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