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매뉴얼 구성요소 요구도 분석

A Demand Analysis of the Main Components in the Manual on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8, v.52 no.2, pp.245-262
https://doi.org/10.4275/KSLIS.2018.52.2.245
배경재 (동덕여자대학교)
강지혜 (동덕여자대학교)
차성종 (숭의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도서관 장애인서비스를 지역 도서관에서 구체화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매뉴얼의 효율적인 활용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도서관 현장에서 장애인서비스를 담당하고 있는 사서의 의견을 조사하여 기존 도서관 장애인 서비스 매뉴얼의 이용현황 및 활용도․중요도를 파악하고, 매뉴얼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요구도 수준 및 우선순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매뉴얼의 구성요소의 실무활용도를 평가한 결과, ‘편의시설 설치’가 매우 상세하게 서술되어야 할 요소로 도출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결과로 도출한 매뉴얼 구성요소에 대한 요구도 분석은 도서관 유형별로 중요 요소에 대한 해석을 다르게 해야 할 것과 함께,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매뉴얼에 대한 낮은 인지도 및 활용도를 제고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강구할 것을 제언하였다.

keywords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Demand Analysis, Service Manual, Public Library, Library for the Disabled, 도서관장애인서비스, 요구분석, 서비스 매뉴얼, 공공도서관, 장애인도서관

Abstract

It is critical for public libraries to use service manuals to provide library services to the disabled. This research investigated librarians’ opinion and discerned their utilization and importance of the current service manuals. Also, the study identified librarians’ needs and priority of each component of the current manuals. According to the practitioners’ evaluation, ‘installation of convenience facility’ was deriv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should be described in detail.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interpretation of the critical factors should be different regarding to the each library type. The research also suggested various ways to raise low awareness and utilization of the current library manuals for the disabled.

keywords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Demand Analysis, Service Manual, Public Library, Library for the Disabled, 도서관장애인서비스, 요구분석, 서비스 매뉴얼, 공공도서관, 장애인도서관

참고문헌

1.

곽철완 외. 2009.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모형 및 운영매뉴얼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1), 197-208.

2.

국립중앙도서관. 2017. 『전국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현황조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3.

국립중앙도서관․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 2009. 『도서관장애인서비스 매뉴얼』. 서울: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

4.

김홍렬. 2016. 도서관통계에 나타난 정보취약계층의 지표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0(3), 193-214.

5.

배경재. 2015. 공공도서관 장애인서비스 기준의 현황 및 과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4), 379-400.

6.

안인자 외. 2010. 공공도서관 장애인서비스 자원봉사자 활동매뉴얼 개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1), 131-148.

7.

장보성. 2015. 청각장애 대학생의 도서관 이용행태와 정보요구에 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2(1), 297-316.

8.

정연경, 김성진. 2008. 장애인의 도서관 서비스 이용 및 요구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3), 301-323.

9.

정재영, 정혜미. 2010. 장애인 이용자의 요구분석을 통한 대학도서관 서비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2), 189-207.

10.

황금숙, 김수경. 2008. 공공도서관 독서교실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매뉴얼 개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1), 233-251.

11.

황금숙, 이영숙. 2012. 국립 및 공공도서관 이용자 응대서비스 매뉴얼 개발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9(4), 25-42.

12.

Borich, G. 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1), 39-42.

13.

Mink, O. G., Shultz, J. M. and Mink, B. P. 1991. Developing and Managing Open Organizations:A Model and Method for Maximizing Organizational Potential. Austin: Somerset Consulting Group.

한국문헌정보학회지